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기업 및 직무 분석
1.1. 기업 분석
1.1.1. 관심 기업 개요
한전KDN은 발전에서부터 급전, 송배전, 판매 등 전력계통 한전 본사의 자회사로, 전력 계통에 있어 일련의 첨단 전력ICT기술을 적용하여 진단과 제어, 정보관리를 하는 기업이다. 1992년 1월 23일에 설립된 한전KDN은 오래된 회사는 아니지만, 4차산업혁명으로 인하여 ICT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앞으로의 비전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인원수가 2673명의 작지 않은 기업이며, 근무하는데 필요한 근무환경 인프라가 좋을 것으로 기대된다.
1.1.2. 주요 사업 및 제품
한전KDN의 주요 사업 및 제품은 다음과 같다.
한전KDN은 발전에서부터 급전, 송배전, 판매 등 전력계통 한전 본사의 자회사로서 전력 계통에 있어 일련의 첨단 전력ICT기술을 적용하여 진단과 제어, 정보관리를 수행한다. 한전KDN의 전력ICT 사업구조 체계는 크게 발전ICT, 급전ICT, 송변전ICT, 배전ICT, 판매ICT로 나누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로 전력의 생산, 거래, 수송, 판매 등 전 부문에 전력ICT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스마트그리드보안, 전력제어 보안, 발전보안, 기반시설 보안관제를 하고 있으며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국가 주요 기반 시설과 공공기관 보호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1.1.3. 최근 동향 및 이슈
최근 한전KDN의 주요 동향 및 이슈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의 에너지 분야 접목이 가속화되고 있다. 한전KDN은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엣지 컴퓨팅 등 첨단 ICT 기술을 전력 계통에 접목하는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기존의 공급자 중심 일방향 전력망을 수요자 중심의 양방향 전력망으로 전환하여 전기 사용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전기 공급 관리가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전력 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한전KDN은 정규직 전환 과정에서 소음이 존재하고 있다. 최근 정부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정책에 따라 한전KDN에서도 관련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직원들 사이에 갈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규직 전환은 근로자의 고용안정을 높일 수 있지만 기존 직원 간 처우 차이나 조직문화 변화 등으로 인한 부작용도 우려되고 있다.
셋째, 해외 진출 및 수출 확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전KDN은 국내 에너지 ICT 기술의 해외 진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그리드, 에너지 솔루션 등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 분야의 기술을 보유한 한전KDN의 해외 수출이 늘어나고 있다. 이를 통해 매출 및 영업이익 증가 등 경영 실적 향상도 기대되고 있다.
1.1.4. 경쟁사 분석
한전KDN의 경쟁사라고 선정한 포스코ICT는 에너지 ICT 사업에서 한전KDN과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두 기업 모두 본사의 자회사로 규모가 크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포스코ICT의 매출액과 평균 연봉이 한전KDN보다 더 높다는 점에서 상대적인 강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기업의 특성상 좀 더 생산적인 일을 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단점으로는 공기업인 한전KDN에 비해 포스코ICT의 근무지 여건과 기업문화가 자유롭지 않은 편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포스코는 생산기술/설비기술 부서에서 다양한 전공의 엔지니어들이 협업하여 철강 제품의 원가경쟁력과 품질을 높이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들은 저비용 생산공정 개발, 최첨단 제품 기술 혁신, 생산설비 유지보수 및 개선 등 철강 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경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