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정지 cas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2. 심정지(Cardiac arrest)
2.1. 정의
2.2. 원인 및 관련요인
2.3. 경과단계
2.4. 증상 및 증후
2.5. 진단 검사
3. 심폐소생술 및 간호
3.1. 심폐소생술
3.2. 전문기도유지술 및 인공호흡
3.3. 약물투여
3.4. 통합치료 및 간호
4. 급성 심근경색
4.1. 정의
4.2. 원인
4.3. 증상
4.4. 진단/검사
4.5. 치료 및 간호
5. 사례보고서
5.1. 질병연구
5.2. 간호사정기록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국내에서 심정지 발생 시 심폐소생술 시행으로 인한 생존율은 2.4배인 것으로 보고된 바가 있다. 심정지 발생 후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시간이 늦어졌던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입원기간이 길고 시간이 더욱 많이 소요되었으며 심정지 상황에서 빠른 심폐소생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심정지 상태를 조기에 감지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심정지에 대한 중재와 향후 치료에 대해 알아보고 연구해보자 선정하게 되었다."
1.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은 다음과 같다.
심정지(Cardiac arrest)는 호흡 또는 심박동의 정지로 발생하는 일련의 상태를 말하며 임상적으로 맥박이 촉지 되지 않고, 의식과 호흡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심정지가 발생한 후 4-6분이 경과되면 치명적인 뇌손상 및 사망을 초래하므로 환자가 발생한 현장에서 목격자에 의해 행해지는 심폐소생술로 대상자의 생명이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심정지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심장기능 장애로 인하여 심정지가 발생하는 심장성(Cardiogenic) 심정지와 둘째, 심장질환 이외의 다른 질환에 의한 합병증으로 심정지가 발생하는 비심장성(non-cardiogenic) 심정지가 있다. 심장성 심정지의 주요원인은 심장동맥질환이다. 동맥경화에 의한 급성심근경색, 심장 동맥 연축 등 다양한 심장동맥 질환에 의한 심근허혈이 심정지를 유발한다. 비심장성 심정지의 주요 원인은 폐질환이나 기도폐쇄에 의한 호흡부전을 들 수 있다.
심정지 환자에서는 전기시기(Electrical phase), 순환시기(Circulatory phase), 대사시기(Metabolic phase)의 3단계를 거친다. 전기시기는 심정지가 발생한 후부터 4-5분까지의 시기이며 심정지가 발생하였지만 아직 조직손상이 없는 시기로서 심박동이 회복되면 신체의 조직손상 없이 회복될 수 있다. 순환시기는 심정지가 발생한 후 4-5분부터 10분정도까지의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생체에너지가 급격히 고갈되고 허혈에 의한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이다. 대사시기는 심정지 후 10분 이후의 시기로, 이 시기에는 대사성 산증과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심정지 환자의 주요 증상 및 증후로는 갑작스러운 의식상실과 함께 호흡이 중단되고 맥박이 소실되며 동공이 이완된다. 혈압도 측정할 수 없으며 사지의 경련과 피부나 안색이 회색으로 변하게 된다. 특히 경동맥의 맥박소실은 확실한 심정지 상태를 나타내는 특징적 징후이다.
심정지 환자의 진단을 위해서는 심전도 검사가 매우 중요하다. 심정지 환자에서 관찰되는 심전도 리듬으로는 심실세동, 무맥성 심실빈맥, 무수축, 그리고 무맥성 전기활동 등이 있다. 이에 따라 제세동, 가슴압박, 약물투여 등의 응급처치가 달라진다.
따라서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심정지의 예방과 조기 발견, 신속한 심폐소생술, 신속한 제세동, 효과적인 전문 심폐소생술과 심정지 후 통합치료 등 연속적인 생존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2. 심정지(Cardiac arrest)
2.1. 정의
심정지란 호흡 또는 심박동의 정지로 발생하는 일련의 상태를 말하며 임상적으로 맥박이 촉지되지 않고, 의식과 호흡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심정지가 발생한 후 4-6분이 경과되면 치명적인 뇌손상 및 사망을 초래하므로 환자가 발생한 현장에서 목격자에 의해 행해지는 심폐소생술로 대상자의 생명이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2.2. 원인 및 관련요인
심정지(Cardiac arrest)의 원인 및 관련요인은 다음과 같다.
심정지는 일차적으로 심장기능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심장성(Cardiogenic) 심정지와 심장질환 이외의 다른 질환에 의한 합병증으로 심정지가 발생하는 비심장성(non-cardiogenic) 심정지로 구분할 수 있다.
심장성 심정지의 주요 원인은 관상동맥질환이다. 동맥경화에 의한 급성심근경색, 심장 동맥 연축 등 다양한 심장동맥 질환에 의한 심근허혈이 심정지를 유발한다. 이외에도 부정맥, 비후성 심근증, 확장성 심근병증 등의 원인으로 인해 심정지가 발생할 수 있다.
비심장성 심정지의 원인으로는 호흡부전, 쇼크 등의 상태가 있다. 폐질환이나 기도폐쇄에 의한 호흡부전, 출혈이나 감염 등으로 인한 쇼크 상태가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소아에서는 급성 호흡부전이나 갑작스러운 질식이 주요 원인이 된다.
연령, 성별, 생활습관 등의 요인도 심정지 발생의 관련요인이 된다. 노인에게서 심정지가 더 흔하게 나타나며, 남성에게서 발생률이 높다. 흡연, 고지방식사, 운동부족, 비만 등의 생활습관이 심정지 위험을 증가시킨다. 유전적 요인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3. 경과단계
심정지의 경과단계는 크게 전기시기(Electrical phase), 순환시기(Circulatory phase), 대사시기(Metabolic phase)의 3단계로 구분된다"
전기시기(Electrical phase)는 심정지가 발생한 후 4-5분까지의 시기이며, 이 시기에는 심정지가 발생했지만 아직 조직손상이 없는 시기로서 심박동이 회복되면 신체의 조직손상 없이 회복될 수 있다"
순환시기(Circulatory phase)는 심정지가 발생한 후 4-5분부터 10분정도까지의 시기로, 이 시기에는 생체에너지가 급격히 고갈되고 허혈에 의한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이며 심폐소생술 후에 제세동을 시행한다"
대사시기(Metabolic phase)는 심정지 발생 후 10분 이후의 시기로, 이 시기에는 조직 손상이 심각해져 대사성 산증, 저체온, 전해질 불균형 등이 나타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치료적 대응이 필요하다"
2.4. 증상 및 증후
심정지 환자의 증상 및...
참고 자료
대한심폐소생술, 심정지,
http://kacpr.org/download/대한심폐소생협회%20기본소생술(KBLS)%20교재%20(최종).pdf,
2023.7.14
약학정보원,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3780A0159
2023.7.13
질병관리청.국가 손상정보포털,질병관리청,
https://www.kdca.go.kr/injury/biz/injury/bsnsIntrcn/acfdsesCaExaminMain.do;jsessionid=4BADB8CD359B3E9E2F129631C11EB649,2023.7.13
박은영 외 (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 p.34,86,125,209,239~244
윤은자 외,(2019),성인간호학 II , 수문사, p.800-806
성인간호학, 신경림(편역) 외 공저, 현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이동숙 외 공저, 포널스 출판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서울아산병원홈페이지(http://www.amc.seoul.kr/asan/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