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 우울증에 관한 주장하는 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살의 정의와 특성
1.1. 자살의 정의
1.2. 청소년 자살의 특성
2. 청소년 자살의 원인
2.1. 생물학적 원인
2.2. 유전적 원인
2.3. 정신적 원인
2.4. 개인적 원인
2.5. 가족 원인
2.6. 또래 및 학교 원인
3. 청소년 자살 실태
4. 청소년 자살의 중요성
5. 청소년 자살의 징후
6. 청소년 자살 예방 대책
6.1. 가정차원의 역할
6.2. 학교차원의 역할
6.3. 사회적 차원의 역할
6.4. 전문가의 역할
6.5. 본인의 마음가짐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살의 정의와 특성
1.1. 자살의 정의
자살이란 자기 자신의 의지로 스스로 목숨을 끊는 행위를 말한다. 자살이란 크게 자살생각, 자살시도, 완성된 자살로 구분할 수 있다. 자살 생각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누구나 한 번쯤 일시적으로 갖게 되는 '인생이 가치 없다' 또는 '죽고 싶다'는 생각과 같은 보편적인 현상에서부터 자신이 정말 죽으려고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까지 포함된다. 자살에 대한 역사적 평가도 다양했는데, 코란이나 탈무드에서는 자살을 죄악이라고 보고 엄하게 금지하고 있으며, 그리스도교도 자살을 큰 죄악이라고 여겨왔다. 한편 힌두교에서는 자기의 의사로 자기를 해방시키는 것이라 하여 자살자를 칭찬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처럼 자살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다양했지만, 대부분의 경우 자살은 심각한 문제로 여겨져 왔음을 알 수 있다.
1.2. 청소년 자살의 특성
청소년 자살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청소년기는 치명적인 자살율이 성인기로 갈수록 증가하지만, 자살 시도율이 가장 높은 시기이다. Shneidman(1987)은 청소년들의 자살행위는 정신 질환의 표현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였고, Glaser(1981)의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 자살자에서 임상적으로 진단될 수 있는 우울증이 관여된 경우는 10% 미만이며, 충동성, 남을 조종하려는 의도, 자신에게 부당하게 대했다고 지각하는 가족이나 친구들에 대한 보복 등이 자살의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나타났다.
질풍노도의 시기로 비유되는 청소년기는 인지적으로 미성숙할 뿐만 아니라 인생의 어느 시기에서보다도 정서적 충동성이 심화되는 시기이므로 청소년들 가운데는 우울하거나 절망적이 아니어도 충동적으로 자살 시도를 보일 위험이 많다는 것이다.
청소년들이 보이는 자살 시도는 현실도피적이고 충동적인 문제 해결 방식을 반영할 수 있다. 청소년기는 자기 자각이 급증하는 시기인데 비해 청소년들은 자기자각을 견디는 자아 강도가 약해서, 부정적인 심리 상태에서 즉각적으로 벗어나고자 하는 욕구가 강렬해질 것으로 추측된다.
2. 청소년 자살의 원인
2.1. 생물학적 원인
대부분의 생물학적 연구들은 자살 행동을 신경생물학적 요인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특히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부족과 자살 행동 간의 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자살한 사람과 자살을 시도한 사람의 뇌 척수액에서 세로토닌과 그의 대사물인 5-HIAA를 측정한 결과 다른 원인으로 사망하거나 자살 시도 경험이 없는 사람보다 그 수치가 현저히 낮았다. 세로토닌 부족은 우울증, 충동성, 공격성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자살 행동의 생물학적 기제로 설명되고 있다. 또한 자살 행동은 유전적 요인과도 관련이 깊은데, 정신 장애나 기분 장애와 같은 정신 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경우 가족 내에서 자살이 이루어졌다면 자살 행동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생물학적 요인, 특히 신경화학적 측면과 유전적 요인이 청소년의 자살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2. 유전적 원인
정신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있어 자살의 가족력은 자살 행동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특히 자살의 가족력(가족의 자살 경험)은 치명적인 방법의 자살 시도와 관련이 깊다. 또한, 자살을 시도한 사람과 생물학적인 가족 관계가 있는 사람은 비록 자살 시도력이 없는 가정에서 양육된다할지라도 통제집단에 비해 자살 행동의 가능성이 높았다. 입양인 중 기분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자살율이 높게 보고되었는데 이는 충동적인 자살 시도와 연관 있는 상황적인 위기를 동반하는 기분 장애의 진단적 준거와 함께 생물학적 부모의 자살 여부가 함께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살에 있어 유전적 요인은 단독 혹은 다른 정신 장애와 동반하여 자살 행동의 취약성을 잘 설명해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3. 정신적 원인
정신적 원인은 청소년 자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정신과 치료를 받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21%가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으며 12.5%가 두 번 이상 자살을 시도하였다. 자살 환자 대부분이 정서 장애,품행 장애, 섭식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살한 청소년의 65-95%가 자살 시도 당시 정신 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정신 장애와 자살 행동은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므로, 정신 장애를 가지고 있는 청소년의 자살 위험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
참고 자료
웨인 그루뎀 저, 노진준 옮김, “조직신학(중)” 은성, 1996.
신운석, “한국 장로교회의 12신조에 관한 개혁파적 고찰”, 목회학석사 학위논문, 2006.
루이스 벌코프 지음, 권수경 ㆍ 이상원 옮김, “벌코프 조직신학”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1.
박윤선,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서” 서울, 영음사, 1989.
루이스 뻘콥 지음, 신복윤 옮김, “기독교 신학개론”, 개역판, 성광문화사, 2005.
에드윈 h,팔마 지음, 박일민 옮김 “칼빈주의 5대 교리”, 성광문화사, 1985.
존 오웬 지음, 조은화 옮김 “성도의 견인” 생명의 말씀사.
김광열, “장로교 기본 교리”,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2004.
한기석, 정영조, “청소년 자살의 원인과 치료적 개입”1992.
이성범, “청소년 문제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적 대처방안 연구”, 목회학석사 학위논문, 2002.
이명춘, “청소년 자살 예방을 위한 사회적 돌봄”, 석사학위논문, 2004.
임영식, 오세진, “청소년 자살과 예방” 社會科學硏究 Chung Ang Journal of Social Sciences, 1999.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6.
인제대학교 외과대학 신경 정신 과학교실, 서울백병원.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연보”문화관광부, 1998.
“야후 백과사전-검색어:자살” http://kr.encycl.yahoo.com/enc/info.html?key=1748870.
“Cohen, Spirito & Brown"1996.
"The assurance of salvation"
박영숙, 『청소년 건강과 간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이미리 외, 『청소년 문제와 보호』, 교육과학사. 2020.
정지선,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학교폭력 피해 유형, 부모방임, 외로움을 중심으로」, 인문사회21(12), 2021. pp.2645-2659
최진영 외, 「청소년 자살위험의 유형화와 심리사회적 특성연구」, 사회복지연구, 2020. pp.57-96.
청소년자살 어떻게 예방할 것인가. 청소년보호위원회
청소년 자살행동연구. 박경애
청소년복지학. 김성이- 청소년 자살의 원인 및 예방정책에 관한 연구. 최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