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폐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특성
2.1.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
2.2.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
3.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위한 지도 방법
3.1. 등원
3.2. 화장실 다녀오기
3.3. 자유놀이시간
4.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특성
4.1.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
4.2.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
5. 어린이집 일과 안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위한 지도 방법
5.1. 구조화된 상호작용 활동
5.2. 시각적 보조 도구와 시각적 일정
5.3. 동료 모델링과 피드백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생의 초기에 발현되는 신경 발달적 장애이며 대표적인 특성으로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적 결함과 의사소통의 질적 결함을 들 수 있다. 또한 지난 20여년에 걸쳐 그 빈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자폐 장애인 등록 수가 2010년에는 14,888명, 2014년에는 19,524명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통계가 있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조기 개입 여부에 따라 이후 발달 양상이 매우 긍정적으로 개선된다는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영유아시기에 장애의 문제를 선별하고 진단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그리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특성과 어린이집 일과 안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을 위한 지도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특성
2.1.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사람과의 눈 맞춤이 결여되어 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사람보다 사물에 더 관심을 보이며, 친숙한 사람의 목소리에 대해서도 선호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아동의 이름을 불렀을 때 상대방과 눈 맞춤을 적절하게 보이지 않는 행동은 이들의 중요한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공동관심의 결함을 보인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다른 사람과 즐거움이나 흥미를 함께 나누려고 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의 시선을 따라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관심을 갖는 것을 함께 보도록 유도하지도 않는다"."
셋째, 상호작용 시도 목적의 차이를 보인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무엇인가를 요구하거나 다른 사람의 행동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시도하지만, 타인의 관심을 유도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시도하지 않는다"."
넷째, 정서적 표현의 어려움을 보인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얼굴 표정에서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정서를 전달하기에 애매모호한 표정을 짓기도 하고, 다른 사람의 정서나 감정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처럼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다양한 어려움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2.2.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구어의 발달이 지체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언어이해가 매우 지체되어 있으며 간단한 질문이나 지시를 이해하지 못한다. 전반적으로 수용 언어와 표현 언어가 평균 수준보다 낮다. 구어발달이 이루어진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경우에는 음성의 고저, 억양, 속도, 리듬 또는 강도가 비정성적일 수 있으며 문법을 잘 이해하지 못하여 미숙한 문법구조를 보이기도 하고 말을 적절하게 하는 경우에도 다른 사람과 대화를 시도 하거나 유지하는 능력에 현저한 장애가 있다. 대화중에 사용되는 농담, 유머, 이중의미, 비유적 표현 등을 잘 이해하지 못하며 상대방의 관점이나 상황에 따라 대화방식을 변화시키지 못하고, 상황과 맞지 않는 엉뚱한 이야기를 장황하게 늘어놓기도 하며 적절한 화제를 선택하...
참고 자료
휴넷사회복지평생교육원 저, 유아특수교육학 교안
안아현(2018), “파워카드 전략이 학령기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한의대학교
이경숙 외(2016), “영유아자폐스펙트럼장애 특성 탐색을 위한 예비적 적용, 자폐성장애연구
김은경(2010), “자폐스펙트럼장애영유아의 초기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에 관한 종단 연구, 자폐성장애연구
이윤경 외(2014), “자폐범주성장애 위험 영아와 언어발달지체 영아의 의사소통적 제스처 사용 비교, 자폐성장애연구
블로그 1인 언어치료연합, [고기능자폐언어치료]“파워카드로 고기능자폐 아동의 문제행동을 줄이고 참여행동을 늘릴 수 있어요”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e18405&logNo=221610743946
Elisa Gahnon 저, 이정미 옮김, “자폐증과 아스퍼거증후군을 위한 파워카드기법, 시그마프레스
함께웃는재단 홈페이지, 국내외연구자료, [스트레스를 표현하는 적절한 방법을 알려주세요.]
http://www.smiletogether.or.kr/bbs/board.php?tbl=info_board5&mode=VIEW&num=119&mobile_flag=ok
KBS 다큐 스페셜 「뇌의 선물」 2009.4.19.
튜브, ‘수인재두뇌과학’ 이슬기 소장, 2019.6.4.
배움사이버평생교육원, 자폐장애교육
정유선 and 이은주.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또래 매개 중재 연구 동향: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자폐성장애연구, 22(2), 2022, pp.37-68.
이근용, 김화수 and 이상진. 자폐범주성장애의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연구 분석.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21(4), 2020, pp.191-212.
김은경. 자폐 스펙트럼 장애 영유아의 초기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에 관한 종단 연구. 자폐성장애연구, 10(2), 2010, pp.25-49.
김은경. 자폐 스펙트럼 장애 의심 영아의 18, 24, 30 개월 초기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 자폐성장애연구, 11(2), 2011, pp.2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