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는 간질환 중 간경변증의 유병율이 높다. 1998년 68.4%에서 2010년 77.7%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우리나라의 술을 마시는 실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비율의 증가는 특히 알코올성 간질환에 취약한 여성에게서 두드러졌으며, 만성 알코올 중독 환자의 10~15%정도에서 발생하며, 우리나라의 35~45세 연령 군에서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는 1인당 공식 알코올 소비량 OECD 국가 중 22위, 아시아 국가 가운데 1위로 나타났다"" 최근 들어 식생활과 생활습관의 변화로 콜레스테롤이나 알코올에 의한 간염으로 발생하는 간경화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잦은 모임과 회식으로 음주 문화가 많기 때문에 간은 피로와 급격한 체증 증가로 몸은 서서히 지쳐가고 알코올성 간경변증이 증가하고 있다"" 알코올성 간경변증은 빠르게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알코올성 간경변증에 대해 지식을 넓히고, 치료 중 간호 문제를 확실히 파악하여 적절한 간호활동을 연구하기 위함이다""
1.2. 사례소개
'1.2. 사례소개'에 따르면, 이 사례는 65세 남성 이○○님으로 ALC PT (Alcoholic Liver Cirrhosis, 알코올성 간경화)로 이미 본원에 여러 차례 입원했던 분이다. 이번에 general weakness가 지속되어 2018년 9월 14일 MG 외래를 통해 입원하였으며, 4년 전에도 ALC로 선린병원에 입원한 적이 있었다. 이처럼 ALC로 반복적으로 입원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알코올성 간질환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2. 간경화의 이해
2.1. 간의 구조와 기능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선으로, 정상 성인의 간의 무게는 약 1,500g이다. 간은 오른쪽 횡격막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위를 덮고 있는 형태이다. 간은 겸상인대에 의해 우엽과 좌엽으로 나뉘며, 우엽의 후면과 하면은 작은 미상엽과 방형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문이라는 공간을 통해 정맥, 동맥, 신경, 림프관 등이 간으로 출입한다.
간은 다양한 주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첫째, 탄수화물 대사에 관여하여 당원의 생성 및 저장, 당원의 분해를 통한 포도당 생성, 그리고 아미노산, 젖산, 글리세롤 등으로부터 포도당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단백질 대사에 관여하여 단백질의 이화작용을 통한 암모니아 생성, 그리고 알부민, 글로불린, 응고인자 등의 단백질 합성을 담당한다. 셋째, 지방 대사에 관여하여 지방산과 케톤 형성, 지질단백, 콜레스테롤, 인지질 합성, 그리고 중성지방 형성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넷째, 약물과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배설하는 해독작용을 한다. 다섯째, 담즙 형성과 분비, 빌리루빈 대사, 혈액·비타민·철분 등의 저장 기능을 담당한다. 마지막으로 Kupffer세포를 통한 식균작용을 수행한다.
따라서 간은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장기 중 하나로, 다양한 대사 작용과 해독, 저장, 분비 등의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2. 간경화의 정의 및 병태생리
간경화는 간 전체에 상흔조직이 발생한 것으로 만성적인 간 염증으로 인한 돌이킬 수 없는 괴사가 원인이다"이다. 간경화증은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는(즉, 간의 염증이 계속되는) 과정에서 간의 정상적인 구조가 섬유화되고, 재생결절(regenerative nodules; 작은 덩어리가 만들어지는 현상)로 대치되며 혈관 구조가 크게 뒤틀려 나타나는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말한다"이다. 염증의 원인은 간세포가 간염 바이러스나 독성물질에 노출되어 발생한다"이다. 간이 섬유화되면 간은 굳어진다. 조직이 결절로 변하면 담즙과 간으로 들어오는 혈류가 방해를 받는다"이다. 즉 섬유화와 재생된 결절이 혈관과 담즙 통로를 압박하고 혈관 구조가 뒤틀려 혈액이 간을 통과하기 어려워진다"이다.
2.3. 간경화의 합병증
간경화의 합병증은 간의 손상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간이 심하게 상흔조직으로 바뀌어도 보상기능이 있으면 간은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하므로 심각한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나 보상기능을 상실하면 간부전의 증상과 함께 심한 장애가 나타난다. 구체적인 간경화의 주요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맥성고혈압(Portal hypertension)이다. 문맥의 정상 간정맥 압력차(HVPG)가 5 mmHg 이상일 때 문맥성고혈압이 발생한다. 문맥압력이 높아지면 문정맥과 문정맥가지로 흘러들어가는 혈류가 막히고 저항이 증가된다. 혈류 흐름이 막히면 압력이 높은 부위에서는 곁순환(측부순환)을 형성한다. 이 곁순환으로 혈류의 흐름은 지라로 역행하여 지라비대를 일으키며 식도정맥과 위, 장, 복부와 직장정맥은 늘어난다. 문맥성고혈압은 복수, 식도정맥류, 복부에서 정맥이 두드러지거나(caput medusae) 치질을 초래한다.
둘째, 빌리루빈대사장애와 황달이다. 빌리루빈대사장애와 황달은 간세포성질환이나 간 내의 폐색 등 두 가지 기전에 의해 발생된다. 간세포성황달은 간세포가 쓸개즙을 배설하지 못해 혈액 내 순환하는 쓸개즙의 농도가 증가하여 발생한다. 간 내 폐쇄성황달은 간의 쓸개즙통로가 막히거나 쓸개즙관의 부종이나 섬유화, 상흔조직으로 쓸개즙이 샘창자(십이지장)로 정상적으로 흐르지 못하고 막혀 발생한다.
셋째, 혈액응고장애이다. 간 기능 저하로 간에서 쓸개즙 합성이 감소하면 지방흡수가 저하되어 비타민 K(지용성 비타민)의 흡수가 방해된다. 비타민 K가 부족하면 응고인자 II VII IX X을 충분히 합성할 수 없어 출혈이 증가되어 쉽게 멍이 든다. 이는 prothrombin time(PT)을 지연시키며, 혈소판 감소중도 응고장애를 악화시킨다.
넷째, 문맥계 간성뇌병증(Portal systemic encephalopathy)이다. 문맥계 간성뇌병증은 정상적으로 제거되어야 할 암모니아와 같은 물질이 간기능상실의 결과로 축적되면서 의식수준의 변화, 행동 변화, 성격 변화 및 신경학적 이상을 보이는 것이다. 이는 혈청암모니아가 두 가지 요인에 의해 상승한다. 첫째, 조직에서 만들어진 암모니아가 간에서 요소(urea)로 바뀌어 일부는 콩팥으로 배설되고 일부는 전신을 순환한다. 간세포가 파괴되면 암모니아가 요소로 바뀌지 못하므로 혈청농도가 증가한다. 둘째, 혈액이 간을 거치지 않고 전신순환으로 유입되어 발생된다. 이 결과 장에서 흡수된 독성물질이 간에서 분해되거나 해독되지 못한 채 전신순환으로 유입되어 혈청암모니아가 상승한다.
다섯째, 간성콩팥증후군(Hepatorenal syndrome)이다. 간성콩팥증후군이란 간기능상실로 인해 콩팥기능상실이 초래된 것으로, 간질환의 마지막 단계인 간기능상실에서 간성콩팥증후군이 발생하면 예후가 나쁘다. 간기능상실과 관련된 진행성핍뇨성콩팥기능상실은 콩팥의 구조나 모양은 정상이나 콩팥기능상실(신부전)이 온 것이다. 간문맥고혈압이 발생하면 정맥류가 감소하고 이는 동맥혈액량을 감소시킨다. 그러면 우리몸은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시스템 교감신경계 및 항이뇨호르몬을 활성화시켜 콩팥혈관 수축을 유발하여 콩팥 기능 저하를 야기한다.
여섯째, 자발성세균성복막염(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이다. 복수가 있는 간경화증 대상자는 세균에 대한 저항력을 갖는 혈청단백 농도가 낮기 때문에 급성자발성세균성복막염에 쉽게 이환된다. 정상적으로 장에 존재하는 세균은 림프계를 거치면서 걸러지는데, 세균이 림프계를 거치지 않고 장벽을 통해 직접 복수로 들어와 염증을 일으킨다.
3. 간경화의 원인
3.1. 알코올성 간질환
알코올성 간질환은 간 손상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알코올은 간세포에 직접적인 독성 효과를 가지며, 알코올성 간염의 주된 원인이 된다. 알코올로 인해 간세포가 퇴행하고 지방, 백혈구와 림프구가 침투하여 간이 비대해진다. 초기에는 섬유아세포가 침윤하고 콜라겐이 형성되어 상처가 생긴다. 이후 진행되면서 염증 과정은 감소하고 간세포가 파괴된다. 영양 부족과 반복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해 상처 조직이 간 전체로 퍼지고 간세포가 괴사되어 간에 섬유 조직이 침윤된다.
간경화를 일으킬 수 있는 알코올의 양은 개인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알코올 중독자의 약 30%에서 간경화가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