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흰머리 휘날리며, 예순 이후 페미니즘 독후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노화 다시보기
2.1. 폐경과 갱년기
2.2. 노화의 개인차
3. '박카스 할머니'와 '화장'
3.1. 노년의 성매매
3.2. 노년의 신체 묘사
4. 100세 시대 여성노인
4.1. 노년 여성의 사회적 인식
4.2. 노년 여성의 사회 참여
4.3. 노년 여성의 경제적 자립
5. 노년 여성의 페미니즘
5.1. 노년 여성의 자아정체성
5.2. 노년 여성의 페미니즘 실천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은 하나의 유기체로서 출생하고 성장, 발달하여 결국은 죽음으로 그 활동이 정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생명체로 갖는 자연스러운 발달과정이며, 노화와 죽음까지도 포괄적 의미의 발달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노화(aging)란, 인간의 성장과정이 끝난 이후부터 시작되어 죽음에 이르는 순간까지 진행되는 전 과정이다. 노화는 일반적으로 진행성, 보편적, 장해성의 특성을 보이게 된다. 또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유기체의 세포, 조직, 기관 등 생체 전반에서 쇠퇴나 무기력 등의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말하며, 이와 같이 늙어가는 현상을 일반적으로 노화 또는 노화 현상이라고 말한다. 노화는 신체체계와 기능이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약해지며 불가피하게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차적 노화는 개인의 차가 있으며 노화 속도 차이를 보인다. 발달과 성장과 마찬가지로 노화 역시 개인차가 크다.""
2. 노화 다시보기
2.1. 폐경과 갱년기
「메노포즈(Menopause)」는 월경(Menstruation)과 중지(pause)가 합쳐진 문자로 "더는 월경하지 않는 상태", 즉 "폐경"을 의미한다. 갱년기를 경험하게 된다는 중년기가 언제인가 하고 찾아봤더니 40대 초반부터라는 것이다. 내 인식 속에서는 갱년기랄까 노화라는 이미지는 60대 이후에나 벌어지는 일인데 30대 중반인 나도 몇 년 뒤 40대에 진입하면 중년기고 노화의 시작을 경험해야 한다니 갑자기 아찔한 생각이 들었다.
필자는 여성들이 맞이하는 "폐경"과 "완경"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폐경이라는 것은 월경이 끝나 호르몬 변화를 겪으며 여러 가지 신체질환을 겪는 것에 중심이 맞춰진 용어이다. 갱년기 증상은 개별성이 있지만 발열이나 홍조, 집중력 저하 등의 신체적 증상과 우울과 불안 등의 정신적 증상을 함께 겪는다고 한다. 나는 어머니의 폐경과 갱년기가 언제였는지 알지 못한다. 몸이 좋지 않다고 말씀하신 적은 있었지만 그저 컨디션 난조로만 받아 넘겼던 것 같다.
평균연령이 늘어나며 이제는 100세 시대라는데, 청년기나 중년기는 좀처럼 늘어나지 않는다. 필자는 완경을 맞는 중년 여성들의 당당한 태도에 대해 이야기했지만 독자로서의 나는 나를 중심으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 30대의 나는 육체적으로 건강하고 정신적으로도 또렷하다. 직업 활동과 학업을 병행하면서 최선의 노력을 다해 살고 있다. 하지만 노화는 내 의지로 제어할 수 없는 것이며 30대 후반부터 천천히 그러다 갑자기 내 일상의 속도를 앗아갈 수 있다고 생각하니 갑자기 모든 것이 불안해졌다. 이런 불안함을 경험한 부모님에 대해 뒤늦게 이해하고 미안한 마음이 생겨났다.
2.2. 노화의 개인차
일차적 노화는 개인의 차가 있으며 노화 속도 차이를 보인다. 발달과 성장과 마찬가지로 노화 역시 개인차가 크다. 노화에 대해 증상이나 변화에 대해 조사하고 그 내용을 얼마든지 기술할 수 있지만, 아무리 그렇다 해도...
참고 자료
김영옥, 『흰머리 휘날리며, 예순 이후 페미니즘』, 교양인, 2021
흰머리 휘날리며, 예순 이후 페미니즘. 김영옥, 교양인,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