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오류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외국어와 제2언어 학습의 중요성
1.2.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의 어려움
2. 언어 오류 분석의 이론적 배경
2.1. 제2언어 습득론의 기본 개념
2.2. 대조 언어 분석의 가설과 접근
2.3. 대조 언어 분석의 한계와 오류 분석 이론의 대두
3.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오류 유형 및 원인 분석
3.1. 발음 오류
3.2. 수사 및 양 관련 오류
3.3. 부사 위치 오류
3.4. 시제 오류
3.5. 한국어 감탄사 사용의 어려움
3.6. 발음 구분의 어려움
3.7. 존댓말 사용의 어려움
4. 외국인 학습자 오류 분석의 의의와 시사점
4.1. 오류 분석을 통한 교육의 필요성
4.2.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외국어와 제2언어 학습의 중요성
외국어와 제2언어 학습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세계화와 정보화가 진행되면서 다국어 구사 능력은 개인과 국가 차원에서 모두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기 때문이다.
외국어 및 제2언어 학습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개인적 차원에서 외국어 및 제2언어 구사 능력은 다양한 진로와 기회를 열어준다. 국내외 취업 및 진학, 해외 여행 및 교류 등에서 다국어 구사는 큰 강점이 된다. 또한 다양한 문화와 사고방식을 접할 수 있어 개인의 지적 성장과 시야 확장에도 도움을 준다.
둘째, 국가적 차원에서는 외국어 및 제2언어 구사 인력의 확보가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 다국어 소통이 가능한 인재들은 국제사회에서 각종 교류와 협력을 주도할 수 있으며, 이는 국가 간 네트워크 구축과 국가 이미지 제고로 이어진다. 특히 언어와 문화의 상호 이해가 중요해지는 상황에서 외국어 구사 능력은 중요한 국가 자산이 되고 있다.
셋째, 제2언어 습득에 대한 연구는 언어 습득 원리와 인지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제2언어 학습자의 오류 분석, 학습 과정 연구 등은 언어 습득 이론 발전에 중요한 토대가 되고 있다.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언어 교육 방법을 개발할 수 있다.
종합하면, 외국어와 제2언어 학습의 중요성은 개인과 국가, 그리고 학문적 차원에서 모두 크게 대두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 경쟁력 제고, 그리고 언어 습득 이론의 발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외국어와 제2언어 학습은 그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다.
1.2.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의 어려움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의 어려움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첫째, 동의어와 다의어에 대한 혼동이다.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동의어와 다의어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예를 들어, "약도"라는 말을 처음 들었을 때 "약"을 의약품으로 오해하거나, "어떻게 왔어요?"라는 말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여 "비행기를 타고 왔습니다"라고 대답하는 등의 경우가 있다. 이는 한국어 관용 표현이나 다의어의 이해가 쉽지 않음을 보여준다"이다.
둘째, 한국어 감탄사 사용의 어려움이다. 한국어의 감탄사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뉘앙스와 표현을 가지고 있어 외국인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술을 마실 때 "캬아~", 머리를 때릴 때 "빡!", "확!"과 같은 감탄사의 경우 사전에서도 찾기 어려워 실제 대화에서 이를 익히기 쉽지 않다"이다.
셋째, 발음 구분의 어려움이다.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발음, 특히 모음 발음을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예를 들어 일본인 학습자의 경우 "오징어"라는 단어를 "오징오"로 발음하거나, 파키스탄인 학습자가 "소고기"를 "서고기", "소거기"로 발음하는 등의 오류가 나타난다. 이는 모국어의 발음 체계와 한국어의 발음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이다.
넷째, 존댓말 사용의 어려움이다. 한국어의 존댓말 체계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매우 복잡하게 느껴진다. 영국인 학습자 단은 불합리한 상황에서도 존댓말을 사용하려다 보니 자신의 입장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독일인 학습자 라헬은 한국에 와서는 학교에서 선생님께 반대 의견을 표현하기가 어려워졌다고 한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 오빙영은 교수님의 눈빛에서 "네가 뭘 알아?"라는 메시지를 느껴 질문을 하기 어려워했다. 이처럼 존댓말 체계의 복잡성과 이에 따른 문화적 차이로 인해 외국인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이다.
이와 같이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동의어와 다의어, 감탄사, 발음, 존댓말 사용 등 다양한 영역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은 언어 간 차이, 문화적 차이 등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언어 오류 분석의 이론적 배경
2.1. 제2언어 습득론의 기본 개념
제2언어 습득의 의미는 모국어를 배우는 단계 다음으로는 또 다른 하나의 언어를 배우는 과정을 연구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제2언어를 배우는 개인이나 집단을 연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제2언어 습득론의 연구 영역을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외국어 학습자가 무엇을 배우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는 학습자가 새로운 언어 체계, 즉 발음, 어휘, 문법 등을 어떻게 습득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둘째, 학습자가 이를 어떻게 학습하는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는 언어 학습의 과정과 전략, 방법 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셋째, 어떤 학습자는 어째서 다른 학습자보다 더 성공적이거나 덜 성공적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는 개인차와 관련된 요인, 즉 연령, 동기, 태도, 성격 등이 언어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우리는 제2언어, L2라고 하여 학습자의 사회적 맥락에서 공식적이거나 사회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를 '습(習)'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말...
참고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YhxbCeEm8ZU
https://www.youtube.com/watch?v=tR0K4pYDzMI
한국어 사전, The Korean Monolingual Dictionary (c) 1996-1999, Microsoft Corporation. Licensed from Mr. Jae Soo Cho.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 교안
구본관 외(2017), 『한국어 수업을 위한 문법 활동집』, 한글파크.
박소영 외(2019), 『즐거운 한국어 수업을 위한 문법 활동지 중급』, 하우.
김선정 외(2010), 『한국어 표현교육론』, 형성출판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 , 배론원격평생교육원.4강 외국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의 습득 이론 – 제2언어 습득론의 기본 개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 , 배론원격평생교육원.4강 외국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의 습득 이론 – 중간 언어의 이론과 학습자 요인
위키백과 참고
노채환 ( Roh Chaehwan )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범 류(2009),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 박사학위논문. 『이중언어학』 제40호학 미(2006), 한국어와 중국어의 단모음 비교연구-실험음성학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 림(2011),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이중모음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발음오류 중심으로- 건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권영미(2008), 중국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발음 지도 방안 연구. 청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이 원(2010),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의 오류 양상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인천대 대학원 국어국문학 석사학위논문
도서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연구] 이정희
김길동,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발음 교육연구”, 2008.
김지연, “중국인 학습자의 자연발화 발음 오류 분석 연구”, 2010.
로금송,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교육”, 동아대학교 석사논문, 2000.
유춘희, “한국어 음절발음교육에 대하여”, 연변대하교 한국어교육론 문집, 2006.
이 향,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발음교재 개발 방안”, 2002.
최김단, “중국어권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발음 교육”, 2002.
최수영,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실태와 한중 음운대조”, 2009.
한국어와 중국어의 발음비교 http://wkgks.tistory.com/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