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별차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
2.1.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의 정의
2.2.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의 특징
3. 노동영역에서의 성차별
3.1. 성별 직업 분리 및 역할 분리
3.2. 임금 차별과 비정규직 비율
4. 가족영역에서의 성차별
4.1. 육아와 관련한 성차별
4.2. 가사노동과 관련한 성차별
5. 성차별 해소를 위한 노력
5.1. 정부 정책 및 제도 개선
5.2. 사회적 인식 변화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대사회에서 여성들의 취업률이 높아지고 출산과 육아 이후에도 경력을 이어가는 여성들의 비율이 늘어나면서,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가 과거에 비해 향상되었다고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여성들의 취업률과 장기 재직률이 상승했다는 것만으로는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가 실질적으로 향상되었다고 볼 수 없다. 여전히 사회 곳곳에서 여성들의 노동을 폄하하고 차별하는 행태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여성들의 지속적인 사회진출에 장애물이 남아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표적인 예로 가족 내에서 여성들에게만 편중되어 있는 가사노동을 들 수 있다. 실제로 기혼 여성들의 노동시장 참여가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기혼 남성들의 가사노동 참여율은 여전히 저조한 편이다. 이러한 성차별적인 행태는 우리 사회의 전통적인 유교 가치관에 따른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에 기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노동시장과 가족 영역에서 나타나는 여성에 대한 차별은 이러한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가 지속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2.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
2.1.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의 정의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는 가부장제 사회에서 나타나는 남성과 여성의 역할 구분을 의미한다. 이에 따르면 남성은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생산적인" 공적 영역의 주체로 간주되며, 여성은 가정에서 가사와 돌봄 노동을 담당하는 "재생산적인" 사적 영역의 주체로 여겨진다.
이러한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는 가족제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가부장제 사회에서 가족은 성차별적 분업 구조를 재생산하는 기본 단위이며, 여성은 가정 내에서 자신의 사회적 역할을 다하는 존재로 규정된다. 이에 따라 여성의 사회활동은 제한되고 경제적 의존성이 강화되는 한편, 남성은 가족을 부양하는 책임을 지게 된다.
이러한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는 여성의 지위를 가정 내로 한정시키고 사회적 참여를 제약함으로써 여성에 대한 차별을 정당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여성의 사회·경제적 활동이 제한되고 가사와 돌봄 노동에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2.2.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의 특징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는 남성은 도구적이고 수단적인 역할을, 여성은 정서적이고 표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즉, 공적인 영역은 남성의 몫이고 사적인 영역은 여성의 몫이라는 이분법적 사고가 깔려있다"".
둘째, 이러한 이분법적 사고로 인해 공적인 영역은 더 높게 평가되고 사적인 영역은 소홀히 여겨지거나 때로는 공을 위해 희생해도 된다고 간주한다"". 이는 곧 여성의 가사노동과 돌봄 노동이 저평가되고 비가시화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셋째,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는 상호 보완적이라고 ...
참고 자료
김엘리 외(2019). 성·사랑·사회.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e-나라지표. 여성 고용동향.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97, (검색일: 2020. 11. 5)
배진경. 여성노동자 74.0% 직장서 성차별 경험... 반말·성희롱·임금차별 등. 오마이뉴스, 2020년 3월 3일자.
이하나. 서울메트로도 ‘채용 성차별’… 여성 지원자 점수 깎아 전원 탈락 시켰다. 여성신문, 2019년 9월 30일자.
e-나라지표. 남성대비 여성 임금비율.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14. (검색일: 2020. 11. 5)
박광수. “한국, ‘유리천장 지수’ OECD 국가 중 꼴찌”. 중앙일보, 2019년 3월 8일자.
이대희. '만 40세까지 비혼' 여성 비율, 30년 새 10배 이상 늘어. 연합뉴스, 2020년 3월 30일자.
박재현. 비혼 선택 왜?… 남 "경제적 부담" 여 "가부장제". 한국일보, 2017년 2월 25일자.
김영화(2016). 현대사회와 여성복지. 양성원.
공미혜, 이진숙(2020). 여성복지론. 신정.
공미혜. 2020. 여성복지론. 신정
고우영. 2019. 성 역할 인식과 성별분업 및 여성의 경제활동 사이의 관계분석. 한국노동연구원
송다영. 2019. 젠더와 격차, 사회정책 과제. 보건복지포럼
이정희. 2014.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고찰. 여성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