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과 건강증진행위
1.1. 서론
월경전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PMS)은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의 신체적, 정서적 또는 행동적으로 복합된 증후군이 월경 전 약 2∼10일에 나타났다가 월경 시작 직전이나 월경 직후에 소실되는 것을 말한다. 그 증상을 살펴보면, 유방압통, 사지부종, 요통, 복통, 두통 등의 신체증상과 짜증, 불안, 긴장, 우울, 통제력 상실 등의 정서적 증상, 그리고 2차적으로 수면장애, 흥미 저하, 사회적 위축 등의 행동증상들이 포함된다. 우리나라 가임 여성의 80%가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하고 있으며, 연령별로 여대생, 중년여성, 여고생 순으로 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대생은 높은 연령의 가임기 여성들보다 월경지속기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미혼여성의 산부인과 방문에 대한 편견으로 치료보다는 스스로 감내하려는 경향이 높아 어느 연령 집단보다도 월경 전 증상 관리가 요구되는 중요 대상자이다.
1.2. 연구방법
1.2.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대상자는 B시에 위치한 1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여학생으로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 참여를 희망한 자이다. 서면동의를 받은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작성 후 그 자리에서 회수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4월 1일부터 4월 20일까지 였으며 총 170부의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한 8부를 제외하고 총 162부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1.06세이고 1학년 54명 (33.3%), 4학년 49명(29.6%), 2학년 39명(23.5%), 3학년 22명(13.6%)이었다.
1.2.2. 연구도구
월경전증후군 Moss(1968)가 개발한 MDQ(menstrual discomfort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MDQ는 월경전기 증상들을 분류하고 각각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47개의 부정적 증상을 나타내는 질문지이다. 월경전증후군 점수에 따라 1.0∼2.0 점은 정상 군, 2.1∼3.0점은 보통 군, 3.1∼5.0점은 심한 군으로 구분하였다. Cronbach's 알파 값은 본 연구에서 .960이었다.
건강증진행위 Walker, Sechrist, Pender(1995)의 HPLP-II(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II)를 Seo, Ha(2004)가 우리나라의 특성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도구개발 당시 Cronbach's 알파 값은 .920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901이었다.
1.2.3. 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PMS)과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월경전증후군과 건강증진행위의 차이는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으로 분석하였고, Scheffé검정으로 사후 검증하였다.
넷째,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PMS)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3. 연구결과
1.3.1.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과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 평균 점수는 1.83±.59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통증과 수분정체가 2.05±.71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부정적 정서 1.97±.84점, 행동 변화 1.81±.68점, 집중력 1.67±.78점, 위장계 변화 1.63±.31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자율신경계 변화는 1.45±.50점으로 가장 낮았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는 평균 2.67점±.31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신체활동 2.71±.34점, 건강 책임 2.68±.37점, 스트레스관리 2.66±.31점, 영적 성장 2.59±.39점, 영양 2.57±.33점 순이었으며, 대인관계가 2.48±.39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3.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월경전증후군과 건강증진행위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월경전증후군과 건강증진행위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학년(F=3.024, p=031)과 주거형태(F=2.949, p=.035)가 월경전증후군 전체 점수에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4학년이 3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