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비이온화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식품첨가물
1.1. 식품첨가물의 정의
1.2. 보존료
1.2.1. 보존료의 종류
1.2.2. 보존료의 사용기준
1.3. 살균제
1.4. 산화방지제
1.4.1. 산화방지제의 종류
1.4.2. 산화방지제의 사용기준
1.5. 천연 항균물질
1.5.1. 식물 유래 천연 항균물질
1.5.2. 동물 유래 천연 항균물질
1.5.3. 미생물 유래 항균물질
1.6. 표백제
1.7. 기타 첨가물
1.7.1. 산미료
1.7.2. 유화제
1.7.3. 피막제
2. 식물호르몬
2.1. 식물호르몬의 정의
2.2. 식물호르몬의 종류
2.2.1. 옥신
2.2.2. 지베렐린
2.2.3. 시토키닌
2.2.4. 앱시스산
2.2.5. 에틸렌
2.2.6. 브라시노리드
2.2.7. 폴리아민
2.3. 식물호르몬의 작용기작
2.4. 식물호르몬의 상업적 이용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식품첨가물
1.1. 식품첨가물의 정의
식품첨가물이란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서 식품에 첨가, 혼합, 침윤, 기타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국제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보건기구(WHO)의 합동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는 "식품의 외관 향미, 조직 또는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식품에 보통 미량으로 첨가되는 비영양성 물질"을 식품첨가물로 정의내리고 있다. 또한 미국 국립과학학술원 및 국립연구협회 산하의 식품보호위원회(Food Protection Committee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National Research Council)에서는 식품첨가물이란 "식품을 생산·가공 저장 또는 포장의 어떤 국면에서 식품 속에 들어오게 되는 기본적인 식품 이외의 물질 또는 물질들의 혼합물로서, 여기에는 우발적인 오염물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정의하고 있다.
1.2. 보존료
1.2.1. 보존료의 종류
식품에 허용되는 보존료의 종류에는 소르빈산, 안식향산,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피온산 등이 있다.
소르빈산은 북반구에 흔한 장미과의 마가목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천연 유기산으로 미생물의 발육저지작용을 나타낸다. 안식향산은 쪽동백나무 수액에서 채취했던 천연물질로 식물의 방어기작의 기본 물질이기도 하다.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과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은 보존료로 사용되며 미생물의 발육저지작용이 다른 것에 비하여 강력하고 살균작용도 있다. 프로피온산의 나트륨염, 칼슘염은 곰팡이들에 의한 2차적 발육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커서 오래전부터 보존료로 사용해 왔다. 빵류에는 칼슘염을, 양과자류에는 나트륨염을 주로 사용한다""
1.2.2. 보존료의 사용기준
보존료의 사용기준은 다음과 같다. 보존료는 미생물의 발육을 방해하여 식품의 부패·변질을 방지하여 식품의 선도, 품질을 유지시키는데, 이상적인 조건은 독성이 없고 기호가 맞으며 미량으로 효과가 있고 사용방법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적 조건을 구비한 방부제는 얻기 어려우므로 허용된 품목이라 하더라도 대상 식품, 사용량 등을 잘 지켜야 한다.
식품공전에 허용되는 보존료로는 디하이드로 초산나트륨, 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소르빈산나트륨, 프로피온산류, 안식향산류, 파라옥시안식향산류 등이 있으며, 각 보존료의 대상 식품과 사용량이 규정되어 있다. 소르빈산류는 자연치즈, 가공치즈, 식육가공품, 고래고기제품 등에 최대 3g/kg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안식향산류는 과일·채소류음료, 탄산음료류, 간장 등에 최대 0.6g/kg까지 사용할 수 있다. 파라옥시안식향산류는 간장, 식초, 기타음료, 인삼·홍삼음료, 소스류 등에 최대 0.25g/kg까지 사용이 허용되며, 프로피온산류는 빵류와 자연치즈, 가공치즈에 최대 2.5-3g/kg까지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식품에 사용이 허용된 보존료라도 각 보존료의 대상 식품과 사용량 기준을 준수해야 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식품의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1.3. 살균제
살균제는 식품의 부패원인균이나 병원균을 사멸시키기 위해 첨가하거나 제조시에 사용하는 첨가물을 말한다. 사용목적은 방부제와 마찬가지로 식품의 보존에 있지만 그 작용은 살균이 되고 정균은 2차적이다. 살균제도 보존료와 같이 독성이 낮고 효력이 강하며 확실할 뿐만 아니라 지속성이 있고 식품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사용에 편리한 제품이어야 한다.
살균제의 작용은 급격하고 순간적으로 균을 사멸시키는데 염소계 살균제는 보존료에 비해 살균효과가 강하지만 식품에 첨가하면 식품성분과 반응을 일으키고 염소냄새가 식품의 가치를 저하시키므로 주로 음료수, 용기, 기구의 살균에 이용된다. 식품에 사용했을 경우에는 명칭과 용도를 표시하여야 한다.
현재 식품첨가물공전에 허용된 살균제로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수, 고도표백분(차아염소산칼슘) 등이 있다. 차아염소산은 염소를 물에 녹이면, 가수 분해에 의해 염산과의 혼합물로서 얻어지며 자극적인 냄새와 빛을 대면 분해해서 산소를 발생한다. 따라서, 차아염소산은 건조한 상태의 염소보다 산화력이 강해 살균과 표백에 사용되고 있다.
1.4. 산화방지제
1.4.1. 산화방지제의 종류
산화방지제의 종류에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 몰식자산프로필(PG), 에리소브산(erythorbic acid)과 에리소브산나트륨(sodium erythorbate), EDTA이나트륨(Disodium ethylenediamine tetraacetate), EDTA칼슘나트륨(Calcium disodium ethylenediamine tetraacetat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이 있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은 무색의 결정, 백색의 결정성 분말 또는 덩어리로 맛과 냄새가 없다. BHA나 유기산과 병용하면 산화방지력이 상승된다. BHT와 BHA는 지용성 항산화제이기 때문에 위해성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은 무색, 연한 황갈색의 결정, 또는 백색의 결정성 분말로서 석유와 비슷한 냄새가 약간 나고 자극성의 맛이 있다. BHA는 BHA와 3-BHA의 혼합물인데, 3-BHA는 2-BHA보다 1.5-2배의 효력이 있으며, BHT와 병용하는 경우가 많다.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은 BHA와 BHT보다 항산화력이 우수하며, 좋은 이행성을 가진다. BHA와 BHT는 그 안전성에 대하여 논란이 있으나, TBHQ는 정상적인 수준으로 사용하면 그 안전성에 염려가 없다.
몰식자산프로필(propyl gallate : PG)은 백색 또는 담황갈색의 결정성 분말로 냄새는 없으나 약간 쓴맛이 있고, 물에는 녹지 않으나 알코올에 잘 녹는다. 산화방지력은 강하나 착색되기 쉽고, 유지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유제품에 사용된다. 다른 항산화제나 구연산과 병용하면 효과적이다.
에리소브산(erythorbic acid)은 비타민 C로서 영양적 효과는 없으나 산화 방지 목적으로 사용된다. 에리소브산나트륨(sodium erythorbate)도 에리소브산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된다.
EDTA이나트륨(Disodium ethylenediamine tetraacetate)과 EDTA칼슘나트륨(Calcium disodium ethylenediamine tetraacetate)은 유지식품의 변질 원인이 되는 금속 이온을 봉쇄하여 산화방지작용을 나타낸다.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은 비타민C로 우리 몸속의 산화방지 기능도 있지만, 식품 성분의 산화 방지를 위한 목적으로도 크게 사용된다.
1.4.2. 산화방지제의 사용기준
산화방지제의 사용기준은 식품에 허용되는 산화방지제의 종류와 각각의 대상 식품 및 사용량을 규정하고 있다. 식품에 허용되는 주요 산화방지제로는 BHA, BHT, TBHQ, PG, Ascorbyl palmitate, Erythorbic acid, Sodium erythorbate, EDTA-Na, EDTA-Ca·Na₂ 등이 있다.
이들 물질은 버터류, 식용유지류, 식용우지, 식용돈지, 어패 건제품, 어패냉동품, 추잉껌, 마요네즈, 샐러드 드레싱 등 다양한 식품에 사용이 허용되고 있다. 구체적인 사용량은 각 물질과 대상식품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BHA와 BHT는 어패 건제품, 버터류, 식용유지류 등에 0.2-1g/kg 이하로 사용할 수 있고, TBHQ는 어패 냉동품 및 고래 냉동품의 침지액에 0.4g/kg 이하로 사용할 수 있다. PG는 버터류, 식용유지류 등에 0.1g/kg 이하로 사용할 수 있다. Ascorbyl palmitate는 식용유지류, 식용우지, 식용돈지에 0.5g/kg 이하로 사용할 수 있다. Erythorbic acid와 Sodium erythorbate는 산화방지 목적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다. EDTA-Na와 EDTA-Ca·Na₂는 마요네즈, 샐러드 드레싱, 소스류, 마가린에 0.1g/kg 이하로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식품에 허용되는 산화방지제와 그 사용기준은 식품의 종류와 성상에 따라 다양하게 규정되어 있다. 이는 식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한 것으로, 각 산화방지제의 특...
참고 자료
서계원, 양요식, 조배식, 강경리, 김종필, 김은선, 박종태. 다소비 식품의 식품첨가물 사용 실태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3(2):142-148 (2008)
김효정, 김미라. 식품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5(1):126-135 (2005)
김선아, 김예지, 김지선, 김정원. 학부모의 정보요구도에 기초한 식품첨가물 위해정보전달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한국식품위생안정성학회지. 30(2):132-142 (2015)
김희연, 이영자, 홍기형, 권용관, 고현숙, 이영경, 이철원. 식품 중 천연유래 이산화황 함유량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32(3):544-549 (2000)
최낙언. 2013.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진짜 식품첨가물 이야기. pp. 85, 89, 105, 106. 예문당
우세홍, 정동옥, 황상용, 이강윤, 이효순, 금보연. 2012. 식품첨가물. pp.26, 27, 46-49, 232, 233, 268, 269. 신광문화사
이형주,문태화,노봉수,장판식,백형희,이광근,김석중,유상호,이기원. 2012. 식품화학. pp.488-492. 수학사
지성규. 2000. 최신 식품첨가물 이론과 실제. pp.218-227, 248, 249, 338, 339, 388- 401, 664-669. 식품저널
조미희, 배은경, 하상도, 박지용. 천연항균제의 식품산업에의 응용. 한국식품꽈학회지. 38(2):36-45(2005)
안봉전. 식품 신소재의 최근 동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2):5-16(1999)
김미라, 박흥현. 향신료의 기능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28-59(2002)
차원섭, 김정환, 이경환, 권효정, 윤소정, 천성숙, 최응규, 조영제. 향신료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Helocobacter pylori 저해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5(3):315-320(2006)
공영준, 오덕환. 신갈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식품보존제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2):243-249(2001)
최미용, 조정순, 장윤희. 유화제와 효소 첨가가 설기떡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13(3):197-215(2003)
최해연. 울금으로부터 식품부패미생물에 대한 항균성 물질의 분리 및 동정.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8(9):1202-1209(2009)
황재선, 정희정, 한영실. 백자약으로부터 식품부패 미생물에 대한 항균성 물질의 분리 및 동정. 한국조리과학회지.16(5):445-452(2000)
최무영, 임태진. 개머루덩굴 추출물의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한국자원식물학회지.23(5):430-435(2010)
안은영, 신동화, 백남인, 오진아. 감초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분리 및 구조 동정. 한국식품과학회지.30(3):680-687(1998)
19. 신동화. 천연물로부터 항균 및 항산화 물질의 탐색과 이용. 식물과산업학회지.36(3):81-89(2003)
김희연, 김민식. 정도관리-식품첨가물을 중심으로. 식품과학과 산업.36(4):36-41(2003)
임번상. 세계 식품첨가물의 안정성 평가 현황.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19(5):468-482(1990)
Plant Physiology, LINCOLN TAIZ EDUARDO ZEIGER, Life Science
생물과학(Biological Science), 강신성 외 7인 저, ACADEMY
식물 생리학(Plant Physiology), 고석찬 외 14인, ACADEMY
생명공학(Biotechnology), 오계현 외 3인, World Science
http://100.naver.com/100.php id=716185
http://biojjang.new21.net/kidk/univ/pphysio/plantpsysi.htm
http://www.scielo.br/scielo.php pid=S010350532003000100003script= sciarttext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d/d5/Brassinolidestructure.svg
http://plantphys.info/plantphysiology/cytokinin.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