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뇌수막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뇌수막종(Meningioma)
1.1. 정의
1.2. 분류
1.2.1. 발생 부위에 따른 분류
1.2.2. 조직학적 악성도에 따른 분류
1.2.3. 세포 구성에 따른 분류
1.3. 원인
1.4. 증상 및 징후
1.4.1. 위치에 따른 증상
1.5. 진단
1.5.1. 영상검사
1.5.2. 조직검사
1.6. 진행단계
1.7. 치료
1.7.1. 수술
1.7.2. 방사선 수술
1.7.3. 방사선 치료
1.7.4. 항암화학요법
1.7.5. 경과 관찰
1.8. 합병증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뇌수막종(Meningioma)
1.1. 정의
뇌수막종(meningioma)은 흔한 양성종양으로 뇌막의 모든 층에 발생하는 종양이다. 뇌수막종은 뇌실질에서 발생한 뇌종양은 아니지만 두개골내의 조직에서 발생한 종양이기 때문에 넓은 범주에서 뇌종양의 하나로 구분된다. 전체 뇌종양 중 약 20%를 차지하며, 전이성 뇌종양, 성상세포종에 이어 3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뇌종양이다. 뇌수막종의 기원은 지주막 세포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대부분 양성이나 일부는 악성으로 변화되기도 한다. 수막종은 천천히 자라는 종양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하나 주로 40~50대 중년성인에 많이 발생하고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
1.2. 분류
1.2.1. 발생 부위에 따른 분류
뇌수막종은 발생 부위에 따라 다양한 임상 증상을 나타내는데, 이는 종양이 주변 뇌 조직이나 신경 구조물을 압박하거나 침범하기 때문이다.
시상 정맥동 주변의 수막종은 시상의 어느 부위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증상이 달라진다. 주로 대뇌반구 중간 1/3에 위치하는 경우, 초기에 운동 및 감각 기능의 반대측 장애가 나타나며 특히 하지에서 시작되는 마비 증상이 특징적이다. 종양이 시상 정맥동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성장하면 강직성 양측 하지마비가 초래될 수 있다.
대뇌겸 수막종은 대뇌겸이나 아래시상 정맥동에서 발생하여 대뇌겸을 중심으로 좌우로 성장하지만, 때로는 후방으로 천막으로 뻗어나가기도 한다. 이 경우 뇌량 주위 동맥을 압박하여 대뇌반구의 내측면을 누르게 된다.
두개 전방부에 위치한 수막종은 정신 기능 장애, 두통, 경련, 후각 소실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시력 감퇴나 시야 결손도 동반될 수 있다. 종양이 전후방으로 성장하면 후각 장애, 제3뇌신경 마비, 뇌하수체 결핍 소견 등도 나타난다.
후신경구 수막종은 양측 전두엽을 압박하여 정서 장애, 무관심 등의 전두엽 증후군을 주 증상으로 한다.
터키안 결절 수막종은 시신경을 압박하여 시력 소실 및 시야 장애가 주 증상이다.
시신경 수막종은 시신경 수막에 발생하는 것으로, 안구 돌출과 시력 감퇴가 주 증상이다.
해면 정맥동 수막종은 해면 정맥동 내의 뇌신경 압박으로 인한 안구운동 장애, 안면 감각 저하, 두통, 시력 소실 등이 나타난다.
후두와 수막종은 그 발생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는데, 소뇌 압박이나 제4뇌실 폐쇄에 의한 수두증, 뇌간 압박으로 인한 뇌신경 마비 증상 등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뇌수막종의 발생 부위에 따라 매우 다양한 임상 증상이 나타나며, 이는 주변 뇌 조직 및 신경 구조물과의 해부학적 관계에 의한 것이다."
1.2.2. 조직학적 악성도에 따른 분류
뇌수막종은 조직학적 악성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양성 수막종은 정상 세포를 닮아 분화가 잘 되어 있으며 매우 천천히 자라는 종양으로, 전체 수막종의 약 80%를 차지한다. 반면 비정형 수막종은 양성 수막종보다 빠르게 자라는 특징을 보이며 전체 수막종의 6-8%를 차지한다. 악성 수막종은 분화도가 낮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매우 공격적으로 빨리 ...
참고 자료
이영휘 외 지음, 2017, 『성인간호학Ⅱ』, 정담미디어
신경림 외 지음, 2017, 『성인간호학 (하) 』, 현문사
대한신경외과학회, 2012, 신경외과학. 대한신경외과학회
Meningioma, 2019, U.S National Cancer Institute
질병관리본부, 2016, 수막종, 국가건강정보포털
서울대학교 병원, 뇌수막종, 서울대학교 의학정보센터
김혜순 외, 2005년. 성인간호실습 지침서(제3판), 수문사
이향련 외, 2008년. 성인간호학 1,2. 수문사
학술 편찬국, 2006년, 성인간호학, 퍼시픽 출판사
http://medic.naver.com(약품정보)
두산백과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6 : 소화기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10 : 신경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