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정신건강론 개요
1.1. 정신건강의 중요성
정신건강의 중요성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삶을 풍요롭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금전적·신체적으로 건강할 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건강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는 정신건강의 문제로 고통을 겪는 사람들이 많다. 보건복지부의 2011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에 따르면, 전체 정신장애의 평생유병률은 2011년 28.1%로, 우리나라 국민 100명 중 약 28명이 평생에 한 번쯤은 정신장애를 경험한다고 한다. 즉, 정신질환, 정신장애는 더 이상 드문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로 우리 주변을 살펴보면 정신적으로 아프고 피곤한 사람들이 많다. 대표적으로 과도한 입시 경쟁으로 힘든 학생들, 졸업 후에도 취직이 되지 않아 걱정하는 청년실업자, 실직 및 퇴직으로 경제적 불안감을 느끼는 중년 남성, 육아와 직장을 병행하느라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젊은 부부, '외모지상주의'로 인해 성형과 다이어트에 집착하는 여성들, 부인(또는 남편)과의 사별로 극심한 외로움을 겪고 있는 노인, 사회안전망의 미비로 인한 재난사고로 가족을 잃은 사람들 등이 있다. 이들은 경미한 우울증이나 불안장애에서부터 가정폭력, 성폭력, 치매, 청소년 비행, 부부 갈등과 자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를 호소하고 있다. 이처럼 정신건강의 문제는 개인의 기질적이고 심리적인 데에서 기인하지만, 현대사회에서 야기되는 수많은 스트레스에서 오는 영향도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신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예방, 치료, 재활적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문가의 양성과 훈련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정신건강은 현대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2. 정신건강 문제의 실태
우리나라의 정신건강 문제의 실태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보건복지부의 2011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에 따르면, 전체 정신장애의 평생유병률은 28.1%로, 우리나라 국민 100명 중 약 28명이 평생에 한 번쯤은 정신장애를 경험한다. 이는 정신질환, 정신장애가 더 이상 드문 일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실제로 우리 주변에는 정신적으로 아프고 피곤한 사람들이 많다. 과도한 입시 경쟁으로 힘들어하는 학생,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실업자, 실직이나 퇴직으로 불안감을 느끼는 중년 남성, 육아와 직장생활의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젊은 부부, 외모지상주의로 인해 성형과 다이어트에 집착하는 여성들, 사별로 인한 극심한 외로움을 겪는 노인, 재난사고로 가족을 잃은 사람들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들은 우울증, 불안장애, 가정폭력, 성폭력, 치매, 청소년 비행, 부부 갈등, 자살 등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를 호소하고 있다. 이는 개인의 기질적이고 심리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의 스트레스 등 사회적 요인도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국 이러한 정신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방, 치료, 재활 등의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과 더불어 전문가 양성이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1.3.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서비스 필요성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서비스 필요성은 현대 사회에서 매우 중요하다. 보건복지부의 2011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에 따르면, 전체 정신장애의 평생유병률은 2011년 28.1%로, 우리나라 국민 100명 중 약 28명이 평생에 한 번쯤은 정신장애를 경험한다고 한다. 이처럼 정신질환, 정신장애는 더 이상 드문 일이 아니며, 실제로 우리 주변에는 정신적으로 아프고 피곤한 사람들이 많다. 과도한 입시 경쟁, 청년실업, 경제적 불안감, 육아와 직장 병행, 외모지상주의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 경미한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부터 가정폭력, 성폭력, 치매, 청소년 비행, 부부 갈등과 자살 등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를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신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방, 치료, 재활적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문가의 양성과 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것이다.
2. 저자와 책 소개
2.1. 전석균 교수의 경력
전석균 교수는 숭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그리스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전 교수는 1985년부터 약 11년간 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로 근무하였으며, 주로 정신건강에 어려움이 있는 개인과 가족, 그리고 집단을 위해 임상사회사업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또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와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를 조직하고 성장시키는 과정에 일조하였으며, 현재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급 슈퍼바이저로서 정신보건 영역의 수련생과 실습생들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2.2. 「정신건강론」 구성 및 주요 내용
「정신건강론」의 구성 및 주요 내용은 다음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