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조직문화의 개념과 특성
1.1. 조직문화의 정의
조직문화는 "조직의 분위기를 결정하는 조직의 가치관, 신조 및 조직 내에서 행동패턴을 규정하는 기준"이다"
조직문화는 "조직구성원들이 집단적으로 공유하는 조직행동의 기본전제로 조직의 가치와 신념, 규범, 관습 및 행동양식"을 의미한다"
즉, 조직문화는 조직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가치, 신념, 규범, 관습, 행동양식 등이 반영된 조직 고유의 특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1.2.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조직문화의 구성요소는 잠재의식 수준으로서의 기본적 믿음과 전제, 인식수준으로서의 가치와 규범, 그리고 가시적 수준으로서의 표면에 드러난 인공물로 구분된다.
잠재의식 수준으로서의 기본적 믿음과 전제는 조직 구성원들이 당연한 것으로 간주하는 근본적인 가정들이다. 이는 조직구성원들이 무의식적으로 공유하고 있는 신념과 가치관을 의미한다.
인식수준으로서의 가치와 규범은 구성원들에게 무엇이 중요한지, 기대되는 행동양식이 무엇인지를 규정하는 것이다. 이는 겉으로 보이는 행동의 기준이 되며,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가치관과 행동규범을 포함한다.
가시적 수준으로서의 표면에 드러난 인공물에는 말하는 방식, 행동하는 방식, 의사소통방식 등의 구체적인 행동양식이 포함된다. 이는 조직문화가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징표들로서, 구성원들의 가치관과 신념이 실제 행동으로 표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조직문화의 구성요소는 조직의 내면에 존재하는 근본적인 가정, 가치 및 규범, 그리고 이를 구체화한 가시적인 행동양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요소들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조직문화를 형성하며, 조직구성원들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1.3. 조직문화의 유형
조직문화의 유형은 학자들마다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지만, 대표적인 분류로 Harrison(1972)과 Johns(1983)의 유형이 있다.
Harrison(1972)은 조직문화를 권력지향적 문화, 역할문화, 과업문화, 인간문화로 구분하고 있다. 권력지향적 문화는 최고 경영자의 지시와 강력한 통제에 따라 운영되는 문화이다. 역할문화는 공식적인 규정과 절차에 의해 업무가 수행되는 관료주의적 문화이다. 과업문화는 과업 수행에 초점을 두고 성과 달성을 강조하는 문화이다. 인간문화는 구성원 개인의 자아실현과 만족을 최우선으로 하는 문화이다.
Johns(1983)는 조직문화를 생산적 문화, 관료적 문화, 전문직 문화로 구분하였다. 생산적 문화는 생산성과 효율성을 강조하는 문화이다. 관료적 문화는 규칙과 절차를 중시하는 전형적인 관료제 문화이다. 전문직 문화는 구성원의 전문적 자율성을 중시하는 문화이다.
이 밖에도 조직문화는 남성문화, 업무중심의 문화, 인간관계중심의 문화, 과정중시 문화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처럼 조직문화는 매우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조직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2. 조직문화의 형성과 변화
2.1. 조직문화의 형성
조직문화의 형성은 조직의 설립자나 최고경영자의 경영이념과 철학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가치관이 조직 구성원들에게 보다 폭넓고 깊게 확산, 내재화될 때 이루어진다"".
조직 설립자나 최고경영자의 비전과 가치관이 조직문화의 근간을 이루게 되는데, 이들이 추구하는 목표와 신념체계가 구성원들에게 지속적으로 전달되고 공유됨에 따라 조직문화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핵심가치와 신념체계는 구성원 선발, 교육훈련, 경영자의 언행 등을 통해 조직 내에 지속적으로 전파되고 내재화되어 나가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조직문화의 형성은 조직의 창업자나 최고경영자의 철학과 비전이 구성원들에게 공유되고 내면화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조직 내 제도와 관행을 통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전승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2.2. 조직문화의 유지 및 전파
조직문화의 유지 및 전파는 조직문화의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조직문화는 조직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가치관, 신념, 행동양식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문화가 지속되고 전승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 간 문화에 대한 공감대와 전파 노력이 필요하다.
조직문화의 유지 및 전파를 위해서는 먼저 조직 구성원들의 선발과 교육훈련이 중요하다. 새로 입사한 구성원들이 기존 조직문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소통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조직 내 의사소통 채널을 통해 조직문화에 대한 공유와 이해를 높일 수 있다. 경영진의 언행과 의사결정, 조직 내 의례와 상징물 등을 통해서도 조직문화가 지속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 구성원들의 모범적인 행동을 통해 조직문화가 전파되고 내재화될 수 있다. 조직문화의 모범이 되는 구성원을 발굴하여 포상하고 알리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조직문화에 대한 관심과 자발적인 참여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