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쉐보레 기업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동차 기업 리콜 사태 분석
1.1. 자동차 리콜의 개념
1.2. 글로벌 자동차 리콜 현황
2. 주요 자동차 기업의 리콜 사태 및 대응
2.1. 도요타
2.1.1. 기업소개
2.1.2. 리콜 사태 및 대응
2.1.3. 결과 및 전망
2.2. 폭스바겐
2.2.1. 기업소개
2.2.2. 리콜 사태 및 대응
2.2.3. 결과 및 전망
2.3. GM
2.3.1. 기업소개
2.3.2. 리콜 사태 및 대응
2.3.3. 결과 및 전망
2.4. 미쓰비시
2.4.1. 기업소개
2.4.2. 리콜 사태 및 대응
2.4.3. 결과 및 전망
2.5. 현대기아차
2.5.1. 기업소개
2.5.2. 리콜 사태 및 대응
2.5.3. 결과 및 전망
2.5.4. 현대차의 이미지 손실, 리콜 사태 재발 방지 방안
3. 결론 및 시사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동차 기업 리콜 사태 분석
1.1. 자동차 리콜의 개념
자동차 리콜은 기업이 발견한 자사제품의 결함에 대해 소비자에게 보상을 해주는 소비자보호제도이다. 대부분 제조업체가 이미 판매한 제품의 부품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을 때 무상으로 점검해 주거나 제품 자체를 교환해 주는 형태이다. 자동차 업계에서의 리콜이란, 자사 상품(자동차)의 결함으로 인해 소비자가 생명・신체의 위해를 입거나 입을 우려가 있을 경우 상품의 제조자 또는 유통업자가 스스로 또는 정부의 명령에 의해 공개적으로 결함상품 전체를 수거 또는 회수하여 교환, 환불, 수리 등의 위해예방 조치를 하는 행위이다. 따라서 자동차 리콜은 자동차 안전에 직결되는 중요한 소비자 보호 제도라고 할 수 있다.
1.2. 글로벌 자동차 리콜 현황
최근 미국, 일본, 한국 등 주요 자동차생산국 시장에서 리콜이 급증하면서 관련 자동차 업체들 또한 소비자신뢰도 하락 등의 영향으로 자동차 판매가 감소하고 시장점유율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국제무역연구원이 발표한 '세계 자동차 리콜사태 동향과 우리에의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1~5월 미국, 일본, 한국, 중국 등 4개국 시장에서의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실시한 리콜 대수는 전년동기비 85.5% 증가한 2680만대를 기록했다. 건당 리콜 대수도 지난해 같은 기간 6만1000대에서 12만 2000대로 2배 증가했다. 특히 올 1~5월 미국시장에서 제너럴모터스(GM)의 리콜 대수가 동 기간 판매량의 11배를 초과하는 1376만대를 기록하는 등 올해 주요 완성차업체의 리콜 대수는 판매량을 초과했다. GM은 미국 자동차시장에서 리콜이 급증하면서 판매 점유율이 올해 1~5월 17.6%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3%p 하락했다. 도요타 역시 2010년부터 지속적으로 대량 리콜을 실시하며 올해에도 미국 자동차 판매 점유율이 2009년(17.0%)에 미치지 못하는 14.3%를 기록했다. 도요타는 올 1~5월 리콜대수 기준 미국시장에서 2위를 기록했다. 반면, 현대기아차는 올 1~5월 미국 내 리콜 대수는 15만대로 전년동기비 9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미국에서의 리콜은 투싼 타이어 결함, 스포티지 에어백 결함 등 2건을 기록, 5월 기준 리콜순위 11위를 기록했다. 올해 미국 내 리콜 1~3위는 GM, 도요타, 포드 등으로 조사됐다.
2. 주요 자동차 기업의 리콜 사태 및 대응
2.1. 도요타
2.1.1. 기업소개
도요타는 세계적인 자동차 기업으로 1937년 8월에 설립되었다. 일본 아이치 현 도요타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2013년에 매출 25조6919억엔(약 258조1804억원), 영업이익은 1조8904억엔(약 18조9968억원)으로 약 998만여 대를 판매해 판매량 기준 세계 자동차 업계 1위에 올랐다. 도요타는 전 세계적으로 고급브랜드인 렉서스를 주력제품군으로 해외시장을 공략해 성공했고 지속적인 R&D 투자로 현재는 하이브리드 일반 고연비 차량을 출시해 세계 자동차 시장을 이끌어 나가고 있다. 특히, 1988년 미국 자회사가 현지 생산을 시작할 때부터 'Good Corporate Citizen' 운동을 펼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을 알리고 소비자에게 신뢰를 주는 기업으로 브랜드 Reputation을 쌓아왔다.
2.1.2. 리콜 사태 및 대응
도요타의 리콜 사태 및 대응은 다음과 같다.
2009년 8월, 캘리포니아 주에서 렉서스 ES350 차량을 탑승한 일가족이 고속도로에서 액셀러레이터 자체의 구조적인 결함 때문에 전원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그 밖의 급발진 결함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도요타는 무대응으로 일관했다. 하지만 2010년 1월 초, 미국의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에서 일부 차종에서 액셀러레이터 자체의 구조적인 결함 때문에 액셀러레이터가 다시 튀어 올라오지 못하는 문제점을 발견했다. 또한 일부에서 도요타의 급발진 의심 사고는 지난 2007년부터 보고되었고 이로 인해 최소 5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지적하며 도요타의 적극적인 대처를 요구했다.
이에 도요타는 안전 결함을 인지하고도 무 대응으로 일관했다는 것을 인정하며 2010년에서부터 리콜을 시작했다. 도요타는 북미, 중국, 유럽 등을 포함해 모두 1천2백만여 대를 리콜했다. 이는 2011년 판매량 790만 대보다 4백만 대 이상 많은 규모로 전 세계 자동차 판매량 1위를 기록했던 도요타가 4위로 밀려나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
미국 법무부는 리콜 사태에 대해 수사를 진행했으며 청문회를 통해 아키오 도요타 사장을 출석시켜 조사했다. 결국 도요타는 약 12억 달러(1조3천억 원)를 과징금으로 내고 소비자들이 소송한 손해배상금으로는 약 11억 달러(1조2천억 원)를 지불하며 리콜비용으로는 24억 달러(2조6천억 원)를 지출해야 했다. 이러한 대규모 비용 지출은 도요타의 막대한 피해를 드러낸다.
2.1.3. 결과 및 전망
이렇듯 급속한 글로벌화에 대한 충분한 계획과 대응이 부족하고 과도한 원가절감으로 인한 품질 경영의 실패가 도요타의 리콜 사태의 두 가지 큰 원인이었다고 볼 수 있다.
도요타의 미래는 고객의 안전을 위한 '품질 관리'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바탕으로 고객 중심적이고 생명 존중적인 경영활동과 함께 강력한 생산시스템과 우수한 인적자원을 바탕으로 품질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감독으로 제품을 생산한다면 도요타의 미래는 밝을 것이다.
2.2. 폭스바겐
2.2.1. 기업소개
폭스바겐 그룹은 독일 볼프스부르크(Wolfsburg)에 본사를 ...
참고 자료
매일경제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News토마토, 이충희 기자, 2014.6.22
호주 일간 시드니모닝 헤럴드
도요타, GM, 폭스바겐의 1위 경쟁 및 전망,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2013
CEO스코어, 2013
기업사전, 2011.8.5, 굿모닝미디어
위키백과
포커스26호-세계 자동차 리콜사태 동향과 우리에의 시사점
[위기의 한국차]① 현대차·기아의 내수 독주 후 '혁신의 싹' 잘렸다", 연선옥 기자, 조선비즈, 2021.01.29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1/28/2021012802522.html
2022년 6월 국산차 판매…간만에 기지개 켠 QM6", 신화섭 기자, 모터그래프, 2022.07.01
https://www.motorgraph.com/news/articleView.html?idxno=30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