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비효과적 기도청결
1.1.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1.1.1. 간호진단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은 폐렴 환자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간호문제이다. 이는 객담과 가래 증가로 인해 기도청결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주요 간호진단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폐렴 환자에서 청진상 수포음(coarse breath sound c stridor)과 천명음(stridor, wheeze)이 관찰되며, 기침, 객담, 콧물 등의 상기도 감염 증상이 나타난다. 이는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기도청결 장애를 나타내는 증상들이다. 둘째, 환자는 "가래 때문에 숨이 잘 안 쉬어져요", "너무 답답하고 정신이 없어요" 등 호흡곤란과 답답함을 호소한다. 이는 환자가 직접 경험하는 주관적 증상이다. 셋째, 객담 양상을 사정한 결과 다량의 끈끈하고 노란색 객담이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염으로 인한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객관적 소견이다.
이상의 사정 결과를 종합하면, 폐렴 환자에서 관찰되는 수포음, 천명음, 상기도 감염 증상, 주관적 호흡곤란 호소, 다량의 끈끈한 객담 배출 등은 분비물 증가로 인한 비효과적 기도청결을 나타내는 특징적인 징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환자의 간호진단은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1.1.2. 간호목표
장기목표는 대상자가 1주 이내 SpO2 정상범위를 유지하는 것이다. 단기목표는 대상자가 4일 이내 객담이 30ccc 이하로 줄어들고, 2일 이내 분비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2가지 이상 시행하는 것이다.
대상자의 장기 및 단기 목표가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하게 설정되었다. SpO2 정상범위 유지, 객담 감소, 분비물 제거 방법 습득 등의 목표는 대상자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수적이다. 또한 목표가 달성 가능한 기간 내에 설정되어 있어 환자의 상태 변화를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대상자의 치료 경과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신속하게 중재를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1.1.3. 간호계획 및 중재
간호계획 및 중재는 다음과 같다.
[진단적 중재]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분비물 증가로 인해 호흡수, 심박수, 산소포화도에 변화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사례에서 대상자의 14:00 SPO2 수치가 93으로 낮게 관찰되었다. 따라서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정기적으로(6시간마다) 측정하여 변화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대상자의 호흡음을 청진한다. 기도 내 액체와 점액의 축적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사례에서 대상자의 호흡음이 "그르렁거리는 소리"로 관찰되었는데, 이는 기도 개방성이 정상적이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호흡음을 청진하여 기도청결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대상자의 객담 양상을 사정한다. 감염의 신호는 변색된 객담일 수 있으며, 끈끈한 분비물은 기도저항과 호흡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사례에서 대상자의 객담이 "노란색, 끈끈한 양상"으로 관찰되었는데, 이는 기도청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객담 양상을 정기적으로 사정하여 기도청결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치료적 중재] 처방된 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진해거담제를 통해 객담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례에서 대상자에게 "Cough Syrup, 씨투스, 코데인, 뮤테란캡슐, Umckamin"과 같은 약물이 처방되었는데, 이는 기침 감소 및 객담 배출 증진을 위함이다. 따라서 처방된 약물을 적절히 투여하여 대상자의 기도청결을 도와야 한다.""
흉부물리요법(체위변경, 진동법, 타진법)을 시행한다. 이를 통해 객담을 배출하도록 하여 호흡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사례에서 대상자가 "좌위"로 체위변경을 하고, "타진법과 진동법"을 적용받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도청결 향상을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대상자의 호흡 상태에 따라 지속적으로 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한다.""
적절한 습도를 제공한다. 습도 조절을 통해 객담을 묽게 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례에서 대상자의 침상 옆에 "가습기"를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