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4개
-
Low anterior resection 수술과정2024.12.181. 서론 1.1. 사례 개요 본 사례는 67세 남성 환자의 직장암 진단 및 수술 과정에 대한 내용이다. 환자는 2023년 10월 12일 중앙대학교병원에 입원하였고, 입원 당시 직장암 진단을 받았다. 수술 명은 "Laparoscopic low anterior resection (ileostomy)"로, 직장의 상부 2/3 지점에 있는 종양을 제거하고 동시에 대장에 전체적으로 질환이 있거나 일시적인 대장의 휴식을 목적으로 회장루를 조성하는 것이었다. 수술은 정규 수술로 진행되었다. 사례 개요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환자는 직...2024.12.18
-
laparoscopic LAR 수술2024.12.181. 서론 1.1. 연구 목적 대장암은 2018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발생률에 있어서 네 번째로 호발하는 암종이며 사망률에 있어서 폐암, 간암에 이어서 세 번째를 기록하고 있다. 직장암은 27,909건의 대장암 중에 11,441건으로 41%를 차지한다. 대장암 대부분은 중재를 통해 예방이 가능하고 대장내시경 검진, 분변잠혈검사를 통해 이차예방으로 대장암의 사망률 감소뿐 아니라 용종 등 전 암병변을 제거함으로 발생률을 감소할 수 있다. 이번 실습에서 관찰한 Low anterior resection을 조사함으로써 직장암에 대한 지식을 ...2024.12.18
-
대장암 간호진단2025.01.14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대장암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대장암은 예방이 가능한 암 중 하나이다. 따라서 대장암의 증상, 위험요인, 예방법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대장암 환자는 암 진단에 따른 심리적 충격과 장기간의 치료로 인한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경험하므로,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대장암의 병태생리와 원인 대장암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반적으...2025.01.14
-
대장암2024.08.311. 대장암 개요 1.1. 대장암의 정의 및 발생 부위 대장암은 대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악성종양을 말한다.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하고,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 직장암이라고 한다. 대장은 파이프 모양의 관으로 안쪽에서부터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 등 4개의 층으로 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대장암은 대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다. 이 외에도 림프종, 육종, 편평상피암, 다른 암의 전이성 병변 등이 있다. 1.2. 대장암의 발생 빈도 대장암의...2024.08.31
-
소화기 내시경 간호2024.10.151. 용어 및 약어 1.1. 용어 용어 AGC는 'Advanced Gastric Cancer'의 약어로, 진행성 위암을 의미한다. AGE는 'Acute Gastric Enteritis'의 약어로, 급성 위장염을 나타낸다. BCC는 'Basal Cell Cancer'의 약어로, 기저세포암종을 의미한다. CBD는 'Common Bile Duct'의 약어로, 총담관을 나타낸다. CPR은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의 약어로, 심폐소생술을 뜻한다. DNR은 'Do Not Resuscitation'의 약어로...2024.10.15
-
이하선종양 케이스 스터디2024.10.101. 서론 통계청에 따르면 암이 대한민국의 사망률 1위이다. 직장암은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로 발병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선진국계열에서 실시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암환자 중 12%는 대장암으로 사망하였으며, 폐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암이라고 한다. 대장암은 부위별로 크게 결장암과 직장암으로 구분되는데, 직장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약 50%로 가장 많다. 우리나라 또한 식습관의 변화가 서구적인 식습관으로 변화되면서 대장암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증가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직장암에 대해 자세히 알아...2024.10.10
-
대장암 문헌고찰 연구 분석 및 치료2024.11.091. 결장암(대장암) 1.1. 대장의 해부생리 대장은 식물성 섬유의 소화와 수분을 흡수하여 대변을 만드는 곳으로, 길이는 약 150cm이며 맹장(cecum), 결장(colon), 직장(rectum)로 나뉜다."" 결장(colon)은 상행결장(ascending colon), 회행결장(transverse colon), 하행결장(descending colon), S상 결장(sigmoid colon)으로 나뉘며 직장으로 이어진다."" 대장은 점액을 분비하여 대장벽을 보호하고 대변을 응집한다."" 대장의 수축작용인 팽대(haustratio...2024.11.09
-
임상에피소드2024.11.131. 대장암 수술 환자 간호 1.1. 임상 에피소드 박OO(남/64)님은 일주일 전인 3월 초 혈변, 복통으로 인하여 응급실에 내원한 적이 있었던 분으로, 당시 증상 조절만을 원하여 추가적인 검사를 거부하고 증상 호전 후 귀가하셨다. 그러나 금일 다시 혈변이 발생하여 화장실에서 쿵하는 소리와 함께 의식 변화로 119가 신고되어 응급실로 내원하셨다. 응급실 내원 당시 대상자의 의식 상태는 deep drowsy~stupor 상태였다. 응급실에서 진행한 CT 검사 결과 S-colon에 3.5cm 크기의 심한 벽 비후 소견이 관찰되었으며...2024.11.13
-
식생활과 건강2024.10.131. 식생활과 건강 1.1. 현대인의 식생활 현대인의 식생활은 산업화와 경제성장으로 인해 빠르게 서구화되고 있다. 과거에는 영양실조가 문제였지만 오늘날에는 "영양불균형"이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산업화로 인해 빠른 시간 내에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서구식 식생활이 자리 잡게 되었다. 이로 인해 탄수화물, 지방 등의 열량 영양소 과잉과 동물성 지방의 과잉섭취가 나타나고 있다. 반면에 비타민, 무기질과 같은 대사 영양소는 결핍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식생활의 불균형으로 인해 건강에 이상이 생긴 것을 "현대판 영양실조"라고...2024.10.13
-
성인간호학1 중간고사2024.10.161. 서론 장루 환자는 배변조절능력 상실과 관련된 불안, 장루와 관련된 지식부족, 신체상 장애 등의 문제를 경험하게 되며 또한 수술 후 배설물에 의해 장루 주위 피부자극으로 인해 피부손상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합병증 및 식욕부진, 구토 등의 여러 가지의 간호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관련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장루 환자는 물론 가족에게도 정확한 간호지식과 장루관리에 대하여 알려주어 장루환자의 정서적지지 제공 및 사회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한다. 요배설은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요배설과...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