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나의 간호정보역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정보역량의 핵심요소
1.1. 기본 컴퓨터 역량
1.2. 정보소양 역량
1.3. 정보관리 역량
2. 간호정보역량 자가진단
2.1. 기본 컴퓨터 역량 자가진단
2.2. 정보소양 역량 자가진단
2.3. 정보관리 역량 자가진단
3. 간호정보역량 개발을 위한 방안
3.1. 간호정보학 이해 증진
3.2. 정보평가 및 활용능력 향상
3.3. 보건의료정보시스템 활용역량 강화
4. ICT 활용 간호교육
4.1. 이론학습을 위한 ICT 활용
4.2. 실습학습을 위한 ICT 활용
4.3. 메타버스 기반 간호교육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정보역량의 핵심요소
1.1. 기본 컴퓨터 역량
기본 컴퓨터 역량은 컴퓨터, 인터넷 등과 같은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고 전자의무기록 도입률이 거의 100%에 달하는 현대의 보건의료환경에서 간호사가 생존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역량이다. 기본 컴퓨터 역량에는 정보통신기술의 기본개념, 컴퓨터 활용과 파일관리, 문서작성,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 활용, 프레젠테이션, 웹검색과 통신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기본 컴퓨터 역량은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과 통신기술(Communication Technology, CT)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컴퓨터, 인터넷, 각종 정보기기 등을 사용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등의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문서작성, 자료정리, 정보전달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정보를 관리하고, 웹검색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찾아 활용할 수 있는 능력도 포함된다.
간호사들은 이러한 기본 컴퓨터 역량을 바탕으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등 보건의료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환자 관리와 간호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활력징후, 검사결과, 투약내역 등의 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하고 기록할 수 있으며, 다른 의료진들과 정보를 공유하여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또한 근거기반 실무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온라인으로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에게 기본 컴퓨터 역량은 보건의료환경에서 생존하고 전문적인 간호실무를 수행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1.2. 정보소양 역량
정보소양 역량은 컴퓨터 소양에 기초를 두고 개발되는 역량으로, 목적에 맞는 정보가 무엇인지 규명하고, 검색하고, 평가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정보소양은 근거기반 간호실무를 도입하는 데 있어서 결정적으로 필요한 소양이다.
간호사는 실무에서 어떤 정보가 필요한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때 비평적 사고와 평가기술이 요구된다. 필요한 정보는 동료 간호사, 정책 보고서, 문헌, 인터넷 등과 같은 자원을 활용하여 찾는다. 찾은 정보를 평가하려면 역시 비평적 사고와 정보원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정보의 실제 활용은 그 정보를 실무에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정보활용으로 업무가 향상되었는지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보소양 역량은 간호와 근거기반실무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정보소양 역량은 ① 필요한 정보의 특성과 범위를 결정하고, ②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검색하며, ③ 정보와 정보원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선택된 정보를 자신의 지식베이스와 가치체계에 접목하고, ④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⑤ 정보활용의 성과를 평가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간호학생으로서 임상실습을 진행하면서 이러한 정보소양 역량을 발휘할 수 있었다. 해당 실습과목에 대한 사전학습을 위해 필요한 정보의 범위를 정하고 정보를 탐색, 확인하고 활용하여 임상실습에서 학생간호사로서 할 수 있는 간호중재가 무엇이며 어떠한 임상정보를 선생님께 우선적으로 전달하여야 하는지를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활력징후나 혈당 등의 정상수치를 알고 그 이상이나 이하를 나타내는 정보로 환자 상태를 예측하는 것이다. 해당 정보들이 나타내는 환자 상태, 나타날 수 있는 증상과 증상을 완화, 악화시키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한 간호지식을 가지고 임상실습에서 적절한 간호중재를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었다. 또한 변화된 환자의 상태변화에 대한 임상정보를 선생님께 보고하여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었다.
물론 정보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선택된 정보를 나의 지식베이스와 가치체계에 접목하는 것은 계속적인 지식과 간호실무능력을 향상시키며 개발해 나가야 하는 역량이라고 생각된다. 학생간호사로서 기본적인 정보소양을 갖추고 있지만 여전히 부족한 부분이 있어 이 부분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1.3. 정보관리 역량
정보관리 역량이란 ...
참고 자료
최신 간호정보학 제3판, 박현애 조인숙 외, 현문사, 2021, P36~38, P318~325.
ICT 활용 교육에 관한 고찰, 김종훈, 제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 제7집, 2002.12
간호학생을 위한 메타버스기반 활력징후측정과 피하주사 핵심간호술 콘텐츠 개발 및 효과검증, 안민권, JKASNE Vol 28. 2022
메타버스를 활용한 비대면 교육훈련이 교육생의 학습목입에 미치는 영향, 서동기, 경일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http://www.nursing-xr.com/
https://artsandculture.goog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