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소셜미디어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과 부모의 역할
1.1. 소셜미디어의 긍정적 영향
소셜미디어의 긍정적 영향은 다음과 같다.
소셜미디어를 통해 아동들은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하며 사회화를 이루어 나갈 수 있다. 소셜미디어는 오프라인에서는 할 수 없었던 다양한 사람들과의 의사소통, 관심사 공유, 영감을 얻는 등의 사회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Nesi 연구에 따르면 소셜미디어가 더 많은 사람들과 의사소통하거나, 관심사를 공유하거나, 사랑하는 사람들과 영감을 주는 등 직접적인 사회적 연결을 위해 사용될 때 매우 유익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Pew Center 조사에서 청소년 중 24%만이 소셜미디어 사용이 부정적이라고 답했으며, 상당수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신이 소속감(71%), 자신감(69%), 진정성(64%), 외향성(61%)을 느낄 수 있다고 보고했다. 이처럼 소셜미디어는 아동들의 사회적 연결과 건강한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1.2. 소셜미디어의 부정적 영향
소셜미디어의 부정적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 사용의 부정적 측면으로는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스마트폰 중독이 있다. 소셜미디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연스럽게 손에 잡히는 크기의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며, 스마트폰 중독의 가장 큰 문제점은 안구건조증과 시력 저하 등 눈에 장기적으로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아동들의 스마트폰 사용 비율이 높아지는 만큼 안경을 쓰는 아동들을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어릴 때부터 스마트폰을 너무 많이 사용하면서 결국 안경을 일찍부터 쓰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눈의 피로감과 시력 저하는 소셜미디어의 가장 부정적인 측면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영국 셰필드 대학 연구팀이 '소셜미디어의 이용과 아이들의 건강'이라는 논문을 통해 지적한 바와 같이, 소셜미디어 활동을 많이 하는 아이들은 자신과 다른 아이를 계속 비교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로 인해 사람을 현실에서 직접 만나 대화를 하고 신체를 움직이는 활동이 줄어들어 아이들의 신체 발달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하는 점이 불만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셋째, MIT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에게 자극적인 이슈를 가져오는 가짜뉴스는 진짜뉴스보다 6배 빨리 퍼진다고 한다. 이처럼 아이들은 가짜뉴스와 진짜뉴스를 구별하여 걸러내지 못하기 때문에 사실과는 다른 내용의 정보들을 얻게 되고 공유하여 거짓정보가 확산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1.3. 부모의 역할
부모의 역할은 소셜미디어 사용으로 인한 아동의 긍정적 영향을 극대화하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첫째, 부모는 아동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줄이기 위해 하루 사용시간을 제한하고 자동 차단 기능 설정 등을 통해 스마트폰 사용을 관리해야 한다. 둘째, 부모는 아동이 가짜뉴스와 진짜뉴스를 구별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검증된 정보를 활용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셋째, 부모는 온라인에서의 올바른 행동, 즉 타인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부모는 아동의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비공개로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은 부모의 역할은 아동이 소셜미디어를 안전하고 건강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수적이다.
2. 기업들의 새로운 마케팅 추세 - SNS마케팅 변화
2.1. SNS의 개념 및 정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개인이 지닌 성별, 나이, 지역, 학교, 흥미 등과 같은 프로필 정보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해나가게 해주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SNS는 소셜미디어, 소셜네트워크 사이트, 소셜네트워킹 등 다양한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다양하고 여러 가지 방식을 통해 유기적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기관이나 학계에서도 통일된 정의를 내리지 못하고 있다.
SNS는 자신의 취향과 활동을 공유하거나, 타인의 취향과 활동을 관찰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공동체를 위한 온라인 사회관계의 형성에 중점을 두는 서비스이다. 또한 "제한된 시스템 내에서 개인이 자신을 대중에게 혹은 일부 대중에게 소개하고, 정보를 제공해 주고 받을 수 있고,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며 시스템 내에서 다른 이용자들의 관계망을 보거나 연결할 수 있는 세 가지 측면의 특성을 가진 웹 기반 서비스"로 정의된다.
2.2. SNS의 종류와 특징
SNS의 종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SNS는 프로필 기반, 비즈니스 기반, 블로그 기반, 협업 기반, 커뮤니케이션 중심, 관심주제 기반, 마이크로블로깅, 버티컬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프로필 기반 SNS는 특정 사용자나 분야의 제한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마이스페이스 등이 이에 해당한다. 비즈니스 기반 SNS는 업무, 사업관계를 목적으로 하는 링크나우, 링크드인, 비즈스페이스 등이 있다. 블로그 기반 SNS는 개인 미디어인 블로그 중심으로 소셜네트워크 기능이 결합된 네이트통, 윈도우라이브스페이스 등이 있다. 협업 기반 SNS는 위키피디아와 같은 공동 창작, 협업 기반의 서비스이다. 커뮤니케이션 중심 SNS는 채팅, 메일, 동영상, 컨퍼런싱 등 사용자 간 연결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인 세이클럽, 네이트온, 이버디, 미보 등이 있다. 관심주제 기반 SNS는 분야별로 관심주제에 따라 특화된 네트워크 서비스인 도그스터, 와인로그, 트렌드밀 등이 있다. 마이크로블로깅 SNS는 트위터, 텀블러와 같이 짧은 단문형 서비스로 대형 소셜네트워킹 서비스의 틈새를 공략한다. 버티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