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관리학 QI 질향상 논문 요약 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 질 향상을 위한 병원감염관리 사례
1.1. 서론
1.1.1. 감염관리가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1.1.2. 임상 현장에서 병원감염 문제의 발견
1.1.3. 질 향상을 통해 달성하고자하는 목표
1.2. 병원감염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
1.2.1. 손 씻기 교육 및 증진
1.2.2. VRE 관리를 위한 적극적 감시배양 및 클린병동 만들기
1.2.3. 요로감염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지침 교육
1.2.4. 병원성폐렴 예방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 사용
1.2.5. 혈류감염 감소를 위한 정맥주사 관리
1.3. 활동에 대한 결과
1.3.1. 손 씻기 수행률 및 VRE 감염 관리 효과
1.3.2. 요로감염률 및 병원성 폐렴 감염률 감소
1.3.3. 혈류감염률 감소와 정맥주사 관리 향상
1.4.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 질 향상을 위한 병원감염관리 사례
1.1. 서론
1.1.1. 감염관리가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감염관리가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현대의학은 질병과 치료에 있어서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지만, 사회 구조적으로 노령인구, 암 환자, 장기이식 환자 등을 비롯한 각종 면역저하 환자들의 증가로 병원감염에 쉽게 이환될 수 있는 환자군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의료 기술의 발달에 따른 침습적 조작과 의료기구 사용의 증가로 인해 병원감염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의료관련감염은 세계적으로 중요한 건강문제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병원감염 발생률은 전체 입원환자의 5∼10%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원감염 발생은 환자의 고통, 입원기간 연장, 의료비의 증가, 조기 사망, 영구적인 손상 등 의료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고, 환자의 경제적 부담 및 의료보험 재정을 악화시키며, 의료분쟁까지도 불러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의료관련감염이 발생 할 수 있는 감염위험을 감소시켜 병원감염을 예방하고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감염관리가 필요하다.
즉, 병원감염 관리를 통해 의료진 손 씻기 수행도를 향상시키고, VRE 획득 발생률, 전파율, 혈류감염률, 요로감염률 등을 감소시킴으로써 적절한 감염관리를 통해 병원 및 의료진에 대한 환자들의 신뢰감 증진 및 병원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환자의 건강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는 데에 노력을 기울여 궁극적으로 간호의 질을 높일 수 있다.
1.1.2. 임상 현장에서 병원감염 문제의 발견
병원은 감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큰 환경으로 병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사람들이 모여 있고 수술을 비롯한 기타 여러 가지 신속한 처치가 필요한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이다. 따라서 병원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감염원이 많아 의료기관에 입원한 후에 교차 감염, 접촉감염, 비말감염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은 대부분 심각한 기저질환을 갖고 있으며 면역력이 감소되어 있고, 각종 침습적 조작 및 다제내성 병원균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차적인 병원감염에 이환될 확률이 높다. 또한 Vancomycin에 내성을 가진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나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VRE) 등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연간 10만 명 정도의 환자가 병원감염으로 인해 사망하며, 이로 인해 약 100억 달러의 연간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통계에 의하면 국내의 병원감염에 의한 감염률은 35%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중환자실 병원 감염 중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것은 요로감염과 인공호흡기관련 폐렴이다. 요로감염은 전체 병원 감염의 30~40%를 차지한다. 요로감염 중 80% 정도는 요로카테터와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다. 그 다음으로 병원 감염 중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인공호흡기관련 폐렴은 미국의 경우 이로 인한 사망률이 13~55%에 이르고 재원일수를 4-9일까지 연장시키며, 부가적인 병원비용으로 1년에 13억 달러를 필요로 한다. 중환자실의 경우는 10~65% 정도에서 인공호흡기관련 폐렴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혈류감염은 그 발생빈도는 높지 않으나 혈류감염으로 인한 유병률과 사망률은 10~20%에 이르는 주요 원내 감염증으로 앞서 언급한 병원감염과 마찬가지로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에서는 사망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원인이 되며 의료비상승과 재원일수 증가의 큰 요인이다. 정맥주사요법의 사용이 길고 장기간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가 많음에도 혈류감염에 대한 팀원들의 의식수준이 낮고 업무특성상 시간이 부족하여 정맥주사요법에 대한 적절한 관리지침은 미흡한 상태이다.
손이 ...
참고 자료
김민우 외. "흉통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에서 심전도 촬영 소요 시간에 대한 응급벨 제도의 효과."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20.1 (2014): 12-24.
박경현 외. "NIHSS 활용을 통한 뇌졸중 환자 간호의 질향상 전략." 한국의료QA학회지 15.2 (2009): 73-81.
박민경.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응급실 간호사의 낙상예방활동 관련 요인”.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QI 우수사례, 대한병원협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v.36 no.4 = no.308 , 2007년, pp.96 – 10
QI 우수사례, 대한병원협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v.36 no.2 = no.306 , 2007년, pp.94 – 103
서정, 강지연 (2012). VRE 환자의 보호자를 위한 감염관리 교육의 효과. 기본간호학회지,19(2), 212-222
장윤정, 최경아 외 (2008), 일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요로카테터관련 요로감염을 줄이기 위한 교육활동의 효과,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지, 13(2), 90-96
송경자, 유정숙 외, 중환자실 흡인간호 및 인공호흡기관리 표준화를 통한 인공호흡기 관련
표준화를 통한 인공호흡기 관련 페렴발생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8(1), 44-55
충남대학교병원 65병동, (2005), 혈류 감염 감소를 위한 간호활동, 대한병원협회지, 34(6), 92-97
신명진, 이희정 외, (2005) 손 씻기 증진 프로그램이 의료진의 손 씻기 수행률에 미치는 영향, 대한병원협회지, 34(2),11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