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만1세반 영아 발달 관찰
1.1. 일상생활 및 자립
1.1.1. 스스로 가방 착용하기
OO는 가방 착용하기에 관심을 보이며, 교사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가방을 매는 행동을 보였다. 가방을 매고 있는 친구의 모습을 보고 "나도 가방 있어"라고 말하며 관심을 표현하였고, 교사가 가방을 매주자 OO 앞으로 걸어가며 "나도 가방 있어"라고 말하며 친구를 따라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OO가 또래의 행동에 관심을 가지고 모방하며, 스스로 가방을 착용할 수 있는 능력이 발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는 OO가 스스로 가방을 착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격려해주어야 할 것이다.
1.1.2. 화장실 이용 및 손 씻기
만1세 영아들은 화장실 이용과 손 씻기 활동에 점차 참여하기 시작한다. 교사의 지도와 도움을 받으며 스스로 화장실을 이용하고 손을 씻는 경험을 쌓아간다.
관찰 결과, OO는 교사와 함께 화장실에 가서 변기에 앉을 수 있으며, 교사의 말을 듣고 이해하며 변기 이용을 시도한다. 변기에 앉은 OO는 때로는 변을 보기도 하며, 이후 교사의 도움을 받아 화장지로 닦고 물을 내린다. 또한 OO는 화장실에서 손을 씻을 때 교사가 도와주면 스스로 비누를 사용하고 물로 씻는다. 손을 씻고 난 후 수건으로 손을 닦는 것도 교사의 도움을 받아 시도한다. 이처럼 OO는 화장실 이용과 손 씻기에 관심을 보이며, 교사의 지원 하에 점차 자립적으로 활동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영아들의 경우에도 화장실 이용과 손 씻기에 관심을 보이며, 교사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수행하려 노력한다. 화장실에서 변을 보거나 소변을 보려 할 때 교사가 격려하고 조력하면, 영아들은 점점 더 자신감을 가지고 화장실 이용을 시도한다. 손 씻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교사의 시범과 함께 영아들이 직접 비누칠, 물 사용, 수건 사용 등을 연습하면서 점차 능숙해진다.
이처럼 만1세 영아들은 화장실 이용과 손 씻기에 대한 기초적인 능력을 기르고 있다. 교사의 적절한 개입과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영아들은 점차 화장실 이용과 손 씻기를 자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영아의 건강과 위생, 나아가 전반적인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1.1.3. 배변 활동
만1세 영아들의 배변 활동 관찰 내용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영아들이 스스로 변기에 앉아서 배변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일부 영아들은 아직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지만, 시간을 맞춰 변기에 앉히면 간혹 배변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OO는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었지만 변기에 앉으려 하였으나 기저귀를 벗지 않으려 하였다. 그러나 교사가 기저귀를 내려주자 배변을 하였다. 이처럼 OO는 아직 기저귀에 의존하고 있지만, 변기에 앉아서 배변하는 습관이 점차 생겨나고 있었다.
또한 OO는 배변 활동 시에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등 즐겁게 활동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교사가 OO에게 "이제 쉬할 시간이에요"라고 말하자 OO가 자신의 이불을 가리키며 "OO거지요?"라고 말하며 변기 앞에 앉는 등 배변 활동에 대한 인식과 흥미가 생겨나고 있었다.
이처럼 만1세 영아들은 배변 활동에 대한 인식과 습관이 생겨나기 시작하였으며, 교사의 적절한 개입과 지원을 통해 배변 습관을 기를 수 있었다. 교사는 영아들의 배변 활동에 대한 관심과 긍정적인 태도를 격려하고, 안전하고 즐거운 배변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놀이 및 활동
1.2.1. 블록 쌓기와 자유 놀이
만1세 영아들은 블록 쌓기와 자유 놀이에 큰 관심을 보인다. 사각 블록을 가지고 크고 네모난 박스 모양을 만들고, 그 속에 벽돌 블록을 가지런히 넣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사각 블록 6개를 사용하여 정육면체 모양으로 만들어 앉아서 놀이하는 등 근육 조절 능력이 발달하여 블록이나 조작 활동에 자신감 있게 참여한다.
교사의 지원 하에 블록을 쌓고 무너뜨리는 놀이를 반복하며 즐거워하는데, 블록을 쌓아주면 무너뜨리고 다시 교사에게 블록을 주고 쌓아달라고 하는 과정에서 재미를 느낀다. 이러한 블록 놀이를 통해 대소근육 발달과 힘의 조절력, 균형감 등이 향상된다.
또한 상자에 구멍을 내어 손과 발을 넣어보며 스스로 탐색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를 통해 신체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자신의 감각과 지각을 경험한다. 교사는 이러한 영아의 행동을 언어로 표현해 주며 상호작용하여 영아의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낸다.
이처럼 만1세 영아들은 블록 쌓기와 다양한 자유 놀이를 통해 대소근육 발달, 힘의 조절력, 균형감 등의 신체 발달은 물론, 감각과 지각, 탐색 능력 등 전반적인 발달이 이루어진다. 교사는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