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만성신부전 간호
1.1. 정의 및 원인
만성신부전은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신장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치료로 회복되지 않는 비가역적인 상태이다. 만성신부전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 중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과 고혈압이다. 당뇨병은 신사구체 기저막의 비후와 확장으로 인한 사구체 여과율 저하가 주된 기전이며, 고혈압은 신장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함으로써 신장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그 외에도 사구체신염, 신장낭종, 만성신장질환, 다낭신 등 다양한 신장질환이 만성신부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선천성 신장기형, 방광요관역류, 요로폐색 등의 비뇨기계 이상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만성신부전의 원인은 대부분 이러한 신장질환이 지속되어 발생하지만, 때로는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만성신부전의 진행 단계는 크게 5단계로 나뉜다. 1단계는 사구체여과율(GFR)이 90 ml/min/1.73m² 이상으로 신장 기능이 정상이거나 약간 감소한 상태이다. 2단계는 GFR이 60-89 ml/min/1.73m²로 약간의 기능 저하가 있는 단계이다. 3단계는 GFR이 30-59 ml/min/1.73m²로 중등도의 신장 기능 저하가 있는 단계이다. 4단계는 GFR이 15-29 ml/min/1.73m²로 심각한 신장 기능 저하가 있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5단계는 GFR이 15 ml/min/1.73m² 미만으로 말기신부전 상태이다.
1.2. 증상 및 진단
만성신부전의 증상 및 진단은 다음과 같다.
만성신부전은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신장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치료로도 회복되지 않는 비가역적인 상태이다. 만성신부전에서는 사구체여과율이 점차 낮아져 신기능 부전이 발생한다. 만성신부전의 증상은 단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1단계에서는 신장 기능 검사 상 정상 혹은 소변 검사 상 이상이 관찰되는 정도이며, 사구체여과율이 90ml/min/1.73m² 이상이다. 이 단계에서는 신장 기능 저하의 원인을 찾아 치료하고 신장 기능 저하의 진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2단계에서는 사구체여과율이 60~89ml/min/1.73m²로 약간의 기능 감소가 관찰되며, 1~2단계에서는 신장 기능 저하의 원인(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을 찾아 치료하고 신장 기능 저하의 진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3단계에서는 사구체여과율이 30~59ml/min/1.73m²로 감소하며, 신장 기능 감소에 따른 합병증 발생 여부를 검사하여 치료해야 하고 신장 기능 저하의 진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4단계에서는 사구체여과율이 15~29ml/min/1.73m²로 감소하며, 신장내과 의사의 진료를 받고 투석 방법 및 이식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한다.
5단계(ESRD)에서는 사구체여과율이 15ml/min/1.73m² 이하로 심하게 감소하여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 등의 신장 대체 요법을 시작해야 한다.
만성신부전의 주요 증상으로는 전해질 불균형, 대사 변화, 혈액계 변화, 위장관계 변화, 면역계 변화, 약물대사 변화, 심혈관계 변화, 호흡기계 변화, 근골격계 변화, 피부계 변화, 신경계 변화, 생식기계 변화, 내분비계 변화, 심리사회적 변화 등이 있다.
진단을 위해서는 임상검사(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전해질 등), 영상검사(KUB, IVP, CT 등), 소변검사 및 배양검사 등이 필요하다.
1.3. 치료
만성신부전의 치료는 1) 내과적 치료, 2) 투석, 3) 신장이식의 세 가지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내과적 치료는 관련 요인을 교정하고 합병증을 관리하는 것이다. 신기능의 보존, 투석이나 이식으로 이어지는 시기를 지연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기저 질환을 철저히 관리하고, 신기능 보호 기능이 있는 약물인 ACE 억제제나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를 사용한다. 또한 신장에 해로운 약물은 피하도록 한다.
말기 신부전에 도달한 경우에는 투석이 필요하다. 투석에는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이 있다. 혈액투석은 인공 신장기를 이용하여 체외에서 혈액을 정화하는 방법이고, 복막투석은 복강 내 막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