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위암의 내시경적 절제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위암의 이해
1.1. 정의 및 유형
1.2. 병태생리
1.2.1. 위험 요인
1.2.2. 진행 과정
1.3. 임상증상
1.4. 진단검사
1.4.1. 내시경 검사
1.4.2. 영상 검사
1.4.3. 조직검사
1.5. 치료
1.5.1. 약물요법
1.5.2. 방사선 요법
1.5.3. 외과적 치료
1.5.3.1. 위절제술
1.5.3.2. 내시경 절제술
1.6. 수술 전후 간호
1.7. 위용종
1.7.1. 원인
1.7.2. 증상
1.7.3. 진단
1.7.4. 치료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위암의 이해
1.1. 정의 및 유형
위암은 원칙적으로 위에 생기는 모든 암을 일컫는 말이지만, 주로 위점막의 선세포(샘세포)에서 발생한 위선암(adenocarcinoma)이 98%를 차지한다. 위선암은 위점막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한 것으로, 암세포들이 샘조직 고유의 형태를 많이 유지하는 경우 분화도가 좋고, 조직의 형태와 세포 모양을 알아보기 힘든 경우 분화도가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화도가 나쁜 경우 림프절 전이가 많고 암이 많이 진행된 경우가 많다. 위선암은 점막에서 성장하기 시작하여 크기가 커지면서 위벽을 침범하고, 위 주변 림프절(림프샘)에 암세포들이 옮아가서 자라며, 더 진행되면 부근의 다른 장기들을 침범하거나 원격전이가 발생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림프종(lymphoma), 간질성 종양(gastrointestinal tumor), 육종(sarcoma), 신경내분비암(neuroendocrine tumor) 등이 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
1.2. 병태생리
1.2.1. 위험 요인
위암의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이 위암의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이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위점막에 염증을 유발하여 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 이형성증 등의 전암 병변으로 진행하면서 유전자 변이를 일으켜 위암을 발생시킨다. 헬리코박터에 감염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이 2-3배 더 높다.
둘째, 만성 위축성 위염과 장상피화생도 위암의 주요 위험 요인이다. 만성 위축성 위염은 위의 정상적인 샘구조가 소실되는 상태로, 이 질환이 있으면 위암 발생 위험이 6배 증가한다. 또한 장상피화생은 위세포가 소장 세포로 바뀌는 것으로, 이 질환이 있을 경우 위암 발생 위험은 10-20배 더 높다.
셋째, 이형성은 세포의 모양과 크기 변화, 핵의 크기 증가, 정상적인 샘구조의 변형을 의미하는데, 고등급 이형성의 경우 위암 발생률이 33-85%에 달한다.
넷째, 위 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에서도 위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양성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으로 위전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위암 발생 위험도가 증가한다.
다섯째, 식생활과 관련된 요인으로 짠 음식, 가공육류와 염장식품, 탄 음식 등의 섭취가 위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특히 짠 음식을 많이 섭취한 사람은 적게 섭취한 사람보다 위암 발생 위험이 4.5배 더 높다.
여섯째, 흡연과 음주도 위암 발생의 위험 요인이다.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이 1.5-2.5배 더 높고, 장기간 음주도 위암 위험을 1.5-2배 가량 증가시킨다.
마지막으로 가족력도 위암 발생 위험을 약 2배 정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유전적 요인보다는 가족 구성원의 생활환경, 특히 식습관이 비슷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종합하면, 헬리코박터 감염, 만성 위염, 장상피화생, 이형성, 위절제술 병력, 식생활, 흡연, 음주, 그리고 가족력 등이 주요 위암 위험 요인이다.
1.2.2. 진행 과정
위암은 정상이던 위점막 세포가 발암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암 유발 유전자가 활성화되거나 암 억제 유전자가 불활성화하면서 암세포로 변하는 과정을 거쳐 진행된다.
위암이 진행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정상 위점막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이나 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 등의 전암성 병변을 거쳐 점차 이형성이 진행된다. 이형성이 고등급으로 진행하게 되면 이시기에 이미 암으로 발전할 위험이 33~85%에 달한다. 이후 암이 점막층에서 출발하여 점차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 순으로 침윤하며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암세포는 림프관 및 혈관을 통해 주변 림프절과 원격 장기로 전이될 수 있다.
따라서 위암은 다단계 발암과정을 거쳐 진행되는데, 정상 점막에서 전암 병변을 거쳐 암으로 발전하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진행과정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게 된다.
1.3. 임상증상
위암 환자는 초기에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위암의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위암의 초기 증상으로는 "속이 쓰려요", "평소처럼 먹었는데 포만감이 많이 들어요", "트림이 많이 나오고 소화 불량의 횟수가 잦아요" 등의 소화불량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일반적인 위염 등과 유사하여 환자들이 위암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진행된 위암의 경우 "검은색의 대변이 나와요", "위쪽 배가 아파요", "아무 이유 없이 체중이 줄어들었어요", "평소보다 요즘 많이 피곤해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배에 덩어리가 만져지는 느낌이 들어요", "음식을 삼키기 어려워요" 등의 객관적인 증상도 관찰될 수 있다.
위암이 진행되면서 유문부 폐쇄에 의한 구토, 출혈에 따른 토혈이나 흑변, 분문부 침범에 따른 연하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복부에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복수 등으로 인한 복부 팽만 등의 증상이 관찰될 수 있다.
이처럼 위암의 초기 증상은 비특이적이며 소화불량 등의 증상과 비슷하여 조기 발견이 어려운 편이다. 하지만 진행된 경우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증상 관찰과 정기 검진이 중요하다.
1.4. 진단검사
...
참고 자료
김성은, 2019, “위암에서 새로운 제8판 AJCC 병기 분류의 임상적, 조직 병리학적 시사점”,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열홍, 2007, “진행성 위암 치료의 최근 동향”, 대한내과학회지 : 제 73권 제 2호
김태용, 2012, “위암치료의 임상진료지침”,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제 63차
노성훈, 이종인, 2006, 위암 진료 권고안, 대한위암학회
대한위암학회 가이드라인위원회, 한국위암치료 가이드라인 2018 : 근거중심 다학제 접근법
박경규, 2003, “조기위암의 외과적 치료”,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박숙련, 2008, “위암에서의 수술 전 선행항암화학요법”,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박찬혁 외 19명, 2020, 조기위장관암 내시경 치료 임상진료지침, Korean J Gastroenterol Vol. 75 No. 5, 264-291
변철수, 한상욱, 2013, “ 진행성 위암의 수술적 치료”,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성인간호학, 2008, 수문사
송정현, 김상운, 송선교, 김세원, 2014, “절제불가능혹은 전이성 위암환자들에게 일차 화학요법으로 시행한 TS-1/Cisplatin 병합요법의 결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영남의대학술지 제 24권 제 2호 부록, 위암의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치료의 역할,윤상모 김명세, 영냠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이준행 외 18명, 2014, 근거기반 위암진료 권고안, Korean J Gastroenterol Vol. 63 No. 2, 66-81
위암표준진료권고안, 2012, 대한의학회
정대영, 김재광, 2013, 진행성 위암 치료의 전망 : 분자표적치료제의 도입과 기대효과, Korean J Gastroenterol Vol. 61 No. 3, 117-127
하은정, 박효정.(2023).위절제술을 받은 위암 환자의 위장관 증상 경험, 디스트레스, 암에 대한 대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24(2),373-381.
위암 수술 환자의 퇴원 간호요구 - 이 종 경, 이 미 순 / 성인간호학회지 제15권 제1호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94.pdf
위암,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https://www.cancer.go.kr/
서울아산병원-위암(Stomach cancer)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67
질환 관련 정보 위암, 서울대학교암병원
https://cancer.snuh.org/m/reservation/meddept/CIC/cancerBbsView.do?seq_no=88&searchWord=
약학정보원 – 약학용어사전 http://www.health.kr/
봄담한방병원 – http://www.bomdam.co.kr/?NaPm=ct%3Dlh8cirio%7Cci%3D0zq00002Wz9yjtTkhf0N%7Ctr%3Dbrnd%7Chk%3D5eec65616da3766814c1e05ad8f54e7546526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