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TKR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퇴행성 관절염
2.1.1. 정의
2.1.2. 원인
2.1.3. 병태생리
2.1.4. 증상
2.1.5. 진단
2.1.6. 치료
2.2. 슬관절전치환술
2.2.1. 정의
2.2.2. 간호
2.2.3. 합병증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4.1.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4.2. 신체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낙상의 위험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전 슬관절치환술(total knee replacement, TKR)이란 인공으로 만든 구조물을 슬관절에 부착시키는 치환술의 한 형태로 보존적 치료나 수술로 통증조절에 실패한 경우, 불안정한 무릎, 일상 생활활동의 어려움,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골관절염으로 관절이 파괴된 경우 시행하게 된다. 본 과제는 00병원 Case Study를 통해 오른쪽 무릎에 통증을 호소하신 신OO님을 만나게 되었다. 신OO님은 20여년 전 우측 무릎 사고 난 후 수술하였고 작년부터 통증이 지속되어 opd를 통해 내원하였고 전 슬관절치환술(total knee replacement, TKR)을 하였다. 신OO님은 수술 후 통증과 그로인한 불면증을 호소하였고 이에 Case Study 대상자를 전 슬관절치환술(total knee replacement, TKR) 환자로 선정하여 환자에 대한 정보를 조사 한 후 그에 맞는 간호진단을 내려 보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퇴행성 관절염
2.1.1. 정의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국소 변형으로 시작하여 점차 퇴행성 변화를 보이며 연골 하골의 비대와 활액막의 이차적 염증 반응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특별한 기질적 원인 없이 나이, 성별, 유전, 비만, 특정 관절 부위 등의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일차성 또는 특발성 관절염과 관절 연골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외상, 질병 및 기형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이차성 또는 속발성 관절염으로 분류된다."
2.1.2. 원인
퇴행성 관절염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연령, 선천적 기형, 유전적 소인, 물리적 긴장, 외상, 비만, 골격기형, 신경, 내분비, 약물 등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노인 여성에서 유병률이 높은데 이는 폐경기 이후 에스트로겐 감소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또한 부위별로 원인에 차이가 있어 척추와 무릎의 경우 직업적으로 반복되는 작업이나 생활습관 등이 원인이 될 수 있고, 엉덩이 관절에서는 무혈성 괴사와 엉덩이 관절 이형성증이 주요 원인이며, 발목 관절의 경우 골절 또는 주변 인대 손상이 퇴행성 관절염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 된다"".
2.1.3. 병태생리
퇴행성 관절염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연골부 마모현상: 연골이 닳게 되어 관절면에 미란이 생기고 연골부가 점차 갈라지고 얇아지면서 뼈가 노출되어 뼈의 마찰로 통증이 있고 관절이 붓는다. 시간이 지나면서 뼈의 모양과 관절 구조가 변하고 관절의 가동력이 제한된다. 이러한 현상을 마모과정이라고 한다.""
골증식체: 연골부의 마찰로 연골부의 뼈가 과잉으로 증식된 골증식체가 형성되는데 이를 골관절 구순이라고 한다.""
헤베르덴 결절: 특징적으로 헤베르덴 결절이 있는데 이는 원위지 관절의 섬유성 관절낭이 점액성 변형을 일으켜 피하종창을 형성하여 골화된 것이다. 즉 연골에서 떨어져 나온 조각들이 활액 내로 떠다니다가 활액막에 부착하여 활액이 증가된 이상적 비대증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2.1.4. 증상
퇴행성 관절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관절부위의 국소적인 통증이다. 초기에는 관절을 움직일 때 심해지는 양상을 보이다가 병이 진행되면 움직임 여부에 관계없이 지속적인 통증이 나타난다. 또한 관절 운동 범위의 감소, 관절 주위...
참고 자료
김금순 외(2014).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조경숙 외(2014).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성미혜 외(2015).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JMK
김문정, 윤세원.(2013).무릎관절 전치환술에 따른 하지 근육의 초음파 영상 구조 변화.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11(1),21-29.
서울 아산병원 > 건강정보> 의료정보 > 질환백과 > 무릎관절증
자생 한방병원 > 턱.관절질환 > 무릎질환 > 퇴행성관절염
서울대학교병원 > N의학정보
GC Labs
동아일보 ‘무릎 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로 잡는다 2018.02.12.
윤은자 외11명 (2022년도), 성인간호학I , 수문사, 315p~360p
윤은자 외11명 (2022년도), 성인간호학II, 수문사, 1065~1073p
대한민국 의약품정보의 표준 약학정보원
김종임 외, 「EBN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2018
박금주 외, 「비판적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2019
박서현 외, 「기본간호학 실습지침서Ⅰ」,계축문화사, 2019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9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19
병원간호사회, 「낙상예방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