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열역학 실험 중화열 측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중화열 측정 실험
1.1. 실험 목적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화공열역학 실험
1.2.2. 중화반응의 정의
1.2.3. 열량계의 개념
1.3. 실험 절차
1.3.1. 예비실험
1.3.2. 실험 결과
1.4. 데이터 분석
1.4.1. 용액 농도 계산
1.4.2. 열용량 측정
1.4.3. 중화열 측정
1.5. 실험 결과
1.6. 고찰
1.7. 참고문헌
2. 엔탈피 측정 실험
2.1. 실험 목적
2.2. 실험 이론 및 원리
2.2.1. 열역학 법칙
2.2.2. 상태함수와 반응열
2.2.3. 헤스의 법칙
2.3. 실험 기구 및 시약
2.4. 실험 방법
2.4.1. 중화열 (Δ H4) 측정
2.4.2. 용해열 (Δ H5) 측정
2.4.3. 중화열 (Δ H6) 측정
2.5. 실험 결과 및 분석
2.6. 토의 사항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중화열 측정 실험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강염기 1mol을 강산으로 중화시킬 때 발생되는 열량을 측정하는 데 있다. 즉, 25℃에서 묽은 용액 속에서 강염기 1mol을 강산 1mol로 중화시킬 때 발생하는 57,200 J의 열량을 중화열이라고 하며, 이러한 중화열을 열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실험의 주요 목적이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화공열역학 실험
화공열역학 실험은 화학반응에서 발생하는 열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화학 반응의 에너지 변화를 확인하는 실험이다. 화학 반응에서는 반응물의 화학 에너지가 생성물의 화학 에너지로 전환되는데, 이 과정에서 열이 출입하게 된다. 화공열역학 실험에서는 이러한 반응열을 측정함으로써 화학 반응의 열역학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 실험에서는 강염기인 수산화나트륨과 강산인 염산의 중화 반응을 통해 반응열을 측정한다. 중화 반응은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중성 용액을 생성하는 반응으로,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중화열이라 한다. 중화열 측정을 통해 반응의 열역학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실험에서는 열량계를 이용하여 반응열을 측정한다. 열량계는 계 내에서 발생하거나 흡수되는 열량을 측정하는 장치로, 열과 온도 변화 사이의 관계를 열용량으로 나타낸다. 열용량은 계의 온도를 1K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으로 정의되므로, 열량계를 통해 화학 반응에서 발생하는 열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화공열역학 실험은 화학 반응의 열역학적 특성을 확인하고 열량 측정을 통해 반응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1.2.2. 중화반응의 정의
중화반응의 정의는 물보다 센 산의 수용액과 물보다 센 염기의 수용액이 혼합되었을 때 일어나는 화학반응이다. 즉, 강염기와 강산이 중화하여 염과 물이 생성되는 반응을 말한다. 이때 중화반응은 산과 염기의 화학양론적으로 진행되며, 0.1당량의 염기를 0.1당량의 산으로 중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중화반응에서는 중화열이 발생하는데, 이 중화열은 25℃의 묽은 용액 속에서 강염기 1몰을 강산 1몰로 중화시킬 때 57,200J의 열량이 발생하는 열을 의미한다. 다만 실제 농도에서의 중화열은 이 값보다 훨씬 작게 나타난다.
1.2.3. 열량계의 개념
열량계는 계 내에서 방출 또는 흡수되는 열량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열량계에서 열과 온도 변화 사이의 관계는 열량계의 열용량으로 주어진다. 열용량은 계의 온도를 1 K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열(J)로 정의된다.
이 실험에서 사용하는 열량계인 Dewar flask은 내부에 진공장치가 되어 있어 주위와 열을 주고받는 일이 무시될 수 있으므로 단열과정으로 간주할 수 있다. 단열과정에서 계의 내부 에너지의 변화량은 계가 주위에 한 일과 같다. 즉, dU=dW가 성립한다. 따라서 단열과정에서 측정된 열용량은 계의 온도를 1 K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일의 양으로 볼 수 있다.""
1.3. 실험 절차
1.3.1. 예비실험
예비실험에서는 0.2N NaOH 용액의 표준화와 열량계의 열용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0.2N NaOH 용액의 표준화를 위해 1N HCl 용액 4.0mL를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물 20mL를 가한 후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2~3방울 첨가하였다. 이를 0.2N NaOH로 적정하여 실제 노르말 농도를 구하였다.
다음으로, 열량계의 열용량 측정을 위해 증류수 500mL를 Dewar bottle에 넣고 교반하면서 20초 간격으로 온도를 측정하였다. 그 후 얼음물 100mL를 Dewar bottle에 첨가하여 다시 20초 간격으로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열량계의 열용량을 계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예비실험을 통해 실제 실험에 필요한 용액의 농도와 열량계의 열용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2. 실험 결과
1N HCl 500ml 용액 제조 실험 결과, HCl 500ml 용액을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었다. 이때 HCl의 순도가 36%이므로 HCl 42.9ml를 500ml 부피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를 채워 완성하였다.
또한 0.2N NaOH 1000ml 용액 제조 실험에서는 순도 98%의 NaOH 8.16g을 1000ml 부피플라스크에 녹여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얼음물 100ml 준비 실험에서는 얼음과 증류수를 100ml 부피플라스크에 담아 얼음물을 제조하였고, 그 최초 온도를 3℃로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페놀프탈레인 용액 제조 실험을 통해 실험에 필요한 지시약을 준비하였다. 0.1g의 페놀프탈레인을 50ml 비커에 넣고 10ml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은 중화반응의 종말점 지시에 활용되었다.
1.4. 데이터 분석
1.4.1. 용액 농도 계산
용액의 농도 계산은 이 실험의 데이터 분석에 필수적이다. 먼저 1N HCl 용액 500ml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HCl의 순도(36%)와 몰질량(3...
참고 자료
사이언스올, 묽은용액
https://www.scienceall.com/%eb%ac%bd%ec%9d%80-%ec%9a%a9%ec%95%a1-dilute-solution/?term_slug=]
사이언스올, 라울의 법칙,
https://www.scienceall.com/%eb%9d%bc%ec%9a%b8%ec%9d%98-%eb%b2%95%ec%b9%99-raoults-law-%e2%94%80%e6%b3%95%e5%89%87/?term_slug=
사이언스올, 용액의 총괄성,
https://www.scienceall.com/%ec%b4%9d%ea%b4%84%ec%84%b1colligative-property/?term_slug=
화학공학 열역학, J. M. Smith , H. C. Van Ness , M. M. Abbott , M. T. Swihart, McGraw Hill Education, 2023, p44~48, “열용량”
[네이버 지식백과] 봄베 열량계 [Bomb calorimeter, -熱量計] (Basic 고교생을 위한 화학 용어사전, 2002. 9. 30., 서인호)
[네이버 지식백과] Law of Thermodynamics - 열역학 법칙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2016. 1. 3., 이강원, 손호웅)
Slide player _ published by 순재 빈
표준일반화학실험 제6판, 대한화학회, 천문각, 2016, p103~109
일반화학 제13판, Brown, 자유아카데미, 2016, chapter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