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 중급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듣기 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초급 한국어 듣기 교육
2.1. 주제 선정: 일상 대화
2.2. 사전 활동: 그림과 사진 활용
2.3. 청취 활동: 실제 대화 활용
2.4. 역할극 및 그룹 활동
2.5. 피드백과 학습자 간 상호작용
3. 중급 학습자를 위한 관용 표현 교수
3.1. 관용 표현의 개념과 특성
3.2. '발(을) 벗고 나서다' 관용 표현의 의미와 문화적 배경
3.3. 의미 설명 및 활용 사례
3.4. 학습자 간 대화문 만들기
4. 중급 한국어 듣기 능력 평가 설계
4.1. 한국어 듣기 능력 평가의 중요성
4.2. 교재 선정과 평가 항목 선정
4.3. 다양한 문제 유형 구성
4.4. 평가 결과 활용 및 개선 방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은 학습자들이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한국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요한 교수 방법이다. 이에 따라, 초급(1~2급)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듣기 교수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교수안은 일상 대화 주제를 다루며, 학습자들의 실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한국어 학습에 있어 듣기 능력은 의사소통의 기초가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듣기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은 실제 대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특성을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말하기, 읽기, 쓰기 등 다른 언어 기능 향상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듣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한국어 교육에서 필수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2.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초급 한국어 듣기 교육
2.1. 주제 선정: 일상 대화
초급(1~2급)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일상 대화를 주제로 선정하는 것은 학습자들의 실제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음식과 식사"와 같은 주제는 학습자들의 관심을 끌고 배경 지식을 확장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상적인 주제를 선정함으로써 학습자들은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필요한 어휘와 표현을 익히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상 대화 주제는 학습자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여 보다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초급 수준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일상 대화를 주제로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2.2. 사전 활동: 그림과 사진 활용
사전 활동: 그림과 사진 활용은 학습자들의 관심을 끌고 배경 지식을 확장하는 데 도움을 준다. 교수자는 음식과 식사 관련 그림이나 사진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단어를 소개한다. 이후 관련된 질문을 통해 학습자들의 의견을 듣고 주제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예를 들어 다양한 음식 사진을 보여주며 그와 관련된 단어를 익히고, 각 음식에 대한 학습자들의 경험과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사전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주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고 더 적극적으로 듣기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그림과 사진 활용은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이끌어내어 듣기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2.3. 청취 활동: 실제 대화 활용
실제 대화를 활용한 청취 활동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실제 대화는 교과서 대화와 달리 자연스러운 억양, 발음, 문장 구조 등을 포함하고 있어 학습자들이 실제 상황에서 듣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실제 대화 녹음이나 동영상을 활용하여 청취 활동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일상 대화, 뉴스,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장르의 대화 자료를 선정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실제 한국어 화자들의 발화 속도, 억양, 어휘와 문장 구조 등을 익힐 수 있다.
청취 활동 후에는 관련 질문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의 이해도를 확인한다. 이러한 질문에는 대화의 주제, 화자의 의도, 상황 정보 등 다양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학습자들은 질문에 답하면서 자신의 청취 능력을 점검하고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교사는 필요에 따라 실제 대화에 등장하는 어휘나 문법 항목을 추가로 설명하여 학습자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제 대화 활용 청취 활동은 단순한 듣기 연습을 넘어 종합적인 의사소통 능력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참고 자료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수학습샘터 https://kcenter.korean.go.kr/
김몽(2016) 한국어 교재의 관용표현 분석 연구, 가톨릭관동대학교
문금현(199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관용표현의 연구, 이중언어학 15, 이중언어학회
민현식(2023),관용 표현의 범위와 유형에 대한 재고, 한국어의미학 12, 한국어의미 학회
박진철(202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
한국어를 한국인처럼; 쉽게 쓰는 관용어(2019),(주)케이오알이, 렛츠북
채희락(2016), 한국어 [... V ... V] 표현의 종합적 통사 분석 III: 관용표현 구문과 합성어, 한국외국어대학교
제시 그림(2023), https://kid.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5/01/2023050101529.html
TV드라마 간 떨어지는 동거 동영상(2021), 14;15~15;24 https://youtu.be/aUtDoKkIXsY?si=6nTkYTJcwQeM-hWU&t=855
모내기 사진(2021) https://jmagazine.joins.com/forbes/view/334651
연세대학교한국어학당, 한달완성 한국어 중급 I 듣기, 연세대학교대학출판문화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