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농산물 직거래의 개념과 현황
1.1. 농산물 직거래의 개념
농산물 직거래의 개념은 생산자가 생산한 농산물을 중간유통기구(도매시장, 협동조합공판장, 위탁상 등)를 거치지 않고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기존의 중간 유통 경로를 배제한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직접적인 거래를 말한다. 이에는 협의의 직거래(농민-소비자 직거래: 농장직판, 노변판매, 농민장터, 통신주문판매 등이 포함됨), 생산자단체가 운영하는 하나로 클럽, 하나로 마트, 직판장, 등이 포함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농산물의 10~12%정도가 이러한 의미의 직거래로 유통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2. 농산물 직거래의 유형
농산물 직거래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협의의 직거래에는 농민-소비자 직거래, 즉 농장직판, 노변판매, 농민장터, 통신주문판매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생산자단체가 운영하는 하나로 클럽, 하나로 마트, 직판장 등도 직거래 유형에 포함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농산물의 10~12% 정도가 이러한 의미의 직거래로 유통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1976년 "직거래법"의 제정으로 생산자단체의 유통활동을 직거래에 포함하며 직거래의 비중이 3~5% 정도이고, 일본에서는 탈도매시장 운동의 일환으로 직거래가 촉진되어 시장 외 거래를 직거래로 간주하고 있다. 1993년 기준으로 채소 15%, 과실 28%, 화훼 14%, 쇠고기 59%, 돼지고기 83%가 시장 외 거래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은 기본적으로 생산자가 도매단계를 거치지 않고 직접 소비자, 대량수요처, 소매점 등에 판매하는 것을 직거래로 인식하고 있으며, 일본은 소비자, 소매점이 도매시장에서 농산물을 구매하지 않고 산지의 생산자로부터 직접 구매하는 것을 직거래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농산물 직거래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3. 농산물 직거래의 특징
농산물 직거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선한 농산물을 매매할 수 있어서 상품의 질이 양호하다. 생산자와 소비자간 직거래를 통해 농산물이 최소한의 유통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신선도가 높게 유지된다는 것이다.
둘째, 거래가격이 저렴하다. 직거래를 통해 중간상인의 개입이 배제되므로 유통마진이 축소되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득이 된다.
셋째, 거래가격 결정에 거래 당사자가 참여할 수 있다. 생산자와 소비자 간 직접적인 거래이므로 거래가격을 협의하여 결정할 수 있어, 가격결정에 참여할 수 있다.
넷째, 규격과 포장에 대한 제약이 적다. 시장에서는 규격에 맞지 않거나 포장을 하지 않으면 거래에 불리하지만, 직거래에서는 이러한 제약이 적어진다.
다섯째, 생산자나 소비자 간의 신뢰를 전제로 한다. 직거래에서는 거래가격보다 거래 당사자 간의 신뢰성이 더 중요시된다.
여섯째, 소비자가 생산지를 방문하여 생산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상품에 대한 애정과 자연 애호사상이 고취된다. 직접 생산지를 방문하여 생산과정을 체험하면서 농산물에 대한 이해도와 애착이 높아질 수 있다.
이처럼 농산물 직거래는 신선도 향상, 가격인하, 가격결정에의 참여, 규격화 제약 완화, 신뢰성 제고, 생산과정 이해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고 있다.
2. 전자상거래를 통한 농산물 직거래
2.1.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개념 및 특징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개념은 누가 사업을 하느냐에 관계없이 농산물 가공품이나 식품을 포함한 농산물과 관련서비스의 거래에 있어서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전자문서교환 등 전자적 방식에 의해 처리되는 거래를 의미한다. 여기서 말하는 농산물은 축산물, 임산물, 가공식품, 전통식품, 수산물 등을 포괄하는 넓은 의미의 농산물이다.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상거래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기업과 소비자를 직접 묶어주기 때문에 전통적인 상거래와는 달리 도매상이나 소매상과 같은 중간상인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기업과 소비자간의 직접적인 거래가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소비자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많이 가질 수 있고 기업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사항을 직접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거래대상지역과 거래시간에 있어서 전통적인 상거래는 전세계를 대상으로 24시간 거래를 하려면 인력이나 비용적인 제약을 많이 받기 때문에 특정지역과 시간대에 한정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전자상거래는 가상공간(Cyber Space)에서 시공을 초월하여 거래가 전자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비용부담 없이 전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24시간 거래가 가능하다.
셋째, 시장개척을 위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