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킹키부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대중문화의 소비자 변화
2.1. 예술계
2.2. 모바일 시대
2.3. 넷플릭스와 유튜브
3. 문화상품 전략
3.1. 브랜드 마케팅
3.2. 스타 마케팅
3.3. 스토리텔링 마케팅
4. 평가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재 대중문화산업은 대한민국에서도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위상을 드높이고 있다. 물론 다른 산업들이 수익의 계산에서 월등히 높게 나타나는 예도 있지만, 대중문화 산업은 수치가 보여주는 의미보다 훨씬 높은 가치를 지닌다. 대중문화산업이 활성화되어 해외에서 위상이 높아진다는 것은 곧 대한민국이라는 브랜드 자체의 가치 상승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대중문화 산업은 매우 중요하며, 최근 들어 변화하고 있는 소비문화와 마케팅 전략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론에서는 대중문화의 적극적 소비자가 현재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대중문화 상품 생산자가 어떤 전략으로 구매를 촉진하는지 분석해볼 것이다.
2. 대중문화의 소비자 변화
2.1. 예술계
현재 예술계에서는 관객들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예술 관람을 통한 문화 소비 행태가 크게 달라진 것이다. 2018년 티켓구매 플랫폼 인터파크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공연시장의 규모는 5442억 원으로 10년 전보다 2.8배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새로운 관객이 많이 유입되었고, 기존 팬층도 두텁게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특히 '혼공족'이라 불리는 1인 관객의 증가가 두드러진다. 예매 실적 데이터에 따르면 1인 1장 예매율이 43%까지 상승했다. 이는 전체 관객의 절반 가까이가 타인과의 교류 없이 오로지 작품을 감상하기 위해 공연장을 찾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확대되고 있는 충성 관객층과 새롭게 유입된 관객들은 문화를 향유하는 방식에 변화를 겪고 있다. 공연 기획사들은 이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다. 뮤지컬 '레드북'의 경우 열성 팬 40여 명을 대상으로 음악 녹음실을 대여해 청음회를 가졌으며, 뮤지컬 '킹키부츠'에서는 팬들과 함께 춤을 추는 커튼콜을 기획해 큰 호응을 얻었다. 이처럼 특별한 경험을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열성 팬용 상품 시장도 변화하고 있다. 아이돌 팬들을 중심으로 연간 2천억 규모로 성장한 열성 팬용 상품 시장은 외식업계, 영화관, 서점 등으로 확대되었으며, 미술관이나 박물관 상품들도 진화하고 있다.
한편 Z세대로 대표되는 젊은 층은 기존의 관람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모습을 보인다. 이들은 2시간이 넘는 공연 관람에 어려움을 느끼며, 영화 관람률도 전 세계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공연계와 영화계에서는 상호작용이 가능한 형식의 작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연극 '내일 공연인데 어떡하지'와 '쉬어 메...
참고 자료
위키백과, 「킹키부츠」, 2018.4.2., https://ko.wikipedia.org/wiki/%ED%82%B9%ED%82%A4_%EB%B6%80%EC%B8%A0
네이버 지식백과, 「드래그 퀸」, 2018.4.2.,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34737&cid=40942&categoryId=32095
네이버 캐스트 킹키부츠
하얀잉크의 해피컨텐츠 : 가장 섹시한 부츠, 뮤지컬 킹키부츠
매일경제 [뮤지컬 `회전문 관객`을 아시나요]
연합뉴스 [연극·뮤지컬 온라인 생중계했더니…공연장 관객도 늘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