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 교육 그림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소화기 교육 그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안전관리
1.1. 분전반 관리
1.2. 인테리어 방염 관리
1.3. 피난 유도등 관리
1.4. 비상대피도 관리
1.5. 소화설비(소화기, 스프링클러) 관리

2. 급성 충수돌기염
2.1. 정의 및 원인
2.2. 병태생리
2.3. 증상과 징후
2.4. 진단적 검사
2.5. 치료
2.6. 간호중재

3. 급성 위궤양
3.1. 정의
3.2. 원인 및 관련요인
3.3. 증상 및 징후
3.4. 검사
3.5. 간호중재
3.6. 간호사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안전관리
1.1. 분전반 관리

분전반은 전기, 전자 모선과 조명, 온도 전력 회로 제어용 스위치가 있는 패널들을 모아놓은 집합체이다. 아이들의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에 설치하여 아이들이 함부로 만질 수 없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되도록 지능형 분전반을 설치하여 과전류나 누전, 불꽃방전의 감시 등 전기관련부분을 전기안전공사와 연계하고 실시간 감시하며 빠르게 출동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는 분전반 차단기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해야하며, 분전반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새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또한 보육시설에서는 분전반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 월 1회 이상 분전반 개폐기가 제대로 작동하지를 확인해야하고 1년에 1차례 이상은 정기안전점검을 받아 분전반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2. 인테리어 방염 관리

노유자시설(어린이집, 유치원, 경로당, 양로원)은 방염처리대상에 해당되지만 어린이집 계단 및 계단 손잡이, 바닥재, 창문과 문, 창틀 등 여러 곳이 방염해당물품에 제외되어 방염처리를 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어린이집들이 방염 처리된 값비싼 방염이 되는 자재 대신에 저렴한 방염 처리가 되지 않은 자재들을 사용하고 있다.

방염처리는 소중한 아이들의 목숨과 직결되어 있으므로 어린이집 복도에는 방염 처리된 벽지를 사용하거나 방염되는 친환경 페인트를 사용하고 반드시 관할 소방서에서 방염성능검사 성적서까지 발부 받아 아이들을 화재에서 보호해야만 한다. 되도록 어린이집 복도에 있는 커튼과 블라인드, 카페트, 쿠션, 기타 구성물 역시 되도록 방염처리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1.3. 피난 유도등 관리

피난 유도등은 화재 시 피난을 유도하기 위한 등으로, 정전 시 비상 전원으로 자동 전환되어 피난구 또는 피난경로로 사용되는 출입구를 표시하는 등을 말한다. 어린이집 복도에 반드시 피난 유도등과 유도표지가 설치되어야 하며, 피난 유도등의 경우 30m 거리에서 문자 및 색채 식별이 가능하고 비상 시 혼란을 주지 않도록 분명한 그림이 그려져 있어야 한다. 또한 충전식 건전지를 사용하는 피난유도등의 경우 수명이 다 했을 시 전기가 끊겨 제기능을 못하게 되므로, 건전지가 수명은 다하지 않았는지 확인하여 제대로 작동하는지 주기적으로 살펴보고 필요시 전문업체에 수리 및 점검을 받도록 해야 한다. 이처럼 어린이집 복도의 피난 유도등 관리는 화재 발생 시 원활한 대피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1.4. 비상대피도 관리

비상대피도는 어린이집 복도에 반드시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현 위치를 기점으로 외부로 나갈 수 있는 모든 경로를 표기한 피난 안내도가 함께 붙여 있어야 한다. 비상대피도에는 현 위치를 기점으로 제일 짧은 대피경로를 굵게 표시하여 화재 발생 시에 아동과 어린이집 종사자들이 빠르게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아이들에게 정기적으로 안전교육을 할 때 비상대피도를 보는 방법을 알려주어 숙지하도록 교육하여야 한다. 비상대피도에는 어떠한 적재물이 있어서는 안 되며 어린이집에는 평소에 비상대피도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1.5. 소화설비(소화기, 스프링클러) 관리

어린이집 복도의 소화설비(소화기, 스프링클러) 관리는 아이들의 생명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소화기의 경우 어린이집에는 분말소화기를 설치하고 투척용 소화기도 1/2 이상 설치해야 한다. 소화기에는 안전핀 등 잠금장치를 하여 비상시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소화기는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압력 상태도 월 1회 이상 확인해야 한다. 또한 연면적 33제곱미터 이상에 1대 이상 소화기를 비치하되 공간의 제약성을 고려하여 필요시 추가로 비치해야 한다. 스프링클러의 경우 어린이집이 노유자 시설이기 때문에 바닥면적의 합계가 600제곱미터 이상이거나 4층 이상인 경우 모든 층에 일반 스프링클러를 설치해야 한다.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제곱미터 이상 600제곱미터 미만이거나 300제곱미터 미만이고 창살이 설치된 시설은 간이스프링클러를 설치해야 한다. 스프링클러는 설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새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간이 스프링클러의 경우 충전식 건전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건전지 수명이 다하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스프링클러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주기적으로 살펴봐야 한다. 이처럼 어린이집 복도의 소화설비(소화기, 스프링클러) 관리는 매우 중요하며 화재 발생 시 아이들의 생명을 지키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2. 급성 충수돌기염
2.1. 정의 및 원인

급성 충수돌기염은 충수에서 발생하는 염증 중에서 가장 흔한 질환으로 모든 연령층에서 나타날 수 있으나 주로 10~30대에서 호발한다. 이 시기에 충수 내 임파 조직의 양이 최대치로 증가하여 임파 조직의 과형성이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충수염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충수 개구...


참고 자료

尹 보육공약 발표…만5세 전면무상보육·육아휴직 확대 | 연합뉴스 | 2021.09.15
https://www.yna.co.kr/view/AKR20210915160800001?input=1195m
어린이집 운영관리(3판) (3판) 문혁준 저 | 창지사 | 2020.02.27
2015 유치원 시설안전관리 매뉴얼 교육부 저 | 2015.06
네이버 지식백과] 충수염 [appendicit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서울 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
약학정보원 www.health.kr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
김숙영 외(2023) , 성인간호학 10판, 수문사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I, II, 수문사, 2022.
이동숙 외, 기본간호학I, II, 2019.
국제간호진단협회 외,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21.
기본간호학I, 이동숙 외. 메디컬사이언스, 2019.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9.
노인간호학, 한국노인간호학회, 현문사, 235p, 2020.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연관 소화성 궤양, Peptic Ulcer Disease Associated wit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여세환 외, 2016.
상부위장관 출혈의 치료: 소화성궤양 출혈을 중심으로, Treatment of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with emphasis on peptic ulcer bleeding, 강기주 외, 201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