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도 한동안 한문으로 쓰여진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며 이후에 한글 문학이 주류를 이루게 된 계기는 무엇인지 서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글 창제 배경
2.1. 한문의 사용과 한글 표기법
2.2. 한글 창제에 대한 반대와 세종의 대응
3. 한문 중심 문학의 지속
3.1. 중국 문화의 영향
3.2. 지배계층의 한글 기피
4. 한글 문학의 발전
4.1. 민족 정신과 문화적 다양성
4.2. 교육 인프라 확충과 학문의 발전
4.3. 서민 문학의 부상
5. 한글의 위상과 의의
5.1. 세종 대왕의 애민 정신과 실용성
5.2. 문화적 자주성과 독립성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에서 한자가 받아들여진 후, 보통 이두라 불리는 한글을 표현하기 위해 이두, 향가, 향찰, 구결, 속자 등 다양한 방법이 불려졌다. 이두는 삼국시대에 한자의 음과 훈을 차용하여 한글을 표기하는 표기법으로 처음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고려시대에는 하급 관리들이 공문서나 공문서에 많이 사용했다고 한다. 보통 이두를 넓은 의미로 차용해 음표로 표시한 한자를 통칭하는데, 현재의 일본어 역시 이두와 비슷한 개념의 문자라고 할 수 있다. 이두는 신라 초기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서동요, 제망매가 등 다양한 문학작품이 이두로 표현되었다. 통일신라 신문왕 때 설총은 기존의 이두 사용법을 정리하면서 크게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이 머리의 용도는 삼국유사의 향과 문학 작품, 안압지 등 유적지에서 출토된 목판, 남산 신성비 등 다양한 유물에서 찾아볼 수 있다.이두로 표기된 문학작품으로는 삼국유사의 신라향가 14점, 견여전의 고려향가 11점이 있다. 한글창제된 이후에도 한자가 계속사용된 이유등에 대하여 고찰해보기로 한다.
2. 한글 창제 배경
2.1. 한문의 사용과 한글 표기법
한문은 한자로 이루어진 문어체의 문장으로 볼 수 있다. 이 한문은 중국에서부터 "한나라의 문장" 또는 한시에 대응하는 산문으로 쓰여왔다. 주변국을 포함한 우리나라에서도 사용되었으며, 이 한문은 남북조 시대에 양나라의 소통에서 38가지 종류로 분류되어 체계화되었으며, 이 내용은 『문선』에 담겨 전해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비문이나 행정, 외교 문서 등에서 실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다고 한다.
2.2. 한글 창제에 대한 반대와 세종의 대응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할 당시, 당시 집현전 학사들은 이 사실을 대부분 모르고 있었다고 한다. 오히려 한글 창제 이후 가장 강력하게 반발하고 그 부당함을 주장한 이들이 바로 이 집현전 학사들이었다. 이들은 한글 창제가 풍속을 바꾸는 큰 일이라고 생각하며, 재상부터 백관까지 함께 의논한 후에야 가능하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이를 통해 세종의 한글 창제 작업 전에는 재상과 문무백관과의 상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이 드러난다.
또한 집현전 학사 중에서도 성삼문과 신숙주는 한글 창제와 크게 연관이 없는 인물들이었다고 한다. 성삼문은 한글이 거의 창제되었을 무렵에 집현전에 들어왔고, 창제 2개월 전에 들어온 신숙주는 한글 창제에 시간적 여유가 없었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중국의 문물과 사상을 존경하는 정신이 강하게 깊어져 있어, 미리 한글 창제를 알렸다면 더 강한 반대와 논란이 발생했을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에 세종은 한글 창제를 은밀하게 진행해야 했다. 즉, 초기 한글...
참고 자료
김영명, 한글 창제의 목적과 정치적 의미,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3.
이병효 기자, [문자 창안] 한글 창제, 세종의 국가운영 전략이었다, THEAsiaN, 2014.2.10.
최영선,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 2009.
류함함. (2007). 한글소설의 발생 과정에 관한 연구 (Doctoral dissert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김영희. (2017). 조선시대 한글 글쓰기 체계의 발전과 여성. 페미니즘 연구, 17(2), 127-155.
김영명, 한글 창제의 목적과 정치적 의미,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3.
이병효 기자, [문자 창안] 한글 창제, 세종의 국가운영 전략이었다, THEAsiaN, 2014.2.10.
최영선,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