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경영경제의이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 경영경제의 이해
1.1. 아시아 외환위기와 한국경제
1.2. 2007-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1.3. 키코(KIKO) 사태
2. 한국 경영경제에서의 하이브 기업
2.1. 하이브가 속한 한국의 산업구조
2.2. 하이브의 비즈니스 모델
2.3. 하이브의 경영 전략적 특성
2.4. 한국 경영경제에서의 하이브의 영향력 및 중요성
3. 비정규직 문제의 해결방안
3.1. 비정규직의 개념과 유형
3.2. 비정규직 노동자의 증가 배경
3.3. 비정규직의 긍정적 및 부정적 측면
3.4. 비정규직 관련법
3.5. 비정규직 증가로 인한 문제
3.6.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제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 경영경제의 이해
1.1. 아시아 외환위기와 한국경제
아시아 외환위기는 1997년 태국 정부가 환율제도를 변경하면서 시작되었다. 당시 태국은 높은 경제성장률에도 불구하고 경상수지 적자 등 구조적 문제가 있었다. 태국의 외환위기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국가로 확산되었고, 이는 다시 홍콩, 한국 등으로 이어지며 아시아 외환위기로 발전하였다.
외환위기 이전 한국경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기업의 부채 증가와 수익률 하락, 은행의 재무구조 악화, 단기 대외채무 증가, 취약한 금융감독 등이 주요 문제였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들이 누적되어 있는 상황에서 아시아 외환위기에 휩싸이면서 한국의 외환위기가 발생하였다.
한국의 외환위기로 인해 대기업들의 연쇄 부도가 발생하고 외국 투자자금이 회수되면서 외환보유고가 바닥났다. 결국 한국은 IMF에 긴급 자금 지원을 요청하게 되었다. 당시만 해도 한국경제가 회복될 수 없을 것 같았지만, IMF 자금을 조기 상환하며 완전히 회복되었다.
현재 한국은 외환위기를 겪었던 나라라고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경제대국이 되었다. 반면 아시아 외환위기를 겪었던 다른 나라들 중에는 아직도 그 여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국가들이 많다.
한국이 빠르게 외환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구조 변화 노력과 국민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금융시장을 건전하고 보수적으로 운영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고 금융감독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게 되었다. 은행이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행동할 경우 국가적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번 아시아 외환위기와 한국경제의 외환위기는 교훈이 되어, 앞으로 다시는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것이다.
1.2. 2007-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미국에서 발생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화는 세계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이란 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즉, 신용도가 일정 기준 이하인 담보가 없거나 대출연체 이력이 있는 저소득층을 상대로 한 미국의 주택담보대출을 말한다.
은행은 신용도가 낮은 사람들에게 대출을 해주지 않았으나 점점 부동산을 투자의 수단으로 보고 수익률이 높아지자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해줬다. 그러던 중 FRB가 2004년부터 2006년 중반까지 여러 번에 걸쳐 기준금리를 5.25%로 인상시키자 주택의 거품이 빠지면서 주택판매, 주택건설, 모기지 대출, 주택가격 모두가 급락하기 시작했다. 채무불이행 건수 또한 급격히 늘어나면서 주택가격이 폭락하고 은행의 파산했다. 미국 대표 투자은행이던 리먼브라더스가 파산하면서 본격적으로 글로벌금융위기가 시작됐다. 이는 역사상 최대규모의 파산이었다.
금융불안성이 계속해서 증가하자 FRB와 세계 주요 중앙은행들은 2,400억 달러의 유동성을 긴급수혈 하였으며, 미국은 향후 7000억 달러의 구제금융을 제공하기로 하는 등 금융위기 해결을 위한 방안을 실시하였다. 경제대국인 미국의 이러한 경제적 위기는 전세계 금융시장에 혼란을 불러일으켰다.
글로벌 금융위기에는 국제금융시장 및 세계 경제에 잠복되어 있던 구조적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는 저금리 정책기조, 세계 경제 불균형, 금융기관 레버리지의 경기 순응성과 고위험 고수익 파생상품시장의 급속한 확대, 금융감독의 비효율성 및 대응능력 부족 등이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교훈으로 삼아 우리나라에서도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대응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High risk – high return이라고들 하지만 무작정 고수익률의 상품에만 투자하면 언젠간 큰 위기를 맞을 것이다. 미국 부동산시장에서 그런 것처럼 버블은 터지기 마련이다. 몇몇 전문가들은 현재 한국의 주택시장에도 거품이 있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그것이 거품인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지만 확실히 현재 한국의 부동산시장이 정상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급격한 상승이 있다는 것은 언제나 급격한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1.3. 키코(KIKO) 사태
키코(KIKO) 사태는 환율변동 위험을 피하기 위한 환헤지 통화옵션상품에서 발생한 사태이다. KIKO(Knock In Knock Out)는 환율의 일정 범위에서는 이익이 발생하여 환헤지가 이루어지나, KO구간 이하로 환율이 떨어지면 헤지의 효력이 사라지고 KI구간 이상으로 상승하면 약정액의 1~2배를 고정환율에 매도해 큰 손실을 입는 상품이다.
2007년 환율은 900원에서 950원 사이를 유지했다. 당시 환율 전망은 800원대로 기업들은 환율이 떨어질 것이라 예상했다. 수출기업들에게 환율은 중요하므로 많은 중소기업들이 키코 상품에 가입했다. 그러나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면서 환율이 급격...
참고 자료
김용덕, 『아시아 외환위기와 신국제금융체제』, 박영사, 2007
전하나, 『글로벌 금융위기와 위기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시사상식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3667&docId=5678835&categoryId=43667
사회과학 명저 재발견3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0854&docId=2169318&categoryId=51041
오세경∙박선종, 『키코 사태의 진실을 찾다』, 북마크, 2013
시사상식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3667&docId=930822&categoryId=43667
김설. "국내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성장전략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서울
김지만 ( Ji Man Kim ).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해외진출과 그 법적 책임 -일본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중심으로-."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7.2 (2013): 229-252.
이형오,and 안지영. "엔터테인먼트기업 전략의 국제비교 연구." 기업경제연구 39.1 (2010): 107-132. 글로벌기업과 한국기업의 비교.
비정규직에 대한 개념 정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20592&cid=46634&categoryId=46634 [네이버 지식백과] 비정규직 [atypical Job, non-standard Job, contingent Job, 非正規職]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우드문 저, “비정규직의 일상”
http://blog.naver.com/sz_jk_sz?Redirect=Log&logNo=20037064703
비정규직 증가원인
http://blog.naver.com/wlswnekd14/220881906866
비정규직 관련법
대선공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