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재난의 정의
1.1. 대한민국의 재난 정의
대한민국은 "재난"을 사회재난·자연재난, 민방위사태의 3원적 개념으로 분리하여 사용하고 있다"". 사회재난과 자연재난은 「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과 「자연재해대책법」에 정의되어 있는데, 사회재난은 "화재·붕괴·폭발·교통사고 등 현대사회의 도시화·산업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회적 재난"이고, 자연재난은 "태풍·홍수·지진 등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해"로 규정되어 있다. 또한 민방위사태는 「민방위기본법」에 따라 "적의 공격이나 그 밖의 재난으로부터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로 정의된다..
1.2. 미국 연방재난관리청(FEMA)의 재난 개념
통상적으로 사망과 상해, 재산피해를 가져오고 일상적인 절차나 정부의 자원으로는 관리할 수 없는 심각하고 규모가 큰 사건으로, 보통 돌발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정부와 민간조직이 인간의 기본적 수요를 충족시키고 복구를 신속하게 하고자 할 때 즉각적, 체계적, 효과적인 대처를 하여야 하는 사건이다."
2. 재난 사례: 태풍 '힌남노'
2.1. 태풍 '힌남노'의 개요
힌남노(라오어: ?????????, Hinnamnor)는 2022년 제11호 태풍으로, 8월 28일 발생하여 9월 6일에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어 소멸되었다. 기후관측 사상 아열대성 해양이 아닌 북위 25도선 이북의 바다에서 발생한 첫 번째 슈퍼태풍이다. 본래 일본 남쪽 해상에서 태풍으로 발달하여 대만과 중국 방향으로 서진하고 있었으나, 오키나와 일대에서 급격히 방향을 바꿔서 한반도로 북상하여 영향을 준 태풍이다. 고위도에서 최전성기를 맞이하고 재발달까지 했으며, 이동속도 역시 빠른 편이었기에 상당히 강력한 위력을 유지한 채로 북상하여 한반도에 내습하였고, 9월 6일 새벽에 경남 거제 일대에 상륙하여 스치듯 내륙을 통과한 뒤 아침에 동해상으로 빠져나가 저녁에 소멸하였다."
2.2. 태풍 '힌남노'에 의한 피해
2.2.1. 대한민국
태풍 '힌남노'는 당초 예상과 달리 경로가 동편화되어 스쳐지나가듯 한반도를 통과함으로써 대부분의 영향지역이 안전반원에 들어갔고, 이로 인해...