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상자 정보
1.1. 이OO (M/73)
이OO (M/73)은 73세 남성 환자로, 간 농양(Hepatic abscess NOS)을 진단받고 입원한 대상자이다. 입원 경위를 살펴보면, 10월 28일 감기 증상으로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던 중 11월 5일 저녁 식사 후 증상이 발생하여 119구급차를 이용해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응급실 내원 당시 활력징후는 110/60-90-20-37.3이었으며, 의식 상태는 Alert 상태였다.
과거력으로는 고혈압과 고지혈증이 있었으며, 가족력상 형제에게서 위암과 갑상선암이 있었다. 입원 당시 차트 기록에 따르면 간 농양 배액을 위해 배액관(PCD)이 삽입되었고, 11월 10일부터 관리 중이었다. 배액량과 배액물의 양상을 확인한 결과, 농양 배액량이 감소하는 추세이며 배액물이 갈색과 적갈색으로 관찰되었다.
주요 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일반혈액검사에서 백혈구 증가, 중성구 증가, CRP 상승 등의 염증 소견이 나타났다. 또한 간기능 검사에서 총 빌리루빈, AST, ALT, 알칼리 포스파타제 수치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상 검사 상 간 내 농양이 관찰되었으며, 경피적 농양 배액술(PCD)이 시행되었다.
이를 통해 이OO (M/73) 환자의 주요 건강문제는 '1)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2) 염증과 관련된 급성 통증', '3)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OO (M/73)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중재로는 '1) 고체온 관리', '2) 급성 통증 관리', '3) 낙상 예방 간호'가 도출된다고 볼 수 있다.이OO (M/73) 환자의 첫 번째 주요 건강문제는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이다. 입원 시 체온이 37.3도였으나, 이후 지속적인 발열 양상을 보였다. 특히 11월 6일 오후 4시 45분에는 체온이 39.0도까지 올라간 것으로 기록되었다. 이는 간 농양으로 인한 염증 반응으로 볼 수 있다.
고체온은 대사 증가, 탈수, 전해질 불균형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간호사는 1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하고, 체온이 37.2도 이상일 경우 진탕 해열제인 파세타주 1g을 생리식염수 100cc에 혼합하여 정맥 주사하도록 한다. 해열제 투여 후 1시간 내 체온 강하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 시 추가 투약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체온 조절을 위해 환자 상태에 따라 냉찜질, 수분공급 등의 보조적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1.2. 이OO (F/75)
이OO (F/75)는 Type 2 diabetes mellitus, with hypoglecemia 진단을 받고 있는 75세 여성 환자이다. 그녀는 15년 전부터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을 앓고 있으며, 최근 5월부터 저혈당과 고혈당이 반복되고 전신이 따끔거리는 통증이 있어 검사와 치료를 위해 입원하였다.
이OO (F/75)의 주요 건강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절한 당뇨관리와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 수치의 위험이다. 입원 당시 혈당이 342 mg/dL로 매우 높았고,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혈당 변동이 심한 양상을 보였다. 둘째, 저혈당 증상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이 있다. 이OO (F/75)는 낙상 고위험군으로 평가되었으며, 저혈당으로 인한 의식 저하, 근력 저하 등의 증상은 낙상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연동운동 부족과 관련된 변비가 문제이다. 입원 기간 동안 지속된 변비로 인해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이러한 건강문제에 대한 간호중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절한 당뇨관리와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 수치의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 혈당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인슐린, 경구 혈당강하제 등을 처방에 따라 투여하였다. 또한 영양관리팀과 협력하여 식이 교육을 실시하였다. 둘째, 저혈당 증상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낙상 예방 간호를 실시하였다. 침상 난간을 올리고, 조명을 켜두며, 낙상 예방 교육을 제공하였다. 셋째, 연동운동 부족과 관련된 변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변비 치료제를 투여하고, 활동량을 늘리도록 격려하였다.
이와 같이 이OO (F/75)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각도의 간호중재를 실시하였다. 특히 불안정한 혈당 관리, 낙상 예방, 변비 관리 등이 핵심적인 간호중재 영역이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 상태 개선과 함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1.3. 하OO
하OO는 78세의 여성으로, 입원 당시 고혈압과 빈혈 등의 기저질환을 앓고 있었다. 하OO의 주요 건강문제로는 통증과 관련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