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풍물과 사물놀이의 교육적 가치의 차이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물놀이와 한국 전통문화의 세계화
1.1. 사물놀이의 정의와 악기 특징
1.2. 사물놀이의 세계화 성공 요인
1.3. 외국인들에게 사물놀이 알리기
1.4. 전통문화 세계화에 대한 고찰
2. 우리 동네 전통과 문화
2.1. 우리 동네 전통과 문화에 관심 갖기
2.2. 우리 동네 전통놀이와 공동체 의식
2.3. 전통문화의 현대적 활용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물놀이와 한국 전통문화의 세계화
1.1. 사물놀이의 정의와 악기 특징
사물놀이는 야외에서 대규모 구성의 풍물놀이를 1978년 무대예술로 각색한 것이다. 풍물놀이가 대규모의 놀이를 동반하여 야외 공연의 활동성을 강조하였다면 사물놀이는 악기 연주 자체에서 느낄 수 있는 감동을 강조한 공연 형태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四物)은 원래 불교의식에 사용되던 악기인 법고, 운판, 목어, 범종을 가리키던 말이었으나, 뒤에 범패의 바깥채비 소리에 쓰이는 태평소, 징, 북, 목탁을 가리키는 말로 전용되었다. 그리고 다시 절 걸립패의 꽹과리, 징, 장구, 북을 가리키는 말로 전용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사물놀이 공연에서는 주로 사물(四物)이라 부르는 꽹과리, 장구, 북, 징의 네 가지 악기로 연주가 이루어진다. 먼저 꽹과리는 놋쇠로 만든 대접 모양의 악기로 지름이 20cm 내외이며, 일반인들에게 익숙한 꽹과리라는 명칭은 농악이나 무악에 사용될 때 일컫는 말이고, 궁중 제향에 쓰일 때는 소금이라 불렀다. 풍물놀이와 마찬가지로 사물놀이 역시 꽹과리 연주자가 지휘자 역할을 한다.
장구는 양쪽에 가죽을 메운 양면 북으로 허리 부분이 가늘다 하여 일명 '세요고' 또는 '요고'라 부른다. 징은 가락의 단락을 굵게 나누는 역할을 한다. 이는 잔가락을 연주하는 꽹과리와 반대의 성격을 띄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북은 그 생김새에 따라 이름이 각각 다르며 음악에 따라 각기 다른 북을 사용하는데, 사물놀이에서는 통 양쪽에 가죽을 대고 끈으로 조여서 몸통과 끈 사이에 나무를 대어 팽팽하게 만든 것으로 연주한다.
1.2. 사물놀이의 세계화 성공 요인
사물놀리의 세계화 성공 요인은 다음과 같다.
먼저 1978년 2월 22일 김덕수가 사물놀이라는 단어를 만들고 창단 이후 세계 100여국에서 600회 이상의 공연과 교육을 실시하며 사물놀이의 세계화를 주도했다는 점이 중요한 성공 요인이다. 김덕수는 10대 때부터 세계적인 슈퍼스타와 함께 무대에 섰고, 다양한 장르의 음악활동을 이어가며 서양악기와 한국악기 간의 경계를 두지 않았다. 이는 훗날 재즈, 록, 팝 등 다양한 장르와 콜라보를 이루되 한국의 맛을 지켜가며 무대를 선보이는데 큰 역할을 했다.""
또한 2000년대 들어 K-드라마와 K-POP, IT산업 등으로 한류 열풍이 아시아를 넘어 미국과 유럽 등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참고 자료
[백과사전]
‘사물놀이 Samul-Nori', 두산백과
‘한류’, 두산백과
‘한류 문화’, 미디어와 문화
‘사물놀이’, 국악정보
‘사물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물놀이’ 한국민속예술사전: 농악, 한국민속대백과사전, 국립민속박물관
‘사물북’, 나무위키
‘사물놀이 한울림 남도 교육원’, 향토문화전자대전
[유튜브]
무대 ‘찢는’ 7살 김덕수, 희귀 영상 대공개!(feat. 서태지 하여가), KBS 대전 20191231 방송
[BANGTAN BOMB] ‘IDOL’ Special Stage(BTS focus)@2018 MMA-BTS(방탄소년단)
연희 인생 63년 김덕수 “나는 광대입니다.”, YTN News
[단행본]
박성건, ‘김덕수패 사물놀이’, 『한국 재즈음반의 재발견』, 스코어, 2017
전인평, ‘[악기] 사물놀이에 쓰는 악기’『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음악』, 현암사, 2007
[기타]
장지혜 , ‘사물놀이 세계화 앞장 김덕수, 17일 인천 남동소래아트홀 공연’, 인천일보, 2021
이연주, ‘25년 전 ‘미쳤다’는 직업 택했던 서울대 공대생, 지금은…‘, JOBS&人, 네이버 포스트, 2018
사물놀이 느닷, 네이버 modoo
사물놀이 몰개, 네이버 mod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