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낙상의 위험 편마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노인성 질환의 이해
1.2. 뇌졸중과 편마비
2. 뇌경색으로 인한 편마비
2.1. 정의
2.2. 원인
2.3. 증상
2.4. 진단검사
2.5. 치료
3. 간호과정 적용
3.1. 일반적 자료
3.2. 건강력
3.3. 약물
3.4. 기타치료
4. 간호문제
4.1. 간호진단
4.2. 간호과정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노인성 질환의 이해
현재 대한민국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다.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16.5%에 달하며, 이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노인과 관련된 노인성 질환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노인성 질환은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는 치매, 고혈압, 뇌혈관질환, 퇴행성질환 등이 있다. 이 중 뇌혈관질환은 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뇌졸중은 크게 허혈성 뇌졸중과 출혈성 뇌졸중으로 구분되며, 뇌졸중이 발생하면 의식이 회복된다 해도 후유증으로 편마비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1.2. 뇌졸중과 편마비
뇌졸중은 크게 허혈성 뇌졸중과 출혈성 뇌졸중으로 나눌 수 있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뇌동맥이 폐쇄되어 발생하며, 출혈성 뇌졸중은 뇌혈관이 파열되어 발생한다. 뇌졸중이 발생하면 의식이 돌아온다 해도 후유증으로 편마비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편마비는 한쪽의 상지, 하지, 얼굴부분의 근력 저하가 나타난 상태이다. 근력저하는 좌측이나 우측 한쪽에서만 발생한다. 양측하지 근력이 모두 저하되었을 때는 편마비라 하지 않는다. 편마비의 가장 큰 원인은 뇌졸중이며, 그 외에도 뇌종양, 뇌농양, 경추부의 척수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뇌졸중 발생 후 50% 이상에서 편마비가 발생하며, 대부분에서 다양한 정도의 보행장애, 일상생활 동작의 장애가 동반된다. 편마비 증상은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편측마비, 안면마비, 감각이상, 구음장애 등이 대표적이다. 전조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편측마비와 안면마비는 증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호전되기 때문에 뇌경색을 알아차리기 힘든 경우가 대부분이다.
편마비의 진단을 위해서는 근력의 저하를 의사가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안면부위의 편측 마비는 표정을 지을 때 안면 양측의 대칭여부로 판단할 수 있고, 상지와 하지의 편측마비는 마비증상이 나타난 쪽의 팔다리의 무게를 도움 없이 지지할 수 있는지로 평가할 수 있다.
편마비 환자의 치료는 뇌졸중의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뇌경색의 증상이 처음 나타나는 4~5시간 이내라면 폐색된 혈관을 개통시키는 혈전 용해술을 시행할 수 있다. 그 외에는 급성기 합병증을 막기 위한 보존적 치료와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약물 치료가 이루어진다. 운동기능의 회복은 뇌졸중 발생 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빠르게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재활치료를 통해 회복의 정도를 높일 수 있다.
2. 뇌경색으로 인한 편마비
2.1. 정의
여러 원인으로 뇌혈관이 폐색이 발생해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뇌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뇌혈류 감소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뇌조직의 괴사가 시작된다. 뇌조직 괴사로 인해 회복불가능한 상태가 된 것이 뇌경색이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경색과 일과성 허혈성 발작을 모두 포함한다. 편측마비는 한쪽의 상지, 하지, 얼굴부분의 근력 저하가 나타난 상태이다. 이때 근력의 저하는 좌측이나 우측 한쪽에서만 발생한다. 양측하지 근력이 모두 저하되었을 때는 편측마비라 하지 않는다.
2.2. 원인
뇌경색의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이다""이로 인해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죽상동맥경화증이 발생하고 뇌혈류가 차단된다"" 그 외 심장 부정맥, 심부전, 심근경색 후유증으로 인해 심장에 혈전이 생성된다""혈전이 이동하다가 뇌혈관을 막아 발생하기도 한다"" 드물게는 모야모야병 등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드물게 존재한다""
편마비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나 뇌졸중으로 인한 원인이 가장 많다""뇌졸중 이외에 뇌종양, 뇌농양, 경추부의 척수질환 등이 있다""뇌졸중 발생후 50% 이상에서 편마비가 발생하며, 대부분에서 다양한 정도의 보행장애, 일상생활 동작...
참고 자료
노인간호학, 수문사, 윤숙희 외
제7판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황옥남 외
제2판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JMK, 성미혜 외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뇌경색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96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허혈성 뇌졸중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33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뇌경색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226060&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편마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380&cid=51007&categoryId=51007
분당서울대학교 병원, 뇌신경재활센터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BCD8&MENU_ID=005001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충남대학교병원, 재활프로그램, 특수 프로그램, 일상생활동작훈련 프로그램
https://www.cnuh.co.kr/rehab/sub03_0911.do
창원제일종합병원, 물리치료 https://www.mjeilh.co.kr/bbs/content.php?co_id=05_05_01_01
삼육부산병원, 신경계 재활치료실
https://www.symcb.co.kr/sub/treatment/professional_list06_1_1.php
MEG GULANICK 외. (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 : 현문사.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제 3판. 서울 : 현문사.
김금순 외. (2015).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김금순 외. (2017).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윤은자 외. (2018). 노인간호학
대한이식학회, [환자와 가족을 위한 안내서] CHAPTER 2 만성신부전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급성 경막하 출혈 [acute subdural hemorrhage]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제 7판 성인간호학 상, 하권, 황옥남 외, 현문사
최신 병리학, 이준철 외, 수문사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이동숙 외(2016).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포널스 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