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인간 존엄성의 철학적 토대
1.1. 자연상태의 인간과 존엄성
인간 존엄성의 문제는 오랫동안 철학적 논쟁의 중심이 되어왔다. 근대 철학자들은 인간 존엄성의 근거를 신이 아닌 인간 자체에서 찾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자연상태를 주목했다. 자연상태란 인간 사회 구축 이전의 원초적 상태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자연상태에 대한 철학자들의 견해는 서로 달랐고 이는 인간 존엄성에 대한 견해 차이로 이어졌다.
먼저 장 자크 루소는 자연상태의 인간이 선천적으로 선한 본성을 지니고 있다고 주장했다. 루소에 따르면 원초적 자연상태의 인간은 선하지만, 문명화된 사회 속에서 인간은 악에 물들게 된다. 따라서 루소는 자연상태에 가까운 어린아이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교육의 과제라고 보았다. 교육은 자연을 보충하는 기재이며, 자연주의적인 교육이 최고의 방법이다. 또한 루소는 문명이 인간 불평등의 상태를 만들었다고 보았으며, 문명이 인간의 천부적 능력을 온전히 발휘할 수 있는 사회로 나아가길 희망했다.
천부적 능력에는 선한 본성, 양심, 언어적 능력이 포함된다. 특히 언어 능력은 인간 존엄성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언어(말과 글)를 구사할 수 있다는 것은 의미의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인간은 언어가 있기에 동물적 차원으로 격하되지 않으며, 언어를 통해 가치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다. 이처럼 인간의 천부적 능력은 인간과 동물의 명백한 차이를 보이는 부분으로, 여기서 인간 존엄성의 가능성이 출현한다.
이러한 루소의 사상은 강력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이후 칸트에게도 도움을 준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자유와 평등의 정신을 강조하는 칸트 사상은 루소의 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2. 루소의 내재적 존엄성 이론
루소의 내재적 존엄성 이론은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사상을 기반으로 한다. 루소는 자연상태의 인간을 선한 존재로 간주하였으며, 문명화된 사회 안에서 인간이 악에 물들게 된다고 보았다. 그는 자연상태에 가까운 어린아이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교육의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주장하였다.
루소에 따르면, 자연상태의 인간은 본래 선한 성향을 지닌 존재이다. 인간이 지닌 천부적 능력, 즉 선한 본성, 양심, 언어적 능력은 인간 존엄성의 원천이다. 특히 언어 능력은 인간에게 독특한 능력으로, 이를 통해 인간은 의미의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