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정형외과실습일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4.09.29
12,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성인간호학정형외과실습일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수술실 실습
1.1. 수술실의 환경
1.2. 외과적 손소독 (Surgical Scrub)
1.3. 피부소독과 방포 덮기
1.4. Scrub /Circulating Nurse의 역할
1.5. 수술 타임아웃 (Time out)

2. 기본 수술 수기
2.1. 절개 (Incision)
2.2. 지혈 (Hemostasis)
2.3. 봉합 (Suture)
2.4. 견인 (Retraction)

3. 다빈치 로봇수술

4. 수술기구 명칭, 용도 및 조작법

5. 수술환자 진단명과 수술명 고찰

6. 회복실 간호

7. 실습 일지

8. Q&A

본문내용

1. 수술실 실습
1.1. 수술실의 환경

수술실의 환경은 수술 대상자에 대한 감염 관리와 의료진의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수술실은 중환자실 등 수술 대상자 지역, 중앙 서비스실, 진단방사선실 등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구역에 위치해야 한다. 또한 통행하는 사람이 비교적 적은 곳에 자리하며, 비상 시 대상자 이동을 고려하여 고층을 피하고 2층이나 3층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수술실의 설계 역시 효율성, 안정성, 감염 관리 등을 고려해야 한다.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온도는 20~24℃, 습도는 최소 50%로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수술실 내 공기를 여과시키고 환기와 냉난방 시설을 완비하여 세균 감염을 최소화해야 한다.

수술실의 구조는 비제한구역, 준제한구역, 제한구역으로 구분된다. 비제한구역에는 대기실이나 직원 탈의실이 위치하며 외부복장이 허용된다. 준제한구역은 물품공급실, 복도 등으로 수술실 복장과 모자,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제한구역은 수술방과 그 주변으로 수술복 착용이 의무화된다. 이처럼 구역별로 다른 복장 규정을 가지고 있어 철저한 감염 관리가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수술실의 최적의 위치, 적절한 온도 및 습도 유지, 공기 여과와 환기, 그리고 구역별 복장 규정 등은 수술 대상자에 대한 감염 관리와 효율적인 수술 수행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2. 외과적 손소독 (Surgical Scrub)

외과적 손소독 (Surgical Scrub)은 수술실에서 수술 전 수술자의 손과 전박, 팔꿈치까지를 깨끗하게 하여 미생물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다. 손톱을 짧게 깎고 손톱 밑을 나무 스틱으로 깨끗이 한 후, 브러쉬나 스펀지에 피부 소독제를 묻혀 손가락 끝부터 팔꿈치 5cm 위까지 깨끗이 씻는다. 흐르는 수돗물로 손가락 끝부터 팔꿈치까지 헹구며, 손을 헹구는 동안 오염을 막기 위해 손끝의 위치를 팔꿈치보다 높게 유지한다. 소독 수건으로 손과 전박을 닦은 후 소독 가운과 장갑을 착용한다.

외과적 손소독은 절개부위와 접촉하는 손과 전박, 팔꿈치까지를 가능한 깨끗하게 하여 미생물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시행된다. 이를 통해 수술 후 절개부위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1.3. 피부소독과 방포 덮기

피부소독과 방포 덮기는 수술실 감염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절차이다. 수술 전 피부소독의 목적은 수술부위의 오염, 피지, 미생물을 제거하여 수술 후 절개부위 감염을 막는 것이다. 소독은 피부 절개선을 중심으로 시작하여 가장자리로 나가며 한번 닦아낸 스펀지는 다시 중앙부위에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피부소독제로는 포비돈-요오드, 아이오딘 알코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헥사클로로펜 등이 있다. 각 소독제는 살균효과, 피부 염증, 장기간 사용 가능성 등의 장단점이 있어 수술 부위와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한다.

방포 덮기는 멸균된 포를 이용하여 수술에 필요한 최소한의 부위만 남기고 나머지 부위를 싸는 것으로, 소독부위와 비소독부위 사이에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여 수술 절개부위의 오염을 방지한다. 멸균포를 덮은 후 소독부위 아래로 늘어뜨려 있는 부위는 오염된 것으로 간주하여 잡아당기거나 위치를 바꾸지 않는다.

이처럼 피부소독과 방포 덮기는 수술실 감염관리에서 필수적인 간호중재이다. 철저한 무균술 준수와 함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소독제와 방포 사용은 수술 후 감염 예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4. Scrub /Circulating Nurse의 역할

수술실 간호사는 소독간호사(Scrub Nurse)와 순환간호사(Circulating Nurse)로 나뉜다.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는 각자의 역할이 있어 수술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소독간호사(Scrub Nurse)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수술과정을 정확히 알고 집도의의 요구를 예측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피부절개를 위한 기구를 의사에게 건네주며, 수술 도중 mayo stand 위에 있는 기구를 항상 깨끗이 정리한다. 병리검사를 위한 검사물은 towel이나 용기에 담아 순환간호사에게 건네주어 잘 보관하도록 해야 한다. 수술 부위를 봉합하기 전에 바늘이나 작은 기구, 거즈의 숫자를 확인해야 한다. 봉합 후 소독된 dressing 물품을 의사에게 건네준다. ""수술과정에서 집도의의 요구를 즉각적으로 충족시키고 무균술을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소독간호사의 중요한 역할이다.""

순환간호사(Circulating Nurse)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수술 대상자의 인적 사항과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대상자가 회복실로 갈 때까지 수술실 내에 머물며 대상자와 함께 있는다. 소독간호사가 sponge, needle, 수술기구 count에 협조한다. 수술 과정 전체에서 무균술이 지켜질 수 있도록 감독한다. 진행 중인 수술이 지연되어 다음 수술 시작이 지연될 경우 수간호사나 감독간호사에게 알려 조정되도록 한다. ""수술팀과 의사소통하며 수술 전반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것이 순환간호사의 주요 역할이다.""


1.5. 수술 타임아웃 (Time out)

수술 타임아웃(Time out)은 수술 환자의 안전을 위해 수행되는 절차이다. 환자가 병실에서 수술실로 입실...


참고 자료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