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 영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인 영양의 중요성
2. 노인의 영양학적 변화
2.1. 생리현상 및 기능의 변화
2.2. 은퇴와 관련된 수입 변화
2.3. 건강 변화
2.4. 사회 심리학적 변화
3. 노인의 영양조사 문제
4. 노인 영양권장량
4.1. 열량
4.2. 비타민, 무기질
4.3. 단백질
4.4. 칼슘
5. 노인 영양지침
5.1. 다양한 식품을 통한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
5.2. 염분섭취 제한
5.3. 적절한 체중 유지
6. 노인 간호 과정
6.1. 사정
6.2. 진단
6.3. 간호계획 및 중재
6.4. 평가
7. 시설 기관 내 노인 영양 실태
7.1. 실태
7.2. 문제점
7.3. 간호 중재
7.4. 약물 주의
8. 알츠하이머 대상자를 위한 영양중재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노인 영양의 중요성
노인 영양의 중요성은 생애 주기를 통한 영양이 건강과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많은 연구에 따르면 일찍부터 형성된 좋은 식습관이 노인기 건강 유지에 영향을 끼치며, 노화와 함께 동반되는 당뇨, 동맥경화증, 고혈압, 비만 등과 같은 퇴행질환은 일생 동안의 식습관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생에 후기에 시작되는 식이 변화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발현을 지연시키지는 않지만, 질환의 경과에 영향을 주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2. 노인의 영양학적 변화
2.1. 생리현상 및 기능의 변화
노인의 생리현상 및 기능 변화는 노화로 인해 전반적인 신체 기능의 저하와 함께 소화 기능의 저하가 동반되는 것이다. 노화에 따른 주요 생리적 변화로는 첫째, 저작기능의 변화로 노화에 의한 치아 손실과 침분비의 감소는 음식물을 씹는 능력과 삼킴 능력을 떨어뜨린다.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한 뼈의 흡수는 치조골의 용해 및 치주염 발생을 증가시키며, 입안 점막의 위축과 침분비 감소로 인한 구강건조증은 식욕을 떨어뜨린다. 둘째, 감각의 변화로 시력, 청력, 후각, 미각의 감소가 나타나 음식물의 맛과 냄새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식품 구입과 조리, 식사 시 장애를 겪게 된다. 셋째, 위장관 기능의 변화로 소화 효소 감소, 연동운동 저하, 혈류량 감소 등이 발생하여 소화 및 흡수 능력이 떨어진다. 넷째, 대사의 변화로 기초대사율과 포도당 내성이 감소하며, 인슐린과 글루카곤 분비가 저하되어 당대사가 원활하지 않게 된다. 다섯째, 병적 요인으로 대부분의 노인이 한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식이제한, 식욕감퇴, 소화흡수장애, 약물 부작용 등이 영양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2.2. 은퇴와 관련된 수입 변화
노인의 수입 변화는 영양상태에 큰 영향을 미친다. 노인 인구의 50% 이상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수입이 적을수록 다양하고 풍부한 식품 섭취가 어려워진다.
식품구입비가 제한될 때 가장 먼저 중요한 칼슘, 단백질, 아연, 철분, 비타민 B군의 주요 식품원인 우유와 육류 섭취가 줄어든다. 경제적 상황이 나쁠수록 균형잡힌 식단 구성이 어려워져 영양불량의 위험이 더 높아진다.
특히 여성노인의 경우 남성노인에 비해 2배 이상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한 식품 수급의 어려움은 노인의 저체중 발생률을 증가시켜 사망률 상승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바 있다.
결국 노인의 경제적 수준은 식품구입과 영양섭취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저소득 노인의 영양관리를 위한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2.3. 건강 변화
퇴행성 질환(당뇨, 죽상경화와 동맥경화증, 고혈압, 암)과 불구 질환(골절, 관절염, 뇌졸중)이 노인에게 흔하다"". 이러한 건강 변화는 노인의 영양요구, 섭취, 소화, 흡수, 대사와 분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불구질환들은 음식 구입, 준비 또는 식사에 영향을 미치며, 약물은 식욕, 미각과 후각 또는 영양소의 소화, 흡수, 대사 및 분비를 변화시켜 영양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고정된 수입의 많은 부분이 약물 구입에 소비된다면 보다 적은 금액이 음식구입비로 소비될 수 있다"". 알코올 남용은 영양부족, 특히 엽산과 티아민의 부족을 초래하며, 이는 식욕감퇴, 식품구입비 감소 또는 의식 혼미로 음식 섭취를 줄이며 소화, 흡수, 대사 및 분비도 저하시킬 수 있다"".
2.4. 사회 심리학적 변화
사회 심리학적 변화는 노인의 식이와 영양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노인에게는 주변 사람의 사망, 독거, 운동력 손상으로 인한 사회적 고독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노인의 자존감 손실로 이어질 수 있는데, 신체상의 변화, 생산성 저하, 목적 상실감 등과 관련된다"". 또한 노인들은 종종 집이나 식당에서 자신을 위해 요리하거나 혼자 식사를 하고 싶지 않다고 호소한다"". 독거 노인의 경우 배우자와 사는 사람보다 음식 선택이 더 나쁘지는 않았지만 더 낮은 열량을 섭취하였다"". 이처럼 자존감 상실은 섭식에 대한 관심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영양상태에는 이와 같은 사회 심리학적 변화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3. 노인의 영양조사 문제
노인의 영양조사 문제는 대부분의 음식 소비에 대한 국가적 조사에 74세 노인의 참여가 거의 없었고, 대부분의 연구가 양로원이나 병원에 한정된 노인들의 영양상태에 관한 것이라는 데 있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영양 조사 연구가 아직 부족하여 실제 노인인구 전체의 영양섭취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건강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영양섭취 실태를 대표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여 전체 노인인구의 영양 위험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노인의 영양섭취 실태와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65세 이상 전체 노인인구를 대표할 수 있는 국가단위의 표본 조사가 필요하다""
또한 노인의 건강수준, 신체기능, 경제상태, 독거 여부 등의 특성을 고려한 다각적인 영양 조사가 요구된다""
이를 통해 노인의 특성에 맞는 실효성 있는 영양 중재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4. 노인 영양권장량
4.1. 열량
노인의 일일 열량 권장량은 65세 이상 남성의 경우 2,000kcal, 여성의 경우 1,600kcal ±20% 수준으로 제시된다. 이는 젊은 성인에 비해 약 80% 수준의 권장량이다. 노인의 열량 요구량이 감소하는 이유는 신체실질조직의 감소, 기초대사율의 감소, 신체 활동량의 감소 등 노화에 따른 생리학적인 변화 때문이다. 그러나 개인별 건강 상태와 활동량에 따라 열량 요구량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일률적인 제한보다는 개인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열량 섭취가 중요하다. 특히 75세 이...
참고 자료
박명화 외, 노인간호학 4판, 학지사메디커르 2017, 29, 3998-411
Belsey, J., Greenfield, S., Candy, D., & Geraint, M. (2010). Systematic review: impact of constipation on quality of life in adults and children. 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31(9), 938-949.
Landi, F., Lattanzio, F., Dell’Aquila, G., Eusebi, P., Gasperini, B., Liperoti, R., Belluigi, A., Bernabei, R., & Cherubini, A. (2013). Prevalence and Potentially Reversible Factors Associated With Anorexia Among Older Nursing Home Residents: Results from the ULISSE Project.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14(2), 119–124.
Spinzi, G., Amato, A., Imperiali, G., Lenoci, N., Mandelli, G., Paggi, S., ... & Terruzzi, V. (2009). Constipation in the elderly. Drugs & aging, 26(6), 469-474
정윤아, 김희숙. (2017). 변비에 적용된 국내 간호중재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경북간호과학지, 21(2), 14-25.
김형자, & 김정희. (2018). 척추 수술 후 껌씹기가 복부 불편감, 변 배출시간과 변비 정도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24(1), 85–93.
강호숙 K. H.-S., & 김인자 K. I. (2017). 생활습관 중재가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변비에 미치는 효과. 재활간호학회지, 20(1), 52–60.
Forootan, M., Bagheri, N., & Darvishi, M. (2018). Chronic constipation: A review of literature. Medicine, 97(20).
신정은, 정혜경, 이태희, 조윤주, 이혁, 송경호, ...& 신인순. (2016). 만성 기능성 변비의 진단과 치료 임상 진료지침 개정안 2015. 대한내과학회지, 91(2), 114-130.
이광재. (2010). 노인에서의 변비치료.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11(3). 284-287
김지은, 김정희.(2011). 요양병원 간호사의 노인변비 간호지식과 간호활동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13(3). 172-184
Oncology Nursing Society. (2020). ONS Guidelines for Opioid-Induced and Non-Opioid-Related Cancer Constipation. https://www.ons.org/
Collins, B. R., & O’Brien, L. (2015).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onstipation in adults. Nursing Standard (Royal College of Nursing (Great Britain) : 1987), 29(32), 49–58.
Nour-Eldein, H., Salama, H. M., Abdulmajeed, A. A., & Heissam, K. S. (2014). The effect of lifestyle modification on severity of constipation and quality of life of elders in nursing homes at Ismailia city, Egypt. Journal of family & community medicine, 21(2), 100.
Gao, R., Tao, Y., Zhou, C., Li, J., Wang, X., Chen, L., ... & Guo, L. (2019). Exercise therapy in patients with constip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candinavi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54(2), 169-177.
박태남. "시설노인의 비약물적 변비관리를 위한 근거중심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국내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007. 대구
양영구. (2016년 10월 23일). 변비 환자, 어린이와 노인이 절반 이상. Medical observer,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4404
보문각, 고령화사회의 노인건강증진
간호와 영양, 김영경 외, 현문사, 2016년, 제 3판, p195-214
시설 치매노인의 영양불량 상태 영향요인. 현은영, 오진주, 2017, no 9, p.p.426-436
노인건강과 영양, 이영근, 한국노년학, 1984
http://www.hani.co.kr/arti/society/rights/893616.html#csidx38060c751c4f5e19ac0d19f40205e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