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슬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폐 스펙트럼 장애 이해
1.1. 영화 '다슬이'와 다슬이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1.2.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특성
1.3. 다슬이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특성
2.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유병률과 원인
2.1.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유병률
2.2.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원인
3.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치료
3.1.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치료 방법
3.2. 다슬이의 치료 방향
4.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이해
4.1.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4.2. 다슬이를 통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이해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폐 스펙트럼 장애 이해
1.1. 영화 '다슬이'와 다슬이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영화 '다슬이'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소녀 다슬이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다슬이는 시골 마을에서 할머니와 삼촌과 함께 살아가는데, 그녀의 모습을 통해 전형적인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특성들이 드러나고 있다.
먼저, 다슬이는 또래 아이들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지 못한다. 가족들이 다슬이를 부르거나 말을 걸어도 무시하고 대답하지 않으며, 눈맞춤도 하지 않는다. 다슬이에게 인사하는 마을 사람들에게도 관심을 보이지 않고 그냥 지나치기만 한다. 이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핵심 증상인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능력의 결함을 보여준다.
또한 다슬이는 자신만의 세계에 빠져있는 모습이 두드러진다. 그녀는 주로 혼자 행동하며, 자기만의 특정 행동이나 관심사에 고착되어 있다. 특히 벽과 바닥에 그림을 반복적으로 그리거나, 자신이 만든 눈사람에게 집착하는 등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패턴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 역시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핵심 증상에 해당한다.
나아가 다슬이는 자신이 원하는 행동을 할 수 없게 되면 공격성을 보이기도 한다. 가령 자신이 그림을 그리는 것을 방해하려는 사람들에게 소리를 지르고, 때리거나 물어뜯는 등의 돌발적인 행동을 한다. 이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이 보이는 정서적 불안정성과 관련된다.
종합해보면, 영화 '다슬이'의 주인공은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의 결함,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패턴, 정서적 불안정성 등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전형적인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영화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특성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서의 결핍이다. 많은 자폐아동들이 시선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며, 얼굴에 표정이 없고 상황에 맞는 정상적인 행동을 할 수 없다. 영화 '다슬이'에서 다슬이는 이웃주민들 뿐만 아니라 가족들이 목이 터져라 이름을 불러도 대답이 없으며, 자신이 원하는 바를 말로 전혀 표현하지 못한다. 또한 대화 시 시선이 상대방이 아닌 다른 곳에 가있고, 얼굴에 자신의 감정이 없으며 상대의 감정을 느끼지도 못하고 이해하려 하지 않는다. 이처럼 다슬이는 자신을 제외한 타인과 상호작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제한되고 반복적인 행동이다. 다슬이는 특정 사물에 대한 집착이 심하고 그림 그리기에 반복적인 행동을 보인다. 특히 자신이 만든 눈사람에 대한 비정상적인 집착을 보이며, 매일 밤 눈사람을 지켜본다. 또한 곳곳에 그림을 그리고 페인트칠을 하는 등 반복적인 모습을 보인다. 이 외에도 자신의 정해진 생활 규칙 외에 다른 것이 변화하는 것을 전혀 받아들이지 못하고, 그것을 방해한다면 폭력적으로 변한다."
이처럼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주요 특성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의 결핍, 그리고 제한되고 반복적인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1.3. 다슬이의...
...
참고 자료
자폐성장애학생교육 수업자료
김기옥(2007). 통합 상황에서 실시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EMT)가 자폐 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 6(1), 97-121.
Danny Wedding ∙Mary Ann Boyd ∙Ryan M. Niemiec 공동 저, 곽호완∙장문선∙구본훈∙배대석 외 공역. 『영화와 심리학』 학지사, 2012.
조성연∙이정희∙천희영∙심미경∙ 황혜정∙나종혜 공저, 『아동발달』, 신정, 2010.
Laura Schreibman, 정윤경∙김미정 옮김 『자폐증에 대한 진실과 오해』, 시그마프레스, 2010
이승희,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이해』, 학지사, 2010.
권석만,『현대이상심리학』, 학지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