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코로나-19가 우리나라 국민의 비만에 미친 영향
1.1.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국민 전체 비만율 비교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결과를 보면,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비만율이 상승하고 있다. 코로나-19 이전(2018년)과 2021년의 데이터를 비교하면 비만율이 더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9세 이상 국민 전체의 연도별 비만율 추이를 보면 우선 2018년의 비만율은 34.6%였고 2019년에는 33.8%로 비슷했고, 코로나19 이후인 2020년에는 38.3%, 2021년 비만율은 37.1%로 코로나19 이전인 2018,2019년에 비해 코로나19 이후의 비만율은 평균 4% 가량 상승하였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식생활 변화, 운동 및 야외 활동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19세 이상 성인 비만율이 급격한 추세로 상승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평균 0.5% 안팎의 변동 폭을 보인데 비해 코로나19 이후에는 무려 평균 4% 이상 급증하면서 코로나19로 인한 비만율 상승 추세가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다.
1.2.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성별 비만율 비교
성별에 따른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비만율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남성의 경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비만율이 41.8%였으나, 이후 2020년에는 48.0%, 2021년에는 46.38%로 상승했다. 여성의 경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비만율이 25%였으나, 이후 2020년에는 27.7%, 2021년에는 26.9%로 상승했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이후 남성의 비만율이 여성보다 더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19세 이상 남성의 경우 코로나-19 이전 비만율 평균(2018년, 2019년)이 42.4%였으나, 코로나-19 이후인 2020년과 2021년 평균은 47.15%로 무려 5% 가까이 올랐다. 반면 19세 이상 여성의 경우 코로나-19 이전 평균 비만율이 25%에서 이후 평균 27.3%로 약 2.3%p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처럼 남성의 비만율 증가 폭이 여성에 비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성별 간 비만율 격차 변화를 살펴볼 때, 코로나-19 유행 기간 동안 남성들의 생활습관과 식습관이 여성에 비해 크게 악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남성의 경우 실외 활동 감소와 배달음식 섭취 증가 등으로 인해 건강하지 않은 식습관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을 수 있다. 반면 여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건강한 식단 유지와 실내 운동 등을 통해 비만 증가를 어느 정도 억제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향후 코로나-19 이후 지속되는 생활양식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성별에 따른 맞춤형 비만 관리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남성의 경우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생활패턴 악화에 더욱 주목하여 건강한 식습관 및 운동 습관 형성을 지원하는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1.3.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연령별 비만율 비교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연령별 비만율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의 경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비만율이 27.6%였으나, 이후 2020년에는 32.6%, 2021년에는 28.6%로 등락을 보였다. 30대의 경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비만율이 34.9%였으나, 이후 2020년에는 41.6%, 2021년에는 39.4%로 상승했다. 40대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비만율이 35.67%였으나, 이후 2020년에는 39%, 2021년에는 42.9%로 상승했다. 50대의 경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비만율이 36.5%였으나, 이후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