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관리학 갈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 현장의 갈등 관리
1.1. 코로나19 상황에서 신규 간호사의 업무 과중
1.2. 간호사 간 의사소통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3. 부서 간 의사소통 체계의 문제점과 증진방안
2. 간호단위 내 갈등 사례와 해결방안
2.1. 간호사 간 갈등의 원인 분석
2.2. 갈등 관리 전략: 강압, 권한 사용, 의사소통 활성화
3. 간호사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개발
3.1. 역할극을 활용한 실습 교육
3.2. 간호부서 내 QI 활동 실시
3.3. 의사소통 관련 임상연구 진행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 현장의 갈등 관리
1.1. 코로나19 상황에서 신규 간호사의 업무 과중
코로나19 상황에서 신규 간호사의 업무 과중은 간호 현장에서 발생하는 주요 갈등 요인 중 하나이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병원 내 환자 증가와 의료진 수요 증가로 인해 간호사들의 업무량이 크게 늘어났으며, 특히 경력이 짧은 신규 간호사들의 업무 과중이 심각한 상황이다.
A 병동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코로나19 감염으로 인력이 부족해진 상황에서 신규 간호사인 김00 간호사는 경력이 오래된 선배 간호사들보다 많은 업무를 담당해야 했다. 신규 간호사에게 편중된 업무 과중은 직무 만족도와 스트레스 수준을 악화시켜 간호 서비스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업무 과중으로 인한 피로도 증가는 환자 안전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상황에서 부적절한 의사소통은 신규 간호사와 선배 간호사들 간의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 A 병동의 사례에서 선배 간호사들의 일방향적이고 수직적인 의사소통으로 인해 신규 간호사인 김00 간호사는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지 못하고 고된 근무를 감당해야 했다. 이는 신규 간호사의 업무 집중도를 떨어뜨리고 조직에 대한 불만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코로나19 상황에서 신규 간호사의 업무 과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력 보충, 명확한 업무 분장, 효과적인 의사소통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하다. 우선적으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간호 인력을 충원하여 신규 간호사에게 편중된 과중한 업무를 해소해야 한다. 또한 부서 내 업무 분담을 명확히 하고 긴급 상황 발생 시 대체 인력 투입 등의 제도화를 통해 신규 간호사의 업무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 더불어 선배 간호사와 신규 간호사 간의 상호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원활한 의사소통을 활성화함으로써 조직 내 갈등을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1.2. 간호사 간 의사소통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간호사 간 의사소통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간호사 간 의사소통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구두적 의사소통에 의해 정보전달의 정확도가 낮다는 점이다. 구두적 의사소통은 전달속도가 빠르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의미 전달 시 부적절한 어휘 선택이나 의사소통 과정의 잡음으로 인해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둘째, 대각적 의사소통에 의해 부서나 계층이 다른 간호사들 간의 의사소통에서 정보 전달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는 점이다. 대각적 의사소통은 조직구조상 부서나 계층이 다른 간호사들 간의 의사소통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경우 정보가 해당 부서의 관리자에게 전달되기까지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셋째, 원형 의사소통 네트워크에서 간호사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경우 의사소통의 속도와 정확성이 낮아져 문제해결이 지연될 수...
참고 자료
최신 간호관리학 제5판(2020), 현문사, 장금성 외 7명, p. 529~539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NSD&MENU_ID=005025
권성복 외, 『간호관리학』, 고문사, 2020년, p494~495
김귀분, 김혜숙, and 이경호. "간호사의 업무갈등."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3 (2001): 492-505.
신정애, and 조영아.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의사와 간호사 대상 의사소통 향상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대한보건연구 46.1 (2020): 1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