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질환 관련 문헌 고찰
1.1. 간경변의 정의 및 원인
간경변의 정의 및 원인은 다음과 같다.
간경변증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간경화라 부르는 질환으로, 장기간 지속적인 간세포손상(간염)으로 간이 점차 굳어지고 간에 다양한 크기의 재생 결절들이 생기는 상태를 말한다. 정상 기능을 할 수 있는 간세포의 수가 적어지면서 단백질 합성, 해독작용 등의 간 기능 장애를 유발하며 간이 굳어져 간내 혈액순환이 힘들어짐에 따라 간 문맥압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여러 합병증(복수, 정맥류, 간성혼수, 혈소판감소증)이 생기게 된다.
간경변의 주요한 원인은 만성 간염, 과도한 음주, 비알코올성 지방간, 자가면역질환, 혈색소 침착증 등이다.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은 간경변증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이며, 만성 간염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간염 바이러스는 간세포 내에서 염증을 일으키고, 결국 손상과 파괴를 유발시켜 간경변증으로 발전할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과다한 알코올섭취는 간에서 아세트 알데하이드와 같은 독성물질로 변환되어 염증과 조직손상을 일으켜 간경변증으로 발전한다. 비알코올성 지방간도 자연 경과를 밟아 간경변증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자가면역성 간염과 원발성 담관성 간경변증도 간경변증의 원인이 된다. 혈색소 침착증 역시 간에 과량의 철이 침착되어 간경변증을 일으킨다.
1.2. 간경변의 병태생리
간경변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성 간염은 간경변증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이다. B형이나 C형 간염과 같은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은 간염 바이러스가 간세포 내에서 염증을 일으키고, 결국 손상과 파괴를 유발시켜 간경변증으로 발전할 위험이 증가한다. 전체적으로 만성 C형 간염에서 10~15% 정도, 만성 B형 간염의 5~10%는 결국 간경변증으로 발전한다"이다.
둘째, 과다한 알코올 섭취는 간경변증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알코올은 간에서 아세트 알데하이드와 같은 독성물질로 변환되어 염증과 조직손상을 일으킨다. 손상된 간은 지방을 형성하는 화합물인 지방산을 분해할 수 없어 간에 지방이 축적되고 결국에는 섬유화가 진행되어 간경변증으로 발전하게 된다"이다.
셋째, 비알코올성 지방간도 결국에는 알코올성 지방간과 유사한 자연 경과를 밟는다. 과거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경과가 양호하다고 했지만, 최근 연구에 의하면 비알코올성 지방간도 간염, 간경변증, 간암으로 진행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이다.
넷째, 자가면역성 간염과 원발성 담관성 간경변증과 같은 자가면역질환도 손상된 면역계가 자신의 세포와 기관을 공격해 발생하게 된다"이다.
다섯째, 혈색소 침착증은 철의 대사 장애로 간을 포함한 몸 전체에 과량의 철이 침착되어 간경변증을 일으킨다"이다.
여섯째, 낭포성 섬유증, 알파-1 항트립신 결손증, 갈락토오스혈증, 윌슨씨병, 글리코겐 축적질환과 같은 유전성 질환이나 기생충, 소장우회술, 약물, 비소와 같은 중금속 화학물질도 간경변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이다.
1.3. 간경변의 증상
간경변의 초기 증상으로는 전신 쇠약, 만성 피로, 식욕부진, 소화불량, 복부 불쾌감 등이 나타나며, 복수가 차면 복부 팽만감과 하지 부종이 발생하고 심할 경우 숨이 차기도 한다. 그리고 위와 식도 정맥류가 발생하여 심하면 출혈할 수 있고 간성뇌증(혼수)이 발생할 수 있다. 후기에는 눈과 피부에 황달이 생기거나 피부의 거미모양 혈관종, 손바닥 홍반이 생길 수 있다. 간경변증으로 인한 간 기능의 저하는 간 뿐만 아니라 소화기, 순환기, 내분비 계통에 영향을 미친다. 간에서의 호르몬 대사이상으로 인해 남성은 여성 유방처럼 유방이 커지거나, 고환이 작아질 수 있으며 여성은 월경이 불규칙해지기도 한다."
1.4. 간경변의 합병증
간경변의 합병증에는 정맥류 출혈, 복수와 부종, 비장비대, 간성뇌증,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간신 증후군, 골다공증 및 당뇨 등의 내분비계 합병증, 그리고 간암이 있다".
간경변 환자에서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는 정맥류 출혈이다. 간이 딱딱하게 굳어져 간내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포털정맥압이 상승하면 식도와 위에 정맥류가 생기게 된다. 이 정맥류는 혈관 내부의 압력이 높고 혈관벽이 얇아 파열과 출혈의 위험이 아주 높다. 또한 간경변증의 합병증인 비타민 K 감소와 혈소판 감소로 인해 출혈이 쉽게 지혈되지 않는다. 경도의 간경변 환자의 약 40%, 중증 환자의 약 80%에서 식도 정맥류가 관찰된다".
복수와 부종은 체액이 증가하여 발생하는데, 복수로 인해 호흡이 힘들어지고 배뇨, 배변 기능이 감소한다. 비장비대는 산화질소를 과다 생성하여 비장 내 혈관을 확장시켜 크기가 커지게 된다"
간성뇌증은 장내 유해물질이 혈액으로 유입되어 신경독성을 나타내면서 발생한다. 말기 간경변 환자에게 흔한데, 초기에는 기억력 저하, 반응 지연,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다가 중증으로 갈수록 혼수에 이를 수 있다.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은 간경변증 복수 환자에서 특별한 감염 원인 없이 발생하는 급성 세균성 복막염이다. 감염이 치유되어도 1년 내 40-70% 확률로 재발할 정도로 예후가 좋지 않다.
간신 증후군은 만성 간질환, 진행된 간부전, 문맥압 항진증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하는 가역적, 기능적 신부전이다. 요량 감소, 의식 변화,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간경변증 환자의 약 30%에서 골다공증이 발생하며, 인슐린 저항성으로 당뇨병의 발생 위험도 높아진다.
또한 간경변증은 간암 발생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간경변증은 다양한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