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향가와 고려 속요의 구조적 특징
1.1. 향가의 구조적 특징
1.1.1. 형식과 구성
향가의 형식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향가는 주로 4구체, 8구체, 10구체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4구체 향가는 가장 짧은 4줄로 이루어진 형식이며, 서동요, 헌화가, 풍요, 도솔가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8구체 향가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모죽지랑가, 처용가, 도이장가 등이 8구체 향가에 해당한다. 가장 발전된 형식인 10구체 향가는 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의 4구가 1장, 다음 4구가 2장, 마지막 2구가 3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과정곡이 대표적인 10구체 향가이다. 이처럼 향가는 구체의 수에 따라 점차 그 길이와 복잡성이 증가하는 형식적 특징을 보인다."
1.1.2. 주제
향가의 주된 내용으로는 사람의 높고 아름다운 공덕을 찬양하고 천지신명을 감동시키는 진언, 미래 세상에 대한 기원과 극락왕생을 비는 신앙 같은 내용과 군신간의 의리, 벗과 동기간의 우애 등이 다양하게 다루어지고 있다""향가는 순수한 우리 글로 표현되지 못하고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서 표기하거나, 향찰 및 이두로 표기한 독특한 형태이다. 향찰표기는 민족적 주체성과 국문의식의을 엿볼수 있으며 이는 외래문화를 주체적으로 수용, 발전시킨 것이다""
1.1.3. 언어체계
향가의 언어체계는 대부분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표기한 독특한 형태이다. 향가는 순수한 우리 글로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