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간호사례 선정 이유
간호사례 선정 이유는 다음과 같다. 임신과 출산은 축복이지만 여성에게는 적지 않은 부담을 준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다. 최근 의학이 발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연간 수십 명의 임산부가 임신 또는 분만과 관련한 질환으로 사망하고 있다. 임산부의 주요 사망 원인으로는 출산 후 출혈, 즉 산후 출혈이 지목되고 있다. 산후 출혈은 아기를 낳은 후 발생하는 것으로, 분만과는 별개로 24시간 이내에 출혈량이 500㎖ 이상일 경우를 말한다. 이론 수업 시간에 산후출혈에 대해 배웠으나 헷갈리는 부분이 많았고 제대로 숙지가 되어있지 않다고 판단되어 산후출혈에 대해 더 공부하고 사례에 맞는 진단을 내려보고자 선정하게 되었다."
1.2. 대상자 질환 개요
조기산후출혈은 출산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출혈로 출혈량이 많고 이환율이 높다. 임신 말기에 이르면 혈액량과 심박출량이 증가해서 심박출량의 20% 혹은 분당 600mL의 혈액이 태반을 관류하면서 태아의 성장을 돕는다. 분만과정에서 자궁벽에서 태반이 분리될 때, 자궁 혈관들이 태반으로부터 분리된다. 태반 만출 이후 정상지혈 기전은 자궁근육들이 수축하여 태반으로 혈액을 운반하던 관들을 막는 것이다. 즉각적이면서 지속적인 자궁수축이 없으면 혈액손실을 야기한다. 조기 산후출혈의 원인으로는 자궁이완, 비뇨생식기의 열상, 수태산물의 잔류, 태반부착부위 이상, 자궁파열, 자궁내번, 혈액응고장애 등이 있고 이 중 자궁이완이 가장 흔하다.
2. 문헌고찰
2.1. 조기산후출혈 개요
대다수 산모는 출산 후 약 3-4일간 비교적 많은 양의 출혈을 하다가 이후 약 4주 동안에는 적은 양의 질출혈이 있다. 그런데 출산 후에 500ml 이상의 출혈이 있으면 산후 출혈로 정의한다. 출산 후 태반은 자궁벽에서 분리되어 질을 통해 체외로 배출된다. 태반이 부착되었던 장소에서 출혈이 있다가 자궁의 강한 수축이 자궁벽의 혈관을 수축시켜 출혈이 멈추게 된다. 대부분의 산후 출혈, 특히 심한 출혈을 할 경우에는 자궁 경부나 질의 출혈일 수도 있다.
2.2. 조기산후출혈의 원인
조기산후출혈의 원인은 자궁이완, 비뇨생식기의 열상, 수태산물의 잔류, 태반부착부위 이상, 자궁파열, 자궁내번, 혈액응고장애 등이 있으며, 그 중 자궁이완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자궁이완은 산후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자궁의 과다팽만이 주요원인이다. 자궁이완으로 인한 출혈은 천천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또는 갑자기 다량으로 발생할 수 있다. 태반 만출 후 자궁저부가 단단하게 수축되지 않으면 수 분 내에 다량의 출혈이 초래된다.""
산도열상은 산후출혈의 두 번째 주요 요인이다. 회음부, 질, 자궁경관의 열상이 여기에 해당하며, 만출된 태반에 결손된 부위가 없고 자궁수축이 잘 진행되는데도 선홍색의 동맥혈성 출혈이 지속된다면 열상에 의한 출혈을 의심해야 한다. 특히 회음절개로 인한 출혈은 천천히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정중 회음절개는 출혈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잔류태반은 산후출혈을 초래하는 세 번째 요인이다. 태반 조각이 소량이라도 부분적으로 자궁벽에 남아있으면 자궁수축을 방해하여 산후출혈의 원인이 된다. 출산 후 태반 만출에는 평균 8~9분이 소요되는데 시간이 지연되면 산후출혈의 위험이 증가한다.""
산후혈종은 출산 시 외상으로 인한 혈관 손상의 결과로 발생하며, 종종 뚜렷한 외상 없이도 발생한다. 질이나 음순의 연조직은 저항성이 거의 없어 250~500mL의 혈액이 차는 혈종이 급속히 생겨날 수 있다. 복막하 혈종은 드물지만 다량의 혈액 손실을 유발하고 혈액역동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되기 전까지 임상적 증상이 없어 위험하다.""
자궁파열은 외부출혈이 많지 않은 갑작스럽고 심각한 복부통증을 유발한다. 제왕절개와 같은 과거 자궁 수술, 이상태위, 다산부, 수술적 질분만, 옥시토신을 이용한 유도분만 등이 자궁파열의 위험요인이다.""
태반유착은 기저탈락막 형성에 결함이 생겨 발생하며, 태반융모가 자궁근층을 뚫고 장막까지 침범한 경우 첨입태반이라고 한다. 유착부위가 클수록 출혈이 더욱 심하며 수혈과 자궁적출술이 필요할 수 있다.""
혈액응고장애는 확정적 원인 없이 산후출혈이 지속될 때 의심된다. 본 빌레브란트 병, 특발성 혈소판감소성자반증, 파종성혈액응고장애 등이 여기에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