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문화란 각 나라의 색깔을 보여주고 그 나라의 주요한 행동 양식, 세대특징 ,사상, 상징 구조 등을 보여준다. 또한 밥 먹을 때 식사 예절이나 개개인의 말투, 의식주, 언어, 종교, 예술, 사회 제도와 관습, 규범 등 모두 문화 속에 포함된다. 문화는 이렇듯 후천적 학습에 의해 얻어지고 여러 세대를 거쳐 만들어지고 쌓여가는 것이다. 또한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생활 조건이 변함에 따라 변화가 가능하다. 문화는 멀리 있지 않고 우리 가까이에 있다. 일반적으로 문화라고 하면 미술, 영화,?음악,?연극 등 예술 분야를 떠올릴 수 있다. 우리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문화 공간 장소로는 영화관, 박물관, 미술관, 콘서트장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영화관은 예술행사 관람률이 단연 으뜸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드라마에서도 나와서 더 유행하게 된 혼족(혼자서 모든 걸 다 하는 사람들)이 점점 더 많아지는 추세다 보니 혼술, 혼밥, 혼영 등 혼자서 문화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2. 대중문화와 관광산업의 관계
2.1. 대중문화와 한류의 정의와 이해
대중문화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인기 있고 널리 소비되는 문화를 의미한다. 국어사전에 따르면 대중문화는 "대중이 형성하는 문화"로 정의된다. 대중문화는 사람들의 생활수준과 매스컴의 발달을 기반으로 하며, 대량 소비와 대량생산을 전제로 한다. 이로 인해 때로는 문화를 저속화 또는 획일화시키거나 상품화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의 대중문화인 "한류"는 한국문화가 해외에서 유행하면서 그들의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현상을 말한다. 한류는 한국에서 제작된 드라마, TV방송, 영화, 패션, 음악 등이 해외에서 소비되는 문화적 현상을 의미한다. 한류는 1990년대 중반부터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특히 1990년대 말 대만, 중국 등 중화권에서 "한류"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다.
한국의 대중문화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한국 콘텐츠가 대만, 홍콩, 중국 등 중화권 사람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고, 이후에 일본, 베트남, 필리핀 등 아시아 전체로 한류가 퍼지게 되었다. 1993년에는 중국에 TV 드라마가 처음 수출되었고, 이후 1997년부터는 MBC의 "사랑이 뭐길래", 2000년대 KBS의 "겨울연가" 등 수많은 드라마들이 큰 인기를 끌면서 한류의 기반이 되었다. 또한 보아, H.O.T. 등 가수들도 한류 확산에 일조했다. 2010년대에는 아이돌 그룹 중심의 대중음악이 한류의 중심이 되면서 아이돌을 따라하고 선망하는 "신 한류"가 시작되었다.
신 한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게임 등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신 한류가 만들어낸 콘텐츠는 스마트폰과 인터넷의 발전, SNS의 성장 등 급변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 힘입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이에 따라 한류의 영향력도 아시아권을 넘어 아메리카, 아프리카, 유럽 등 전 세계로 확장되었고, 음악, 게임, 한국 문화 전반으로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2.2. 한류와 관광산업의 예
한국의 문화 콘텐츠 수출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분야는 게임과 음악이다. '롤(LOL)'이라는 게임을 전 세계적으로 제일 잘하는 프로게이머도 한국인이고 게임 컨텐츠 개발도 잘하는 국가가 한국이다. 한편 한류 콘텐츠의 수출 지역이 다양하게 변화한 것도 신 한류의 또 다른 특징으로 범 아시아권뿐만 아니라 유럽, 중남미, 북미, 중동국가, 아프리카 등 거의 전 세계로 한국의 문화 콘텐츠 인기가 퍼졌고 지금도 코로나 때문에 주춤하긴 하지만 SNS를 통해 한류의 인기는 현재 진행 중이다"".
한류를 생각했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떠올릴 것이다. 물론 요즘 사람들은 BTS(방탄소년단)을 얘기하겠지만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아직까지도 외국인들에게 한국 하면 떠오르는 가수나 누구냐고 물어보면 방탄소년단, 싸이 등 여러 가수 이름들이 언급되겠지만 떠오르는 음악이 무엇이냐고 물어봤을 때는 10명 중에 9명은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얘기한다. '강남스타일'은 유튜브(YouTube)를 통해 전 세계에 알려졌고 뮤직비디오에 등장한 말 춤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전 세계인의 춤이 되었다. 2012년 7월, 한국에서 처음 공개된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는 유튜브(YouTube) 탄생 이래로 2012년 12월에 불과 5개월 만에 조회 수 10억 건을 돌파했고 최단 기간 및 최다 조회 수 기록을 세웠다. 그리고 지금은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