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어린이집 일과 안에서 자폐성 장애아동의 행동상의 문제를 지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특성
2.1. 자폐 범주성 장애의 정의
2.2. 상동행동과 원인
2.3. 상동행동의 양상
3.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과 통합 어린이집
3.1. 장애통합 어린이집의 개념
3.2. 상동행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인식
3.2.1. 상동행동의 다양한 양상
3.2.2. 비장애아동의 인식 제고 방법
3.3. 상동행동의 구체적 지원방법
3.3.1. 장애아동의 감정에 반응하기
3.3.2. 자기자극행동 패턴 이해하기
3.3.3. 상동행동 감소를 위한 대안 찾기
4.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의 언어발달 특성
4.1. 음성 및 운율 발달
4.2. 조음 발달
4.3. 형태론적, 구문론적 발달
4.4. 의미론적 발달
4.5. 화용론적 발달
5. 어린이집 일과에서의 언어지도 방법
5.1. 언어적 신호를 통한 주의 전환
5.2. 장난감 주고받기 활동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최근 방영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보고 많은 사람들이 자폐 범주성 장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 드라마에서 우영우는 앵무새처럼 남의 말을 따라하거나, 특정한 행동의 반복과 사회성 결여, 유연성 부족 등으로 인해 어떤 상황에도 비슷한 행동을 보이는 모습을 보인다. 자폐증은 소아 1000명당 1명 정도가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36개월 이전에 나타나기 때문에 초기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자폐성 소아의 특징은 몸이 경직되고 위축되며 공격성이 강하고 사회성 결함과 반복적 행동으로 앞뒤고 흔들기, 손가락 움직이기, 눈 깜박이기, 의미 없는 소리를 반복하기 등 다양한 모습을 보이며, 이러한 행동은 자폐성 소아를 진단하는 주요 기준이 된다. 자폐성 아동은 상동행동에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며, 이로 인해 주위 환경에 반응하지 못하게 되고 새로운 행동의 획득이나 일반화에 실패하게 된다. 또한 언어나 사회적 학습 등 다양한 학습활동 영역을 방해하고 사회적 통합의 장벽이 된다는 점에서 상동행동의 문제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통합어린이집은 장애 아동과 비장애아동이 함께 다니는 어린이집으로, 비장애아동은 장애아동의 상동행동에 대해 궁금해 하게 되는데 이때 이들의 인식을 어떻게 제고시키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의 상동행동의 원인과 양상, 통합어린이집에서의 상동행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인식과 상동행동의 구체적 지원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특성
2.1. 자폐 범주성 장애의 정의
자폐 범주성 장애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자폐 범주성 장애는 지금에 이르러 정상적인 사회적 관계를 발달시키지 못하고, 언어를 이상하게 사용하거나 전혀 사용하지 못하며, 제한적이고 반족적인 행동을 보이는 질환으로 정의되고 있다. 자폐 범주성 장애는 신경발달 장애로 타인과 관계를 맺기 어려우며 행동, 관심 및 활동패턴이 제한되어 있어 종종 정형화된 행동을 따르게 된다. 진단은 관찰과 부모 및 보호자의 보고로 진행되며 표준화된 자폐증 특이 선발 검사를 기준으로 측정하며 대부분 구조화된 중재에 잘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자폐 범주성 장애는 그 증상 정도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경과가 너무 다양한 질환이기 때문에 스펙트럼 질환으로 보고 접근하고 있다."
2.2. 상동행동과 원인
자폐성 아동의 상동행동은 자극에 반응하는 신체문제와 중추신경계의 과잉흥분과 과잉억제가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병리적 원인에 의해 쉽게 통제되지 하지 못하고 흥분과 억제를 나타나 신체문제를 가지게 된다""이다. 쉽게 외부환경 자극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과 불안정을 느끼며 자신의 신체를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며 능동적으로 동작을 조절하지 못하게 된다""이다. 상동행동의 원인은 자기자극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자기자극은 신체적인 움직임이나 소리, 단어, 또는 움직이는 물체의 반복을 뜻하며, 'stimming' 이라고 부른다""이다. 자기자극행동은 촉각, 시각, 청각, 후각, 전정 자극 등의 유형이 있다""이다. 예를 들면 손 펄럭이기, 몸 흔들기, 과도한 눈 깜빡임, 머리 흔들기, 반복적으로 소리내기, 반복적인 단어 말하기, 손가락 스내핑하기, 물건 빙빙 돌리기와 같은 것들이다""이다. 특정한 감각에 대해 부족하거나 결핍을 느끼는 상태가 되면 스스로 부족한 감각을 채우기 위해 자신에게 자극을 주는 행위를 반복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청각에 대한 자극이 부족할 경우 신체로 사물을 치거나 손을 이상한 형태로 쥐었다 펴는 행동을 보이기도 하며, 전정기관의 자극이 부족하다고 느끼면 제자리에서 뛰거나 몸을 앞뒤로 흔들어 자극을 가하기도 한다""이다. 반대로 자극이 너무 많을 경우에는 지각되는 상황을 견디기 위해 한 가지 자극행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해 자극을 줄이려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이다. 이처럼 상동행동은 자극의 부족과 과잉으로 발생하게 되며 정서적 불안과 긴장상태를 자주 만들게 되며 뇌신경의 문제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이다.
2.3. 상동행동의 양상
상동행동의 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예로 다음과 같은 행동들을 들 수 있다"
먼저, 자폐 범...
참고 자료
Billy T. Ogletree,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의사소통 이해와 중재, 2009
이연우, 동작훈련이 자페성 아동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2002
김영민, 자폐아의 선호운동 조사 및 적용, 2004
국립국어원. (2019).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문, 선영. (2018).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인지적 발달 및 치료 전략, 57(3), 139-161.
이, 선미. (2017).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사회성과 의사소통, 15(2), 25-39.
홍, 지영. (2017).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인지·언어·사회성 발달 특성 및 교육전략, 31(4), 845-876.
교안, 언어발달장애
김정완 저, 2011, 자폐 장애 아동 보호자의 언어치료 교육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실태조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