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학 고혈압 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혈압의 정의와 병태생리
1.1. 고혈압의 정의
1.2. 고혈압의 병태생리
1.2.1. 유전적 요인
1.2.2. 교감신경계
1.2.3. 혈관내막
1.2.4. 신장계
1.2.5. 내분비계
2. 고혈압의 원인과 진단
2.1. 고혈압의 원인
2.1.1. 본태성 고혈압
2.1.2. 이차성 고혈압
2.2. 고혈압의 진단
2.2.1. 병력과 진찰
2.2.2. 혈압 측정
2.2.3. 기타 검사
3. 고혈압의 증상과 합병증
3.1. 고혈압의 증상
3.2. 고혈압의 합병증
3.2.1. 심혈관계 합병증
3.2.2. 신장계 합병증
3.2.3. 뇌혈관 합병증
3.2.4. 기타 합병증
4. 고혈압의 치료
4.1. 비약물적 치료
4.1.1. 생활습관 개선
4.1.2. 보완대체요법
4.2. 약물적 치료
4.2.1. 이뇨제
4.2.2.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4.2.3.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4.2.4. 칼슘채널 차단제
4.2.5. 베타차단제
4.2.6. 알파차단제
5. 고혈압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5.1. 생활습관 관리
5.2. 약물요법 관리
5.3. 합병증 예방
5.4. 자가관리 증진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혈압의 정의와 병태생리
1.1. 고혈압의 정의
혈압이란 혈액이 혈관 벽에 가하는 힘을 말하며, 수축기 혈압(최고혈압)과 확장기 혈압(최저혈압)으로 나누어 읽는다. 고혈압은 18세 이상의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고혈압은 원인 질환이 밝혀져 있는 이차성 고혈압과 원인이 발견되지 않는 본태성(일차성) 고혈압으로 구분되며, 전체 고혈압 환자의 약 95%는 본태성 고혈압이다. 본태성 고혈압의 근본적인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심박출량의 증가나 말초 혈관저항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 고혈압의 병태생리
1.2.1. 유전적 요인
고혈압의 병태생리에서 유전적 요인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고혈압에는 유전적 요인이 작용한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는데, 두 명 이상의 고혈압 환자가 있는 가족일수록 고혈압에 걸릴 위험도가 3.6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유전적 요인이 고혈압 발병에 크게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유전적 요인으로 인한 고혈압은 복잡한 양상을 띠는데, 단일 유전자의 돌연변이보다는 여러 유전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정 유전자의 변이가 심장 박출량 증가나 말초 혈관 저항 증가와 같은 기전을 통해 혈압 상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도 고혈압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유전적 요인은 고혈압 발병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가족력이 있는 경우 고혈압 발병 위험이 매우 높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고혈압 환자의 경우 가족력을 조사하고 유전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질병 관리 및 예방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1.2.2. 교감신경계
교감신경계는 고혈압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면 심박동수와 심장 수축력이 증가하고 말초 동맥이 수축하며, 신장에서 레닌 분비가 자극된다. 이에 따라 심박출량과 전신 혈관 저항이 증가하여 혈압이 상승하게 된다.
교감신경계는 스트레스나 긴장 상태가 되면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등의 신경전달물질이 교감신경 수용체에 작용하여 이러한 반응을 유발한다. 교감신경 수용체에는 알파(α)와 베타(β) 두 가지 수용체가 있는데, 베타-1 수용체는 주로 심장 박동수와 심장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베타-2 수용체는 기관지를 확장시키며 말초 혈관을 이완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면 알파-1 수용체는 혈관을 수축시키고 방광 괄약근을 수축시킨다.
따라서 교감신경계의 과활성화는 혈압 상승의 주요 원인이 되며, 이를 조절하는 것이 고혈압 관리에 중요한 전략이 된다. 교감신경계를 억제하는 베타차단제와 알파차단제가 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는 이유가 이와 같다.
1.2.3. 혈관내막
혈관내막은 혈관의 혈액과 접촉하는 가장 내측의 층으로, 혈관내벽을 형성하는 중요한 구조이다. 혈관내막세포는 혈액응고, 염증, 혈관수축 및 이완 등의 과정에 관여하며, 고혈압의 발병에도 영향을 미친다.
혈관내막세포가 생산하는 엔도텔린은 강력한 혈관수축제로 작용한다. 엔도텔린은 혈관평활근 세포의 수축을 촉진하여 혈관을 좁게 만들고 혈압을 상승시키는데 기여한다. 또한 혈관내막세포는 호중구(neutrophil)를 혈관내막으로 끌어들여 부착되게 하며, 이는 평활근 성장을 자극하여 혈관의 비정상적인 구조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이처럼 혈관내막은 고혈압의 발병 및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노화와 더불어 혈관내피세포 기능의 저하, 염증 반응 증가 등의 변화가 발생하여 혈관 수축력 증가와 혈관 저항 상승을 유발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혈관내막 기능 유지가 고혈압 예방 및 관리에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1.2.4. 신장계
신장계는 고혈압의 중요한 병태생리적 요인이다. 신장에서 생성되는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가 혈압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먼저, 신장은 체내 체액량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관이다. 신장에서 생성되는 레닌은 혈압을 상승시키는 주요 인자인 안지오텐신II의 생성을 촉진한다. 안지오텐신II는 혈관을 수축시키고 알도스테론 분비를 증가시켜 나트륨과 수분의 재흡수를 촉진함으로써 혈압을 상승시킨다. 또한 신장의 방추형 세포에서 생성되는 안지오텐신II는 직접적으로 혈관 평활근을 수축시켜 혈압을 높인다.
한편, 신장에서 나트륨과 수분의 배출이 감소되면 혈액량이 증가하여 심박출량이 증가하고, 전신 혈관저항이 상승하여 결과적으로 혈압이 상승하게 된다. 특히 만성 신장병 환자의 경우 나트륨과 수분의 배출 감소로 인해 고혈압이 발생하기 쉽다.
이처럼 신장은 체액량과 전해질 균형의 조절을 통해 혈압 항상성을 유지하는 핵심 기관이며, 신장 기능의 이상은 고혈압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1.2.5. 내분비계
내분비계는 고혈압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선 항이뇨호르몬은 혈청 나트륨과 삼투압 농도가 상승하면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가 증가된다. 이는 신장에서 수분 재흡수를 높여 세포외액량과 혈액량을 증가시켜 혈압을 상승시킨다. 또한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도 혈압 조절에 중요한데, 레닌이 안지오텐시노겐을 안지오텐신 I로 전환하고 이것이 다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에 의해 강력한 혈관수축제인 안지오텐신 II로 전환된다. 안지오텐신 II는 혈관 평활근을 수축시키고 알도스테론 분비를 자극하여 신장의 나트륨 재흡수를 증가시켜 혈압을 높인다.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알도스테론도 신장에서 나트륨 재흡수를 촉진하여 혈액량을 증가시켜 혈압을 상승시킨다. 이처럼 내분비계 호르몬들은 신장의 전해질 및 수분 균형 조절을 통해 혈압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고혈압의 원인과 진단
2.1. 고혈압의 원인
2.1.1. 본태성 고혈압
본태성 고혈압은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고혈압으로, 전체 고혈압 환자의 약 95%를 차지한다. 본태성 고혈압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교감신경계 이상, 혈관내막 이상, 신장계 이상, 내분비계 이상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유전적 요인을 보면, 고혈압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고혈압 발생 위험이 3.6배 더 높다. 이는 본태성 고혈압에서 유전적 요인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면 심박출량과 전신 혈관저항이 증가하여 혈압이 상승하게 된다.
한편, 혈관내막 세포가 생산하는 엔도텔린은 강력한 혈관수축작용을 하여 혈압을 올리며, 호중구가 혈관내막으로 모여 붙게 하고 평활근 성장을 자극하기도 한다. 신장계에서는 체내 나트륨과 수분의 항상성 유지에 문제가 생겨 정맥귀환량과 심박출량이 증가하면서 고혈압이 발생한다. 또한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의 이상으로 혈관수축과 나트륨 재흡수가 증가하여 혈압이 상승한다.
내분비계에서는 항이뇨호르몬의 과다 분비로 수분 재흡수가 증가하여 혈압이 상승할 수 있다. 이처럼 본태성 고혈압은 복잡한 병태생리적 기전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다인자성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본태성 고혈압의 위험요인은 조절 가능한 요인과 조절 불가능한 요인으로 구분된다. 조절 불가능한 요인에는 연령, 가족력, 성별 등이 포함되며, 조절 가능한 요인에는 비만, 고지혈증, 흡연, 음주,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관리하는 것이 본태성 고혈압의 예방 및 관리에 중요하다.
2.1.2. 이차성 고혈압
이차성 고혈압은 특정한 원인 질환으로 인해 고혈...
참고 자료
고혈압 관리 프로그램의 간호중재 효과 문헌 분석 = (The) literature review study for the nursing interven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hypertension management programs / 이인숙,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2003]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에 대한 문헌고찰 = A Literature Review on Self Car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 김숙영, 경인여자대학,[2007]
자기조절프로그램이 고혈압환자의 혈압 및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a Self-regulation Program on Blood Pressure Control and Self-Care in Patient with Essential Hypertension / 추향임, 김광숙, 한국농촌간호학회지,[2011]
고혈압 노인의 효능자원을 이용한 복약순응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 Effects of a Medication Adherence Improvement Program utilizing Self-efficacy Resources for Older Adults with Hypertension / 김희진, 송미순, 노인간호학회[2013]
보건진료소 관할 농촌지역 고혈압 환자들의 고혈압 관련 생활습관, 고혈압 지식, 자가간호 행위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life style, Knowledge, and the self-care behavior of hypertension patients in the agricuotural regions administrated by the public health centers / 오미숙, 공주대학교,[2004]
고혈압 간호중재의 혈압하강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Hypertension-related Nursing InterventionPrograms / 소은선, 이인숙
동서간호학연구지,[2010]
현문사 성인간호학 하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83352&cid=60408&categoryId=55558 항고혈압제, 간호대학사전
신미자 외 공저 (2020). 최신 알기 쉬운 병리학 제 2판. 현문사, P. 243 ~ 244
윤은자 외 공저 (2019). 성인간호학 2 제9판. 수문사, P. 857-872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322 고혈압,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f514a0de8fab0bd1ffe0bdc3ef48d419&keyword=%EC%B2%99%EC%B6%94%EA%B4%80%20%ED%98%91%EC%B0%A9%EC%A6%9D
에듀팩토리 편집부(2012), 성인간호학 필통, p.139~173, 에듀팩토리
퍼시픽 북스(2020), 성인간호학 퍼시픽, p. 364~370, 퍼시픽 학술편찬국
윤은자(2021), 성인간호학2, p. 704~705, 수문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431378&cid=63166&categoryId=5674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04799&cid=59913&categoryId=59913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67821&cid=58946&categoryId=58977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329&cid=51007&categoryId=5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