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인간의 뇌(brain)는 중추신경계 중 형태적, 기능적으로 가장 고차의 통합을 실행하는 부분이다. 뇌졸중은 우리나라에서 사망원인 중 두 번째로 많은 원인을 차지하고 있다. 뇌졸중은 이상 증상 발견 시 적절한 치료만 한다면 질병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빠른 치료를 한다면 사망 등의 극단적인 결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뇌경색의 증상 및 치료 방법 등을 인지하여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적절한 간호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학습하기 위해 이번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1.2. 사례 선택 동기
이 환자의 사례를 선택한 동기는 신경과 및 신경외과 병동에 해당되는 병동에서 가장 흔한 질병 중 하나가 뇌경색이기 때문이다. 그 중 시상 경색은 학부 때 자세히 배워보지 않은 질병으로, 더 자세히 공부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어 이 사례를 연구하게 되었다. 실제 인터넷에도 한국 자료 중 구체적으로 시상 경색에 관한 자료가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 사례 연구를 통해 시상 경색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실제 환자의 증상은 어떤 것들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2. 신경계 구조와 기능
2.1. 신경계 구조
신경계는 사고, 기억, 판단, 감각, 운동, 인지, 대화, 행동과 인격을 관장하는 중추로서 환경의 변화를 수용하여 해석하고 반응함으로써 신체와 정신을 통합하고 조절한다. 신경계는 central nervous system(중추신경계)와 peripheral nervous system(말초신경계)로 구성되어 있다. central nervous system(중추신경계)는 brain(뇌)과 spinal cord(척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peripheral nervous system(말초신경계)는 cranial nerves(뇌신경), spinal nerve(척수신경), autonomic nervous system(자율신경계)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신경계는 다시 sympathetic nervous system(교감신경)과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부교감신경)으로 나뉜다.
neurons, nerve cells(신경원 또는 신경세포)은 신경계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서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정보를 받아들여 다른 neurons(신경원)에 전달한다. 신경원은 기능에 따라 운동기능, 감각기능, 자율신경기능에 관여하는 신경원으로 나뉘며, 각 신경원의 구조는 cell body(세포체), dendrite(수상돌기), axon(축삭)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경은 기능에 따라 감각, 운동, 연합신경으로 분류된다. 감각신경은 감각수용기가 인지한 체내, 체외의 변화를 중추신경으로 전달하고, 운동신경은 중추에서 효과기(근육, 선)로 흥분을 전달한다. 연합신경은 운동신경과 감각신경 사이에 위치하거나 중추신경에서 복잡한 경로를 형성한다.
central nervous system(중추신경계)는 brain(뇌)과 spinal cord(척수)로 구성되며, 기능적으로 고위 뇌 부분, 하위 뇌 부분, spinal cord(척수)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위 뇌 부분은 cerebral cortex(대뇌피질)이 해당되며, 의식 상태에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하위 뇌 부분은 주로 무의식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생명 유지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spinal cord(척수) 부분은 상위 중추신경계통과 말초기관 사이의 전달 통로 역할을 하며, 반사운동 등을 담당한다.
2.2. 뇌의 구조와 기능
뇌는 신경계 중에서 가장 복잡한 기관으로, 성인의 경우 1250g~1350g의 무게를 가진다. 뇌는 출생 후 2~3개월에 신경세포의 유사분열이 완성되고, 그 이후에는 수적인 증가는 없으며 성장만 계속하여 20세경에 가장 무겁고 이후 점차 줄어들게 된다. 뇌는 작용과 기능에 따라 대뇌, 소뇌, 간뇌, 뇌간으로 구분된다.
대뇌피질은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두엽은 운동중추의 역할을 하며, 두정엽은 감각을 받아들이고 사물의 크기, 형태, 무게, 짜임새, 정도를 인식하며 신체상을 형성한다. 측두엽에는 청각중추가 있어 소리를 해석하고, 후두엽에는 시각중추가 있어 색깔을 지각하고 시각을 해석한다.
간뇌는 시상, 시상하부, 뇌하수체로 구성되어 있다. 시상은 감각의 연결중추로 후각을 제외한 모든 감각을 종합하여 대뇌피질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시상하부는 본능적 욕구 조절, 체온조절, 체액과 전해질 균형의 조절, 음식물 섭취의 조절, 자궁 수축과 유즙 배출 등 항상성 유지에 관여한다. 뇌하수체는 시상하부와 연결되어 호르몬 기능을 통제한다.
뇌간은 중뇌, 뇌교, 연수로 구성되어 있다. 중뇌는 동안신경과 활차신경을 담당하고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뇌교는 많은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