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연구의 필요성은 대장암 환자의 증가와 관련이 깊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2020년 암의 발생자수는 총 247,952명이며, 그중 대장암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기대수명(83.5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9%이며, 특히 대장암의 발생률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육류 섭취 증가, 신체 활동 감소 등에 기인한다. 그러나 초기 대장암의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아 대부분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이에 따라 대장암 환자에 대한 간호 요구를 파악하고 향후 간호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1.2. 대장암의 발생 현황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2020년 암의 발생자수는 총 247,952명이며, 남자는 130,618명, 여자는 117,334명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기대수명(83.5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9%였으며, 남자(80.5세)는 5명 중 2명(39.0%), 여자(86.5세)는 3명 중 1명(33.9%)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2020년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이었으며, 이어서 폐암, 대장암, 위암, 유방암, 전립선암, 간암의 순으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대장암이 발생하는 확실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여러 복합적인 원인들 중 하나가 육류의 섭취이다. 우리나라에서의 육류섭취는 나날이 늘어가고 있으며, 그에 따른 대장암의 발생률 또한 나날이 늘어가고 있다. 또한 점점 신체적인 활동도 줄어들어가고 있어 대장암의 발생률이 늘어가고 있다.
2. 대장암의 이해
2.1. 대장의 구조
대장은 회장맹장판막에서 항문까지 연장되는 기관으로, 길이는 약 1.5~1.8cm이고 지름은 약 5cm이다. 대장은 맹장, 결장, 직장 및 항문의 4부분으로 나누어지나, 이들 부분들은 판막이나 괄약근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장막이 대장을 싸고 있으며, 근육층은 바깥쪽 세로근육층과 안쪽 돌림근육층으로 분류된다. 세로근육 결장띠라 불리는 3개의 띠로 갈라지며 대장보다 길이가 짧아 결장을 주름지게 하고, 팽대라 불리는 낭과 주머니를 이룬다. 점막하층에는 동맥, 정맥, 림프관 등이 있으며 이곳에서 점액을 분비한다. 맹장은 회장맹장판막에서 회장과 연결되어 있으며, 결장은 오름결장, 가로결장, 내림결장, S자결장 등 4부분으로 나눈다. 직장과 항문 부분은 두 개의 괄약근인 속괄약근과 바깥괄약근이 항문의 개구를 조절한다.
2.2. 대장의 기능
대장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다. 첫째, 소장에서 흡수되고 남은 영양소와 수분의 흡수가 이루어진다. 둘째, 대장 내 세균에 의한 발효와 분해과정이 이루어져 대변이 만들어진다. 셋째, 비타민 B군과 비타민 K를 합성한다. 넷째, 대장의 운동을 통해 대변을 직장에 도달시켜 배출한다. 다섯째, 수분, 염화물 및 소듐을 흡수한다. 여섯째, 유미즙의 양을 줄이고 장 내 점액을 분비하여 윤활제 역할을 한다. 일곱째, 분변을 형성하여 배변 시까지 저장한다. 이처럼 대장은 소화기능, 배출기능, 대사기능 등 매우 다양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2.3. 대장암의 정의와 특징
대장암은 대장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을 말한다. 대장암의 대부분은 대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며, 이 외에도 림프종, 육종, 편평상피암, 전이성 병변 등이 있다. 대장암이 생기면 점점 커지면서 표면에 궤양이 생기고, 출혈이 있으며, 장벽 속으로 깊이 파고 들어가게 된다.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가장 호발하고 남녀 발생률은 비슷하다.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하며 이를 합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 직장암이라고 한다. 악성종양의 대부분이 결장 원위부에서 발생한다. 대장암은 가족성 경향이 높으며, 대표적인 유전적 대장암은 가족성 용종증과 비용종성 대장암이 있다. 가족성 용종증은 사춘기 무렵에 대장 내에 수백개에 이르는 용종이 발생하고 성인이 되면 거의 100% 암으로 진행한다. 비용종성 대장암은 젊은 나이에 발병하고 가족성 용종증보다 흔하다. 이는 DNA 부정합을 교정하는 유전자의 이상과 연관이 있다. 대장암은 확실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4. 대장암의 발생 요인
대장암의 발생 요인은 매우 복합적이며, 정확한 원인을 밝히기는 어렵다. 그러나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주요 발생 요인에는 유전적 요인, 식단 요인, 생활 습관 요인 등이 있다"이다.
첫째, 유전적 요인이 대장암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대장암 발생 위험이 2-3배 이상 높아진다. 가족성 용종증과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 등의 유전성 질환이 대표적이다. 이들 유전성 질환은 조기에 대장암이 발생하고 종양의 발생 및 진행 과정이 매우 빨라 예후가 불량하다"이다.
둘째, 식단 요인은 대장암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붉은 고기와 가공육의 과다 섭취, 식이섬유 섭취 부족, 지방 섭취 과다 등이 주요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육류 섭취가 많은 서구화된 식습관이 대장암 발생률을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육류 섭취로 인한 담즙산과 지방의 과다 생성, 장내 세균 변화 등이 대장점막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이다.
셋째, 생활 습관 요인도 대장암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체 활동 부족, 흡연, 과도한 음주 등이 대장암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들 요인이 만성 염증을 유발하고 산화 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