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만 1세 영아 발달 평가
1.1. 기본 생활 습관
1.1.1. 식습관
만 1세 영아의 식습관은 다음과 같다.
만 1세 영아는 제공되는 간식이나 점심 음식에 대한 관심이 많지만, 시각적인 감각이 예민하여 싫어하는 음식이 나오면 끝까지 먹지 않는 편이다. 밥을 손으로 먹거나 숟가락이 아닌 포크로 먹으려 하는 등 아직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태이다. 하지만 교사의 지도로 골고루 먹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일부 영아들은 편식이 심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들은 음식에 대한 호기심은 있지만 처음에는 새로운 음식을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점차 친숙해지면서 간식 및 식사 시간에 제공되는 다양한 음식들을 도구를 사용해 맛보려 시도하는 등 점진적으로 식습관이 개선되고 있는 양상이다.
이처럼 만 1세 영아의 식습관은 개인차가 있지만, 대체로 음식에 대한 관심은 많으나 아직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1.1.2. 배변 습관
배변 습관은 만 1세 영아의 기본 생활 습관 중 하나로, 이 시기 영아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영아들은 이 시기에 배변에 대한 의사 표현이 가능해지기 시작합니다. 많은 영아들이 배변 시 느낌을 표정이나 간단한 단어로 표현할 수 있으며, 배변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이고 스스로 화장실에서 배변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영아들은 아직 배변 의사를 자발적으로 표현하지 못하지만, 생활 패턴에 맞춰 규칙적으로 배변을 합니다.
배변 습관 발달 과정에서 영아들은 때로는 배변 시 울음이나 저항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는 배변에 대한 불편감이나 두려움 때문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교사나 부모의 지속적인 관심과 격려, 긍정적인 강화를 통해 점차 배변 행동이 안정되고 자연스러워집니다.
영아기 배변 습관 형성은 단순히 생리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서적, 사회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배변 습관이 잘 형성되면 영아의 자립심과 자존감 향상, 또래 관계 형성 등에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배변 습관 지도 시 영아의 발달 수준과 특성을 고려하여, 강압적이지 않고 영아 중심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1.1.3. 수면 습관
만 1세 영아들은 대체로 낮잠 시 자기 이부자리를 알고 누워 편안하게 잠을 자며 기분 좋게 일어난다. 영아들은 수면 습관의 형성이 중요한 시기에 있으므로, 충분한 수면 시간과 규칙적인 수면 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아의 수면에 대한 관찰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부 영아들은 낮잠 시 피로감에 따라 바로 잠들기도 하지만, 조금 뒤척이다가 잠들기도 한다. 또한 어떤 영아들은 잠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작은 소리에도 잠이 깨는 등 수면 습관이 안정적이지 않은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영아의 수면 환경과 생활 리듬을 점검하여 규칙적인 수면 패턴을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대부분의 영아들은 충분한 수면 시간을 가지며 편안하게 잠들고 기분 좋게 일어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영아의 전반적인 발달과 건강한 성장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아기 수면의 질과 양은 이후 발달 단계에까지 지속적인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