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 발달이론 요약 및 현대 청소년기 특징 설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청소년 발달이론과 현대 청소년기의 특징
1.1. 청소년 발달이론
1.1.1. 동양 전통사상
1.1.2. 생물학적 이론
1.1.3. 정신분석이론
1.1.4. 대인관계 이론
1.1.5. 심리사회발달이론
1.2. 현대 청소년복지의 관점
1.2.1. 문제 중심적 관점
1.2.2. 예방적 관점
1.2.3. 청소년개발 관점
1.3. 현대 청소년의 특징
1.3.1. 문제 중심적 관점에서의 청소년 특징
1.3.2. 예방적 관점에서의 청소년 특징
1.3.3. 청소년개발 관점에서의 청소년 특징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청소년 발달이론과 현대 청소년기의 특징
1.1. 청소년 발달이론
1.1.1. 동양 전통사상
동양 전통사상에서는 청소년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없었다. 대신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시기를 아동과 성인의 중간 단계로 인식하였다. 예를 들어 《논어》에서는 "열 살에는 따르고 십오 세에는 칭찬하며 이십 세에는 궁지에 처하게 한다"고 언급하여 학문에 뜻을 두는 시기를 10대부터 20대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예기》에서는 10대와 20대의 과업을 결혼과 배움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처럼 동양 전통사상에서는 청소년기를 아직 어리지만 점차 성인으로 성장해가는 과도기로 바라보았으며, 학문과 결혼이라는 특정 과업에 초점을 맞추어 청소년기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즉, 동양 전통사상에서는 청소년을 어른으로 대우하고 그들이 과업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왔던 것이다.
1.1.2. 생물학적 이론
생물학적 이론은 인간의 발달이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고 생물학적 요인이 인간의 성장과 행동을 통제하며 일정한 패턴을 만들어낸다고 주장한다.
Hall(1904)은 「청소년기」라는 저서에서 인간의 발달단계를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 전기, 청소년 후기, 성인기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여기서 청소년 전기(8~14세)는 인간 특성과 야만적 특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 연습과 교육을 통해 기술을 획득하는 특징을 가지며, 청소년 후기(14~25세)는 인류가 문명적으로 변화하는 시기로 급격한 변화로 인해 안정적이지 못한 특징을 가진다고 하였다. 이처럼 Hall은 청소년기를 다른 발달단계와 구분되는 성격을 가진 시기로 보았으며, 이 시기의 청소년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기에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생물학적 이론은 청소년기를 선천적으로 결정된 유전자에 의한 패턴으로 이해하고자 했으며, 청소년기를 다른 시기와 구분하면서 특히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관점을 제공하였...
참고 자료
최미경·최세영(2021). 「청소년복지론」. 어가
장수한, 청소년복지론, 양서원, 2023
김재엽, 청소년복지론, 학지사, 2022
노병일, 청소년문제와 보호, 양성원, 2022
김지혜, 이명숙 외 3명 저, 청소년복지론, 2021
학습자료-<청소년복지론>.
경상일보. 《10대 초반청소년 범죄 심각 수준면에서 성인능가》. 2001.01.16. 경상일보.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594
소년참여기구. https://www.youth.go.kr/ywith/ibuilder.do?menu_idx=16
최미경·최세영(2021). 「청소년복지론」. 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